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무도의 역사적 배경과 기술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무도의 역사적 배경과 기술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용무도의 역사적 배경
1.용무도의 발생 과정--2
2.용무도의 의의------2
3.용무도의 목적-------2
4.용무도의 학문적 배경-------3
5.용무도의 특성------3
6.용무도의 교육학적 가치------3
II.용무도의 추진과정
1.추진 기본 방향------5
2.각 팀 운영 방침-----5
3.각 팀 업무------6
4.정관제정------6
5.조직 및 보급-------6
6.추진과정------6
III.향후 추진계획
1.한국화(Localization)-------8
2.세계화(Globalization)------8
IV.용무도의 기술 체계
1.기술 구성-------9
2.용무도 익히기------10
3.단위 제도------10

본문내용

주요 업무는 용무도의 사상적, 철학적, 교육학적, 스포츠과학적 학문적 배경 관련 내용과 용무도의 구조를 체계화하고, 조직체계를 명문화하여 정관을 제정하였다.
4.정관 제정
용무도의 정관 제정은 1999년 4월 20일 용인대학교 무도회관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제1차 세미나 세계용무도연맹의 총칙, 목적, 사업, 조직, 임원, 집행위원회, 각 분과위원회 등 제정, 단위심사, 심의, 경기, 보급 및 운영에 관한 제 규정을 제정하였다.
5.조직 및 보급
가. 국제적 조직 : 일반 스포츠의 국제적 조직과 마찬가지로 세계용무도연맹을 창립하여 국제적인 조직을 갖춘다.
나. 본부 : 용인대학교 무도대학내에 둔다.
다. 보급 : 일반 스포츠의 국제적 조직과 마찬가지로 세계용무도연맹을 창립하여, 한국, 용인대학교의 국제적 교육 상품화 차원에서 각국으로 순회 및 각국 지도자 초청 강습회 등을 통하여 보급한다.
6.추진과정
1998년 10월 15일부터 1999년 6월 24일 용무도 개발, 추진되었던 과정은 다음과 같다.
- 6 -
추진일자
주요 추진 내용
1998. 10. 15 무도대학교수회의
(학장실)
-한기도(국무도)의 개발 필요성 제안 및 설명
1998. 11. 20 ‘98. 1차 자체세미나
(소장실)
-한기도(국무도) 기술개발 방향 모색
1998. 12. 01 무도연구소/운영위
(소장실)
-한기도(국무도) 기술개발 방향 및 시안
1998. 12. 03 ‘98. 2차 자체세미나
(소장실)
-한기도(국무도) 기술개발 방향
1998. 12. 15 ‘98 3차 자체세미나
(도장)
-한기도(국무도) 기술개발 시안 발표회
1999. 03. 19 4차 자체 세미나
(도장)
-한기도(국무도) 기술개발(I) 시연회
<한기도(국무도) 공식화 발표>
1999. 03. 24 자체교육개혁위원회
“한기도(국무도)개발, 보급” 과제 채택
1999. 04. 09 교무위원회
-한기도(국무도)개발 추진과정 보고
1999. 04. 12 교육부
-교개위 과제신청서 : 교육부 - 서면보고
1999. 04. 20 ‘99년도 1차 세미나
(무도체육회관 세미나실 8202호)
-1999년도 제1차 한기도(국무도)
기술개발 학술세미나
1)주제발표 : 한기도(국무도)의 한국화와 세계화 방안 (I)
2)준비운동
3)기술발표
4)Han-Robics
5)정관 및 하계캠프
1999. 05. 21 ‘99년도 2차 세미나
(무도체육회관 세미나실 8202호)
-1999년도 제2차 한기도(국무도)학술세미나
1)국무도의 한국화와 세계화 방안(II)
2)국무도 기술 개발
3)국무도 기술 개발(검술 중심)
4)국무도 기술 개발(발기술 중심)
5)예법/준비 및 정리운동
6)Han(Kukmu-Robics)
1999. 06. 24 ‘99년도 3차 세미나
(무도체육회관 합기도장)
-1999년도 제3차 국무도 기술개발 학술세미나
1)예법/준비 및 정리운동
2)국무도 기술 개발(검술, 봉술 중심)
3)국무도 기술 개발(관절기 중심)
2000. 01. 11 사단법인 인가
-2001년도 용무도 사단법인 인가(경기도)
1)법인명 : 사단법인 대한용무도협회
2)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삼가동 470
3)설립목적 : 용무도 기술체계의 정립과 보급 및 연구개발을 하고 수련과 교육에 종사하는 회원들의 권익 보호
- 7 -
III.향후 추진계획
용무도는 한국적 무도체계의 하나로 개발되어 한국무도의 위상제고와 무도, 스포츠교육의 초일류화를 기하는 원대한 구상을 하고 있다.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용무도의 체계적인 기술 개발과 토착화는 물론, 국내 외에 보급 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발팀에서 지향하는 무도교육의 확산을 위한 2대 전략은 용무도의 한국화와 세계화로 다음과 같다.
1.한국화(Localization)
용무도의 한국화, 내실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현한다.
1.용무도의 한국 사상적, 무도 철학적, 무도과학 등의 학술적 배경과 기술을 체계화 한다.
2.전국의 무도개열학과의 재학생과 졸업생들에게 특별 교육을 통하여 보급한다.
3.시범단을 구성하여 홍보, 보급한다.
4.교재(교본 및 비디오 자료 등)을 제작하여 홍보, 보급한다.
2.세계화(Globalization)
용무도의 세계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현한다.
1.각국에서 도장을 경영하고 있는 동문 지도자를 대상으로 교육시켜 이들로 하여금 보급 및 확산하도록 한다.
2.매년 방학을 이용하여 동하계캠프(국제무도캠프)를 용인대학교에서 실시한다.
3.외국인을 위한 숙소는 용인대학교 기숙사를 비롯한 국내 숙박시설을 이용한다.
4.국제적 조직인 국제연맹의 창립을 통하여 공식화한다.
5.교재(교본 및 비디오)를 제작하여 홍보 및 보급한다.
- 8 -
IV.용무도의 기술 체계
1.기술 구성
용무도의 기술 체계는 1999년 4월 20일 제1차 용무도(한기도, 국무도) 기술개발 학술세미나에서 기본동작인 기초기술과 대인기술로 구성하여 제시 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기본동작 (기초기술)
- 예 법 : 입례, 좌례
- 기본자세 : 서기, 걷기, 겨눔자세, 낙법 등
2)대인기술 : 손기술, 발기술, 몸기술, 무기술 등
3)응용기술 : 기초기술, 대인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연결기술과 되치기 기술
한편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무기술 과정으로 분류한다.
[초급과정]
기초기술
대인기술
호신형 기술
[중급과정]
기초기술
대인기술
연결기술
제압형 기술
[고급과정]
기초기술
대인기술
연결기술
되치기 기술
1.1 대련
1.1.1 약속대련
1.1.2 자유대련
1.2 호신술
1.2.1 손 공격
1.2.2 발 공격
1.2.3 무기 공격
- 9 -
2.용무도 익히기
2.1 몸 만들기 (준비운동, 정리운동)
2.2 기술 익히기 (기초/대인/연결기술)
2.3 형 익히기 (호신형, 제압형)
2.4 훈련방법 (체력/기술)
3.단위 제도
용무도의 단위제도는 전래의 무도와 같이 단위제도를 인정하며 , 초단에서 최고 10단까지로 한다.
- 10 -
참고문헌
사단법인 대한용무도협회 홈페이지
http://www.yongmoodo.com
무도시리즈 용무도 (저자 : 용인대학교 동양무예학과 교수 공저)
도서출판 홍경
- 11-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9.1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