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화와 교육

3. 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대한 비판적으로 논의

4. 참고 자료

본문내용

확해야만 평가결과를 수용하는 풍토가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평가를 학교장이나 교감이 악용하는 일이 없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야 하고 학부형도 평가결과를 빌미로 하여 학교에 압력을 가하고 학사관리에 간섭하는 부당한 처사가 없도록 제도적인 차단장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3-8. 낙후된 교육 시설
교육시설- 실험기재, 연구기재, 운동기구, 학습기구-은 항상 타 항목에 비해 저순위로 집행되고 낙후되거나 사용치 못하는 기재로 학습을 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교육을 진행시키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었다. 특히 만년 적자예산에 시달리는 농어촌지역의 학생들은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기본적인 권리마저도 박탈당하고 있는 상황에 이른게 오늘의 현실이다. 이는 초등하교는 말할 것도 없고 대학 교육까지도 버젓이 간판만 대학이라 붙여 놓고 제대로되 실험 기재 하나 변변히 못 갖추어 놓고 훌륭한 졸업생이 배출되어 나라를 이루는 근간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제대로된 교육시설을 갖추려면 교육청에서 일정 시설 목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인·물적 자원 제도 정비강화는 물론 시설예산의 엄격한 집행이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3-8. 잘못된 교육관
이러한 미래 지향적 교육을 생각할 때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엇보다도 잘못된 ‘교육관’이다. 교육을 지위향상의 수단으로만 보는 생각 자체가 교육을 왜곡시킬 뿐 아니라 국민 경제를 교란시킴은 물론, 국가 발전의 목표 가치마저 전도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출세의 통로로 인식하는 교육은 지식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지배하게 되고 입시 지향으로 변질된다. 우리나라 교육의 앞날을 위해 이러한 왜곡된 교육관 자체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국민적 인식이 필요하다.
4. 참고 자료
-강지영, Tyler의 교육과정이론과 장상호의 교육본위론의 비교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석삭학위논문, 2007
-노희관, 이용남, 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교육과학사, 2000.
-양미경,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교육과학사, 2003.
-이귀윤, 교육과정 연구, 교육과학사, 1996.
-장상호,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재구성, 교육원리연구, 9(1), 83-176.
-김신일, 공교육제도의 형성과 전개, 교육과학사, 2003.
-윤정일, 학교교육 붕괴에 관한 대책방안, 21세기 교육의 변화와 학교 위기의 극복방안, 한·미·일 국제 교육정책 세미나, 2001.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0.1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5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