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과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비교 설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과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비교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

2.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

3. 교육목표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의 교육목표
2)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의 교육목표

4. 교육내용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의 교육내용
2)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의 교육내용

5. 교육방법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의 교육방법
2)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의 교육방법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학생들의 교육적 성장이 가능함을 뜻한다. 그러나, 우리의 현 교육현실은 입시위주 교육으로 말미암아 삶과 괴리된 죽은 지식 전수에 급급하다. 때문에 학생들은 교육의 주체로서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수동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교육의 근본목적에 어긋나는 것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리 교육에 듀이의 교육관을 적용해 볼 만하다.
참고문헌
김대현, Hirst의 지식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1994.
박재문, 구조주의 인식론에 비추어 본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 교육과학사, 1978.
Bruner, J. S.,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1960, 이홍우(역),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1973.
김태길(1990), 존 듀이의 사회철학, 서울: 명문당.
김태오(1987), "Dewey 의 인식론과 교육", 교육철학 제 5집, 한국교육철학회, 71∼89.
성기산(역)(1997)., 교육받은 사람 I·II, 서울: 집문당,
신일철(1988), 현대철학사상의 새 흐름, 서울: 집문당.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9.13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