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손상(impairment), 장애(disability), 핸디캡(handicap) 구분
2.『특수교육진흥법』, 『장애인복지법』, 『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의 장애영역 분류
3. 장애 명칭 사용에 대한 의견
2.『특수교육진흥법』, 『장애인복지법』, 『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의 장애영역 분류
3. 장애 명칭 사용에 대한 의견
본문내용
명칭사용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교사가 명칭사용의 목적을 잘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경우이다. 명칭사용이 낙인이 되어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교사는 계속적으로 아동이 과제를 수행하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장애아동이라는 이유로 지나치게 쉬운 과제를 내주거나 직접 아동의 과제수행을 해결해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추천자료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
지체장애인(지체 장애아동의 특성과 심리)
장애인복지 -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발달장애 심리학 - 학습장애
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발제
시각장애인의 현황과 시각장애인의 재활훈련 서비스 및 직업재활 방법
장애인의 정의와 분류 및 장애인복지 실태와 프로그램 분석
여성장애인의 현황 및 실태와 여성 장애인 복지정책 문제 및 향후 과제
장애의 종류와 특성 및 장애인 복지의 필요성
장애인과 장애수당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이해 및 발전전략 고찰
지체장애 신체장애인의 분류 및 특성
장애인문제와 장애인복지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과 편견에 대해 설명하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개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