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목표
1. 교과 목표
1) 총괄 목표
2) 하위 목표
2. 학년 목표
1) 체조 활동
2) 육상 활동
3) 게임 활동
4) 표현 활동
5) 체력 활동
6) 보건
Ⅲ.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실태
Ⅳ.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내용
Ⅴ.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지도
1. 지도 중점
2. 지도 내용
3. 지도 방법
1) 체조 활동
2) 육상 활동
3) 게임 활동
4) 표현 활동
5) 체력 활동
6) 보건
4. 지도 과정
1) 움직임 교육 일반 모형
2) 기능 중심 학습 지도
3) 탐구 위주 학습 지도
4) 보건(이론)중심 학습 지도
5) 이해 중심 게임 학습지도
Ⅵ.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체력측정
1. 50M 달리기(초)
1) 측정
2)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2. 윗몸 일으키기(회)
1) 검사대상자의 자세
2) 측정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3. 제자리 멀리 뛰기(cm)
1) 측정
2)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4.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cm)
1) 검사대상자의 자세
2) 측정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5. 오래 달리기- 걷기(분 초)
1) 거리
2) 측정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Ⅶ.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평가
1. 평가의 기본 방향
2. 내용 영역별 평가
3. 평가의 방법
4. 평가의 활용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목표
1. 교과 목표
1) 총괄 목표
2) 하위 목표
2. 학년 목표
1) 체조 활동
2) 육상 활동
3) 게임 활동
4) 표현 활동
5) 체력 활동
6) 보건
Ⅲ.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실태
Ⅳ.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내용
Ⅴ.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지도
1. 지도 중점
2. 지도 내용
3. 지도 방법
1) 체조 활동
2) 육상 활동
3) 게임 활동
4) 표현 활동
5) 체력 활동
6) 보건
4. 지도 과정
1) 움직임 교육 일반 모형
2) 기능 중심 학습 지도
3) 탐구 위주 학습 지도
4) 보건(이론)중심 학습 지도
5) 이해 중심 게임 학습지도
Ⅵ.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체력측정
1. 50M 달리기(초)
1) 측정
2)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2. 윗몸 일으키기(회)
1) 검사대상자의 자세
2) 측정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3. 제자리 멀리 뛰기(cm)
1) 측정
2)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4.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cm)
1) 검사대상자의 자세
2) 측정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5. 오래 달리기- 걷기(분 초)
1) 거리
2) 측정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Ⅶ.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평가
1. 평가의 기본 방향
2. 내용 영역별 평가
3. 평가의 방법
4. 평가의 활용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 보조자는 검사대상자의 발목이 발목걸이에 있는가를 확인한다.
- 발목걸이가 느슨한 경우 보조자는 벨트를 눌러준다.
- 선생님의 “시작” 구령과 함께 검사대상자는 윗몸 일으키기를 “그만”이라는 구령이 날 때까지 반복한다.
- 실시 도중 목 뒤에 마주 잡은 손을 떼거나 몸을 앞으로 굽혔을 때 팔꿈치가 무릎에 닿지 않으면 그 횟수는 무효로 한다.
- 윗몸을 일으킬 때 몸을 좌우로 흔들거나 누울 때 머리나 어깨가 윗몸 일으키기대를 치면서 반동을 이용해서는 안된다.(그 횟수는 무효로 한다.)
- 누웠을 때 손등이 반드시 윗몸 일으키기대에 닿아야 한다.
3. 제자리 멀리 뛰기(cm)
1) 측정
- 구름판 위에서 모둠발로 뛴 거리(신체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모래에 닿는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구름판 표시 부분까지의 직선거리)를 cm 단위로 측정한다. 단, cm 미만은 측정하지 아니한다.
- 2회 실시하여 더 멀리 뛴 거리를 적용한다.
2)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구름판은 뜀틀 발 구름판을 이용하되 미끄러지지 않는 것으로 고른다.(사선으로 홈을 파도 된다.) 또한, 밟는 부분을 흰색 분필로 칠한다.
- 구름판은 발의 위치로부터 10cm 이상 넓게 제작하여 모서리를 밟고 뛰는 것을 금한다.
- 두 번 굴러서는 안되며, 공중 자세는 자유롭게 한다.
4.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cm)
1) 검사대상자의 자세
신을 벗고 두 발바닥이 측정기구의 면에 완전히 닿도록 무릎을 펴고 바르게 앉은 다음 왼손바닥을 오른손등 위에 올려 두 손이 겹치게 하고 그 손을 측정기구의 눈금 쪽으로 뻗는다.
2) 측정
- 검사대상자의 손가락 끝이 2초 정도 멈춘 지점의 측정 기구 눈금을 측정한다.
- 0.1cm 단위로 측정한다.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검사대상자는 검사대상자의 자세대로 검사에 임하되 양발 사이의 넓이가 5cm를 넘지 않게 한다.
- 검사대상자는 “시작”이라는 구령에 따라 상체를 천천히 앞으로 굽히면서 측정 기구의 눈금 아래로 손을 뻗는다. 이 때, 검사자는 무릎이 굽혀지지 않도록 검사대상자의 무릎을 가볍게 눌러 준다.
- 검사대상자가 허리의 반동을 이용하거나 갑작스럽게 상체를 굽혀 손을 뻗는 동작을 하였을 때 검사 기록을 인정하지 않고 재검사를 실시한다.
- 앞으로 굽힐 때 검사대상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에는 재검사를 실시한다.
- 윗몸을 앞으로 굽힐 때 머리를 앞으로 굽히는 것이 좋은 기록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5. 오래 달리기- 걷기(분 초)
1) 거리
남녀의 구분 없이 1,000M
2) 측정
분초 단위까지 기재하되, 0.1초 단위에서 올림하여 계산한다.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출발신호원이 출발선 안쪽 5M 지점(주로 밖)에서 계시원에게 깃발을 들어 준비 상태를 확인한 후, “제자리에”라는 구령을 하면서 깃발을 땅에 댄 다음, 2~3초 뒤에 깃발을 들어 출발시킨다.
- 지나치게 경쟁을 하거나 무리한 속도로 달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각자의 능력과 연습 정도에 맞추어 달리도록 지도한다.
- 달리는 도중에 트랙을 이탈하지 않고 걷는 것은 허용된다.
Ⅶ.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평가
1. 평가의 기본 방향
평가는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측정하여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며, 학교의 평가 지침을 토대로 학년 초에 체육 교과 협의회(또는 학년 협의회)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 평가의 기준, 내용, 방법, 도구 등을 마련하여 공정하게 실시하도록 한다.
2. 내용 영역별 평가
평가는 교육 과정에 제시된 전 영역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학년 초에 평가 내용을 세부적으로 마련한다.
(1) 운동 기능에 대한 평가는 학기당 내용 영역별로 최소 1개 종목씩을 선정하여 실시한다.
(2) 운동 지식 평가는 학기별로 실시한다.
(3) 운동 태도 평가는 전 수업 과정을 통한 지속적인 관찰과 체계적인 기록을 근거로 하여 실시한다.
3. 평가의 방법
평가의 방법은 평가의 목적, 내용, 시기, 대상의 특성(남녀 학생, 특수 학생 등), 학급 인원 수, 교사의 능력, 학교의 방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평가 방법과 절차를 학년 초에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알려 주도록 한다.
평가는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누가 기록과 지속적인 관찰을 근거로 한 학습 과정을 평가에 반영하도록 한다.
평가는 교사의 평가뿐만 아니라, 상호 평가, 자기 평가 등의 학생 평가를 결합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평가는 목적과 내용을 고려하여 실시하도록 하고, 학년별 평가의 기준, 절차, 시기, 시설 및 용구, 평가 도구 등을 공정하게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평가의 활용
평가는 교육의 종결이 아니라 교육의 순환 과정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하도록 한다.
평가 자료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를 높이고,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평가 결과는 학습 목표, 지도 방법, 지도 계획 등에 적용하여 전반적인 수업 방법을 수정 보완하는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학생의 적성 파악과 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Ⅷ. 결론
초등학교 체육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성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연간 지도 계획에는 연간 계획, 단원 계획, 차시 계획 등 포함된다. 이 가운데에서도 연간 지도 계획은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단원 계획과 차시 계획의 근간이 된다. 지도 계획은 지도 작성 방향을 확인하고 그것을 구체화하는 절차에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즉, 교육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 목표,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 등이 연간 계획 수립시 고려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강신복 외 : 체육 교육 과정, 보경 문화사, 1990
강상조 : 체육 평가의 방향과 그 기준 설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 한국 체육학회 제21회 하계 세미나 자료, 1983
교육부 : 체육교육, 장학자료 제38호, 1982
교육부 : 체육과 교육과정(별책 11),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1997
순준구 : 체육교육실습 길라잡이 36, 태근문화사, 1998
조미혜 : 체육교육과정과 평가
- 보조자는 검사대상자의 발목이 발목걸이에 있는가를 확인한다.
- 발목걸이가 느슨한 경우 보조자는 벨트를 눌러준다.
- 선생님의 “시작” 구령과 함께 검사대상자는 윗몸 일으키기를 “그만”이라는 구령이 날 때까지 반복한다.
- 실시 도중 목 뒤에 마주 잡은 손을 떼거나 몸을 앞으로 굽혔을 때 팔꿈치가 무릎에 닿지 않으면 그 횟수는 무효로 한다.
- 윗몸을 일으킬 때 몸을 좌우로 흔들거나 누울 때 머리나 어깨가 윗몸 일으키기대를 치면서 반동을 이용해서는 안된다.(그 횟수는 무효로 한다.)
- 누웠을 때 손등이 반드시 윗몸 일으키기대에 닿아야 한다.
3. 제자리 멀리 뛰기(cm)
1) 측정
- 구름판 위에서 모둠발로 뛴 거리(신체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모래에 닿는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구름판 표시 부분까지의 직선거리)를 cm 단위로 측정한다. 단, cm 미만은 측정하지 아니한다.
- 2회 실시하여 더 멀리 뛴 거리를 적용한다.
2)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구름판은 뜀틀 발 구름판을 이용하되 미끄러지지 않는 것으로 고른다.(사선으로 홈을 파도 된다.) 또한, 밟는 부분을 흰색 분필로 칠한다.
- 구름판은 발의 위치로부터 10cm 이상 넓게 제작하여 모서리를 밟고 뛰는 것을 금한다.
- 두 번 굴러서는 안되며, 공중 자세는 자유롭게 한다.
4.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cm)
1) 검사대상자의 자세
신을 벗고 두 발바닥이 측정기구의 면에 완전히 닿도록 무릎을 펴고 바르게 앉은 다음 왼손바닥을 오른손등 위에 올려 두 손이 겹치게 하고 그 손을 측정기구의 눈금 쪽으로 뻗는다.
2) 측정
- 검사대상자의 손가락 끝이 2초 정도 멈춘 지점의 측정 기구 눈금을 측정한다.
- 0.1cm 단위로 측정한다.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검사대상자는 검사대상자의 자세대로 검사에 임하되 양발 사이의 넓이가 5cm를 넘지 않게 한다.
- 검사대상자는 “시작”이라는 구령에 따라 상체를 천천히 앞으로 굽히면서 측정 기구의 눈금 아래로 손을 뻗는다. 이 때, 검사자는 무릎이 굽혀지지 않도록 검사대상자의 무릎을 가볍게 눌러 준다.
- 검사대상자가 허리의 반동을 이용하거나 갑작스럽게 상체를 굽혀 손을 뻗는 동작을 하였을 때 검사 기록을 인정하지 않고 재검사를 실시한다.
- 앞으로 굽힐 때 검사대상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에는 재검사를 실시한다.
- 윗몸을 앞으로 굽힐 때 머리를 앞으로 굽히는 것이 좋은 기록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5. 오래 달리기- 걷기(분 초)
1) 거리
남녀의 구분 없이 1,000M
2) 측정
분초 단위까지 기재하되, 0.1초 단위에서 올림하여 계산한다.
3) 검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출발신호원이 출발선 안쪽 5M 지점(주로 밖)에서 계시원에게 깃발을 들어 준비 상태를 확인한 후, “제자리에”라는 구령을 하면서 깃발을 땅에 댄 다음, 2~3초 뒤에 깃발을 들어 출발시킨다.
- 지나치게 경쟁을 하거나 무리한 속도로 달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각자의 능력과 연습 정도에 맞추어 달리도록 지도한다.
- 달리는 도중에 트랙을 이탈하지 않고 걷는 것은 허용된다.
Ⅶ.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체육교육)의 평가
1. 평가의 기본 방향
평가는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측정하여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며, 학교의 평가 지침을 토대로 학년 초에 체육 교과 협의회(또는 학년 협의회)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 평가의 기준, 내용, 방법, 도구 등을 마련하여 공정하게 실시하도록 한다.
2. 내용 영역별 평가
평가는 교육 과정에 제시된 전 영역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학년 초에 평가 내용을 세부적으로 마련한다.
(1) 운동 기능에 대한 평가는 학기당 내용 영역별로 최소 1개 종목씩을 선정하여 실시한다.
(2) 운동 지식 평가는 학기별로 실시한다.
(3) 운동 태도 평가는 전 수업 과정을 통한 지속적인 관찰과 체계적인 기록을 근거로 하여 실시한다.
3. 평가의 방법
평가의 방법은 평가의 목적, 내용, 시기, 대상의 특성(남녀 학생, 특수 학생 등), 학급 인원 수, 교사의 능력, 학교의 방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평가 방법과 절차를 학년 초에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알려 주도록 한다.
평가는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누가 기록과 지속적인 관찰을 근거로 한 학습 과정을 평가에 반영하도록 한다.
평가는 교사의 평가뿐만 아니라, 상호 평가, 자기 평가 등의 학생 평가를 결합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평가는 목적과 내용을 고려하여 실시하도록 하고, 학년별 평가의 기준, 절차, 시기, 시설 및 용구, 평가 도구 등을 공정하게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평가의 활용
평가는 교육의 종결이 아니라 교육의 순환 과정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하도록 한다.
평가 자료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를 높이고,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평가 결과는 학습 목표, 지도 방법, 지도 계획 등에 적용하여 전반적인 수업 방법을 수정 보완하는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학생의 적성 파악과 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Ⅷ. 결론
초등학교 체육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성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연간 지도 계획에는 연간 계획, 단원 계획, 차시 계획 등 포함된다. 이 가운데에서도 연간 지도 계획은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단원 계획과 차시 계획의 근간이 된다. 지도 계획은 지도 작성 방향을 확인하고 그것을 구체화하는 절차에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즉, 교육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 목표,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 등이 연간 계획 수립시 고려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강신복 외 : 체육 교육 과정, 보경 문화사, 1990
강상조 : 체육 평가의 방향과 그 기준 설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 한국 체육학회 제21회 하계 세미나 자료, 1983
교육부 : 체육교육, 장학자료 제38호, 1982
교육부 : 체육과 교육과정(별책 11),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1997
순준구 : 체육교육실습 길라잡이 36, 태근문화사, 1998
조미혜 : 체육교육과정과 평가
추천자료
초등학교 현장 체육교육의 문제점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초등학교1학년 수학교과서 분석&발달적으로 적합한 지도방안
[초등학교교육평가]초등학교 영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 수학과교육평가, 초등학교 과학과교육...
초등학교 1학년의 발달심리적 특성, 초등학교 1학년의 언어적 특성, 초등학교 1학년의 학년교...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초등학교 4학년 도덕과(도덕교육) 일반목표와 영역목표, 초등학교 4학...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배경과 교육필요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수학습방법...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성취기준과 내용체계,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수...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개정중점,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연구사례, 초등...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과목표와 학년별 강조점,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차시별 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말하기지도와 듣기...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수준별 수업이
특수학교 - 초등학교 5학년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단원 : 9. 소중한 지구 / 학습...
초등학교급식(학년기아동, 우리나라의급식, 외국의초등학교급식, 제이미올리버, Food for Li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