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아제의 생애
(2) 피아제 이론의 기본적 개념
(3)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4)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2) 피아제 이론의 기본적 개념
(3)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4)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본문내용
가역성의 발달
4기
형식적 조작기
11세 이후
사고의 완전한 일반성, 명제적 사고, 가설적인 것을 다를 수 있는 능력, 강한 이상주의의 발달
<표>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별 특성
(4)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도덕성 발달 연구 이야기
피아제(Piaget)는 아이들에게 도덕 판단에 관한 두 이야기를 제시하고 참가한 아동들에게 “어떤 아이가 더 나쁜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그 나쁜 아이는 어떤 벌을 받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하여 단계별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 하였다.
① 이야기 A
죠라는 어린 소년이 그의 방에 있다. 그에게 저녁을 먹으라고 부른다. 그는 식당으로 간다. 그러나 식당문 뒤에 의자가 하나 있었고, 그 의자 위에는 15개의 컵이 놓여진 쟁반이 있었다. 죠는 문 뒤에 그런 것들이 있는지 몰랐다. 그는 식당으로 들어갔고 문이 그 쟁반을 쳐서 15개의 컵이 모조리 깨지고 말았다.
② 이야기 B
헨리라는 어린 소년이 있었다. 그의 어머니가 외출하고 없는 어느 날, 그는 찬장 위에 있는 잼을 꺼내려고 하였다. 그는 의자 위에 올라갔고 팔을 쭉 뻗어 잡으려 했다. 하지만, 잼이 너무 높은 곳에 있어 닿을 수가 없었다. 그는 잼을 잡으려다 그만 컵 하나를 치고 말았다. 그래서 그 컵이 떨어져 깨지고 말았다.
2) 전도덕적 기간
피아제(Piaget)에 따르면 학령 전 아동들은 규칙들에 대한 관심이나 자각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공기놀이 게임에서 이러한 전도덕적 기간의 아동들은 이기려는 의도를 가진 체계적인 놀이를 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들은 그들만의 규칙을 만들어 보이며 게임의 목적을 순서를 번갈아 가면서 재미있게 노는 것으로 생각한다.
3) 도덕적 사실주의 또는 타율적 도덕성의 단계
5~10세 사이의 아동들은 타율적 도덕성(heteronomous morality) 단계에 들어서면서 규칙에 대한 강한 존중심이 발달한다. 이 시기가 되면 아동들은 규칙들이 신, 경찰 혹은 그들의 부모와 같이 강력한 권위를 가진 존재들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믿으며, 이러한 규정들은 또한 매우 신성하며 불변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규칙에는 도덕적 절대성(moral absolutes)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모든 도덕적 상황에는 옳은 측면과 그른 측면이 있다고 믿게되고 언제나 규칙을 따르는 것을 옳은 의미로 생각한다.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또한 행위자의 의도보다는 객관적인 결과들을 가지고 행위의 시비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서, 도덕성 발달 연구의 과정에서 제시된 이야기에서 5-9세 사이의 많은 아동들은 선으로 문을 열고 들어가려다 15개의 컵을 깬 죠가 잼을 훔치려고 하다가 한 개의 컵을 갠 헨리보다 더 나쁘다고 판단한다.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속죄적인 처벌을 선호한다. 따라서 6세 아동들은 컵을 깬 아이에게 컵을 변상하도록 하기 보다는 종아리를 때리는 벌을 주는 것을 더 낫다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은 내재적인 정의(immanent justice) 사회 규칙을 위반하면 어떻게든 항상 처벌받게 될 것이라는 관념
를 믿는다. 따라서 만약 6세 아동이 과자를 몰래 훔쳐 먹으려다 넘어져서 무릎을 다쳤다면 그 아동은 그 상처가 자신의 위반 행위에 대한 처벌이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본다.
4) 도덕적 상대주의 또는 자율적 도덕성의 단계
10~11세에 이르면 대부분의 아동은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alism) 혹은 자율적 도덕성(autonomous morality)의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사회규칙은 구성원들에 의해 이의가 제기될 수도 있고 심지어 구성원들의 승인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는 임의적인 약속들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 규칙들이 인간 욕구 충족에 어긋날 수도 있다고 느낀다. 시비에 대한 판단은 이제 행위 자체의 객관적인 결과보다는 사회 규칙을 위반하거나 속이려는 행위자의 의도에 더 많이 의존하여 판단하게 된다. 위반에 대한 처벌 방법을 결정할 때에도 자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은 일반적으로 상호적 처벌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 위반의 의미를 이해시키고 위반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줄어들도록 잘못에 대해 적절한 처벌을 가하는 조치
를 선호한다. 자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더 이상 내재적 정의를 믿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경험을 통해 사회규칙을 위반하는 것이 종종 적발되지 않고 처벌받지 않게 된다는 것을 학습해왔기 때문이다.
4기
형식적 조작기
11세 이후
사고의 완전한 일반성, 명제적 사고, 가설적인 것을 다를 수 있는 능력, 강한 이상주의의 발달
<표>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별 특성
(4)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도덕성 발달 연구 이야기
피아제(Piaget)는 아이들에게 도덕 판단에 관한 두 이야기를 제시하고 참가한 아동들에게 “어떤 아이가 더 나쁜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그 나쁜 아이는 어떤 벌을 받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하여 단계별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 하였다.
① 이야기 A
죠라는 어린 소년이 그의 방에 있다. 그에게 저녁을 먹으라고 부른다. 그는 식당으로 간다. 그러나 식당문 뒤에 의자가 하나 있었고, 그 의자 위에는 15개의 컵이 놓여진 쟁반이 있었다. 죠는 문 뒤에 그런 것들이 있는지 몰랐다. 그는 식당으로 들어갔고 문이 그 쟁반을 쳐서 15개의 컵이 모조리 깨지고 말았다.
② 이야기 B
헨리라는 어린 소년이 있었다. 그의 어머니가 외출하고 없는 어느 날, 그는 찬장 위에 있는 잼을 꺼내려고 하였다. 그는 의자 위에 올라갔고 팔을 쭉 뻗어 잡으려 했다. 하지만, 잼이 너무 높은 곳에 있어 닿을 수가 없었다. 그는 잼을 잡으려다 그만 컵 하나를 치고 말았다. 그래서 그 컵이 떨어져 깨지고 말았다.
2) 전도덕적 기간
피아제(Piaget)에 따르면 학령 전 아동들은 규칙들에 대한 관심이나 자각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공기놀이 게임에서 이러한 전도덕적 기간의 아동들은 이기려는 의도를 가진 체계적인 놀이를 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들은 그들만의 규칙을 만들어 보이며 게임의 목적을 순서를 번갈아 가면서 재미있게 노는 것으로 생각한다.
3) 도덕적 사실주의 또는 타율적 도덕성의 단계
5~10세 사이의 아동들은 타율적 도덕성(heteronomous morality) 단계에 들어서면서 규칙에 대한 강한 존중심이 발달한다. 이 시기가 되면 아동들은 규칙들이 신, 경찰 혹은 그들의 부모와 같이 강력한 권위를 가진 존재들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믿으며, 이러한 규정들은 또한 매우 신성하며 불변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규칙에는 도덕적 절대성(moral absolutes)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모든 도덕적 상황에는 옳은 측면과 그른 측면이 있다고 믿게되고 언제나 규칙을 따르는 것을 옳은 의미로 생각한다.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또한 행위자의 의도보다는 객관적인 결과들을 가지고 행위의 시비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서, 도덕성 발달 연구의 과정에서 제시된 이야기에서 5-9세 사이의 많은 아동들은 선으로 문을 열고 들어가려다 15개의 컵을 깬 죠가 잼을 훔치려고 하다가 한 개의 컵을 갠 헨리보다 더 나쁘다고 판단한다.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속죄적인 처벌을 선호한다. 따라서 6세 아동들은 컵을 깬 아이에게 컵을 변상하도록 하기 보다는 종아리를 때리는 벌을 주는 것을 더 낫다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은 내재적인 정의(immanent justice) 사회 규칙을 위반하면 어떻게든 항상 처벌받게 될 것이라는 관념
를 믿는다. 따라서 만약 6세 아동이 과자를 몰래 훔쳐 먹으려다 넘어져서 무릎을 다쳤다면 그 아동은 그 상처가 자신의 위반 행위에 대한 처벌이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본다.
4) 도덕적 상대주의 또는 자율적 도덕성의 단계
10~11세에 이르면 대부분의 아동은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alism) 혹은 자율적 도덕성(autonomous morality)의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사회규칙은 구성원들에 의해 이의가 제기될 수도 있고 심지어 구성원들의 승인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는 임의적인 약속들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 규칙들이 인간 욕구 충족에 어긋날 수도 있다고 느낀다. 시비에 대한 판단은 이제 행위 자체의 객관적인 결과보다는 사회 규칙을 위반하거나 속이려는 행위자의 의도에 더 많이 의존하여 판단하게 된다. 위반에 대한 처벌 방법을 결정할 때에도 자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은 일반적으로 상호적 처벌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 위반의 의미를 이해시키고 위반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줄어들도록 잘못에 대해 적절한 처벌을 가하는 조치
를 선호한다. 자율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들은 더 이상 내재적 정의를 믿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경험을 통해 사회규칙을 위반하는 것이 종종 적발되지 않고 처벌받지 않게 된다는 것을 학습해왔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성격발달이론중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조사 정리 및 인지발달이론 선정이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영유아기를 중심으로 발달의 기제와 인지발달 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간략히 설명하고 1가지 주제를 정하여 주요발달 4단계에 맞춰 지도...
유아발달이론 중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이론을 선택하고 그 이유에 대해...
[유아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을 각각 설명하고 각 이...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반두라의 사회학...
[영아발달] 영아발달 이론 중 인지발달 이론에 대한 이해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기본개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개념과 인지발달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아동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시오. (피아제의 인지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인지발달단계)
[아동복지론 연구] 아동발달이론 [아동발달 이론 쟁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기본개념과 인지발달단계의 특성을 설명하고 인지발달이론의 한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