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상지대의 근육(muscles of should)
1. 삼각근(deltoid)
2. 견갑하근(subscapularis)
3. 극상근(supraspinatus)
4. 극하근(infraspinatus)
5. 소원근(teres minor)
6. 대원근(teres major)
(2) 상완의 근(muscles of arm)
1.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2. 상완근(brachialis)
3.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4. 상완 삼두근(triceps brachii)
5. 주근(anconeus)
(3) 전완의 근(muscles of forearm)
1. 전완의 굴근(flexors of forearm)
2. 전완의 신근(extensors of forearm)
(4) 수근(muscles of hand)
1. 무지구근(then muscles)
2. 소지구근(hypothenar muscles)
3. 중간근(intermediate muscles)
1. 삼각근(deltoid)
2. 견갑하근(subscapularis)
3. 극상근(supraspinatus)
4. 극하근(infraspinatus)
5. 소원근(teres minor)
6. 대원근(teres major)
(2) 상완의 근(muscles of arm)
1.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2. 상완근(brachialis)
3.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4. 상완 삼두근(triceps brachii)
5. 주근(anconeus)
(3) 전완의 근(muscles of forearm)
1. 전완의 굴근(flexors of forearm)
2. 전완의 신근(extensors of forearm)
(4) 수근(muscles of hand)
1. 무지구근(then muscles)
2. 소지구근(hypothenar muscles)
3. 중간근(intermediate muscles)
본문내용
다.
⑤ 장무지굴근(flexor pollicis longus) 요골의 전면과 전완의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무지의 말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 말절골을 굴곡시킨다.
⑥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척골의 전면과 전완의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4개의 건으로 나뉘어서 제2-5지의 말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제2-5지의 굴곡과 손목의 굴곡을 보조하는 작용을 한다.
⑦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 척골 하단의 전면에서 기시하여 가로로 진행하다가 요골하단의 전면에 정지하는 사각형의 근육으로 전완을 회내시키는 작용을 한다.
2.전완의 신근(extensors of forearm)
① 완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요골 하단의 경상돌기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위치와 신경지배로 보아 전완의 신근에 속하지만 전완의 굴곡 외에 전완의 회내, 회외 또는 회전에 관여한다.
② 장요측수근신근(extensor capi radialis longus)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제2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손목의 신저과 외전에 작용한다.
③ 단요측수근신근(extensor capi radialis brevis)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제3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장요측수근신근의 아래에 있으며 장요측수근신근을 도와 손목의 신전과 외전에 작용한다.
④ 지신근(extensor digitorum)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4개의 건으로 나누어 져 제2-5지의 말절골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제2-5지와 손목을 신전시킨다.
⑤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상완골의 외측상과와 척골의 후면에서 기시하여 제5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손목의 신전과 내전에 작용한다.
⑥ 회외근(supinator) 상완골의 외측상과와 척골의 후면에서 기시하여 요골의 외측며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전와의 회외에 작용한다.
⑦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icis longus) 척골과 요골의 후면 및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제1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와 손목의 외전에 작용한다.
⑧ 장무지신근(extensor policis longus) 척골의 후면과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무지의 말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의 신전과 외전에 작용한다.
⑨ 단무지신근(extensor policis brevis) 요골의 후면과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무지의 기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 기절고의 신전과 외전에 작용한다.
⑩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척골의 후면과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제2지 지신근의 건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제2지의 신정에 작용한다.
(4) 수근(muscles of hand)
손등에는 배측골간근 이외에 전완에서 신근들의 건만 있고 손바닥에는 수장건막의 아래에 대부분의 근육이 있는데 무지구근, 소지구근 그리고 중간근(중수근)으로 구분한다.
1. 무지구근(then muscles)
무지구(then eminence)라는 둥근 융기를 형성하는 근육들로 천층부터 심층에 거쳐서 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단무지굴근(flexor pollicis brevis), 무지대립근(opponens pollics) 및 무지내전근(abductor pollicis)이 있는데, 무지으 굴곡, 내전 및 외전에 관여 한다. 특히, 무지대립근은 무지를 소지쪽으로 당겨 물건을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소지구근(hypothenar muscles)
소지구(hypothenar eminence)를 형성하는 근육들로 천층부터 심층에 걸쳐서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단소지굴근(flexor digiti brevis) 및 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이 있는데 소지의 및 외전에 관여한다. 특히, 소지대립근은 소지를 무지쪽으로 당겨 물건을 잡는데 중요한다.
3. 중간근(intermediate muscles)
충양근(lumbricales, 4개), 장측골간극(palmar interossei, 3개) 및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4개)으로 구성되며 손가락으 굴곡, 신전, 내전 및 외전에 관여한다.
-참고문헌-
고영환(2002), 운동해부학, 홍경.
전세열(2004), 미용해부생리학, 광문각.
박용우(2002), 인체해부학, 신광출판사.
BERNARD KINGSTON(2005), 근육해부학, 군자출판사.
⑤ 장무지굴근(flexor pollicis longus) 요골의 전면과 전완의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무지의 말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 말절골을 굴곡시킨다.
⑥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척골의 전면과 전완의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4개의 건으로 나뉘어서 제2-5지의 말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제2-5지의 굴곡과 손목의 굴곡을 보조하는 작용을 한다.
⑦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 척골 하단의 전면에서 기시하여 가로로 진행하다가 요골하단의 전면에 정지하는 사각형의 근육으로 전완을 회내시키는 작용을 한다.
2.전완의 신근(extensors of forearm)
① 완요골근(brachioradialis)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요골 하단의 경상돌기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위치와 신경지배로 보아 전완의 신근에 속하지만 전완의 굴곡 외에 전완의 회내, 회외 또는 회전에 관여한다.
② 장요측수근신근(extensor capi radialis longus)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제2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손목의 신저과 외전에 작용한다.
③ 단요측수근신근(extensor capi radialis brevis)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제3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장요측수근신근의 아래에 있으며 장요측수근신근을 도와 손목의 신전과 외전에 작용한다.
④ 지신근(extensor digitorum) 상완골의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4개의 건으로 나누어 져 제2-5지의 말절골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제2-5지와 손목을 신전시킨다.
⑤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상완골의 외측상과와 척골의 후면에서 기시하여 제5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손목의 신전과 내전에 작용한다.
⑥ 회외근(supinator) 상완골의 외측상과와 척골의 후면에서 기시하여 요골의 외측며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전와의 회외에 작용한다.
⑦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icis longus) 척골과 요골의 후면 및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제1중수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와 손목의 외전에 작용한다.
⑧ 장무지신근(extensor policis longus) 척골의 후면과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무지의 말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의 신전과 외전에 작용한다.
⑨ 단무지신근(extensor policis brevis) 요골의 후면과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무지의 기절골 저부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무지 기절고의 신전과 외전에 작용한다.
⑩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척골의 후면과 골간막에서 기시하여 제2지 지신근의 건에 정지하는 근육으로 제2지의 신정에 작용한다.
(4) 수근(muscles of hand)
손등에는 배측골간근 이외에 전완에서 신근들의 건만 있고 손바닥에는 수장건막의 아래에 대부분의 근육이 있는데 무지구근, 소지구근 그리고 중간근(중수근)으로 구분한다.
1. 무지구근(then muscles)
무지구(then eminence)라는 둥근 융기를 형성하는 근육들로 천층부터 심층에 거쳐서 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단무지굴근(flexor pollicis brevis), 무지대립근(opponens pollics) 및 무지내전근(abductor pollicis)이 있는데, 무지으 굴곡, 내전 및 외전에 관여 한다. 특히, 무지대립근은 무지를 소지쪽으로 당겨 물건을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소지구근(hypothenar muscles)
소지구(hypothenar eminence)를 형성하는 근육들로 천층부터 심층에 걸쳐서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단소지굴근(flexor digiti brevis) 및 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이 있는데 소지의 및 외전에 관여한다. 특히, 소지대립근은 소지를 무지쪽으로 당겨 물건을 잡는데 중요한다.
3. 중간근(intermediate muscles)
충양근(lumbricales, 4개), 장측골간극(palmar interossei, 3개) 및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4개)으로 구성되며 손가락으 굴곡, 신전, 내전 및 외전에 관여한다.
-참고문헌-
고영환(2002), 운동해부학, 홍경.
전세열(2004), 미용해부생리학, 광문각.
박용우(2002), 인체해부학, 신광출판사.
BERNARD KINGSTON(2005), 근육해부학, 군자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