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고지의 종류
III. 불고지 오고지의 효과
II. 고지의 종류
III. 불고지 오고지의 효과
본문내용
출된 때에 심판청구가 제기된 것으로 본다.
(2) 청구기간
청구인이 실제로 처분이 있었음을 알았는지 여부와 심판청구기간에 관하여 알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항상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180일 이다.
2. 오고지의 효과
(1) 청구기간 (법 제17조2항)
(2) 청구기간 (법 제18조 5항)
1) 법률에 의한 심판청구기간보다 길게 고지한 경우에는 그 고지된 기간 내에 심판청구가 있으면 법정 청구기간이 경과되었더라도 법정 기간 내에 제기된 것으로 본다.
2) 법정 기간보다 짧게 고지된 경우에는 당연히 아무런 효과를 발생할 수 없으며 법정 기간내에 제기하면 될 것이다.
3. 행정청이 당해 처분에 대해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음에도 이를 불가한 것으로 고지한 경우의 구제조치에 관한 규정이 없어서 문제가 된다.
(2) 청구기간
청구인이 실제로 처분이 있었음을 알았는지 여부와 심판청구기간에 관하여 알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항상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180일 이다.
2. 오고지의 효과
(1) 청구기간 (법 제17조2항)
(2) 청구기간 (법 제18조 5항)
1) 법률에 의한 심판청구기간보다 길게 고지한 경우에는 그 고지된 기간 내에 심판청구가 있으면 법정 청구기간이 경과되었더라도 법정 기간 내에 제기된 것으로 본다.
2) 법정 기간보다 짧게 고지된 경우에는 당연히 아무런 효과를 발생할 수 없으며 법정 기간내에 제기하면 될 것이다.
3. 행정청이 당해 처분에 대해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음에도 이를 불가한 것으로 고지한 경우의 구제조치에 관한 규정이 없어서 문제가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헌법]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심판권과 그 내용
디자인보호법에서 규정하는 심판들에 대해
[특허법] 거절사정에 대한 심판(拒絶査定에 대한 審判)
[특허법] 특허법상 심판(審判)이란 무엇인가
[특허법] 특허무효심판(特許無效審判)
[특허법] 특허이의신청과 무효심판의 비교
[특허법] 특허법상 권리범위확인심판(權利範圍確認審判)
[특허법] 특허정정심판(訂正審判)
[특허법] 특허법상 심판(審判)에 대한 모든 것
2008년 2학기 헌법2 중간시험과제물 E형(권한쟁의심판)
2008년 2학기 헌법2 중간시험과제물 B형(헌법소원심판대상)
국고금관리제도 및 정부회계처리제도
[상속법, 상속제도, 상속인, 상속세, 상속개시, 재산분할, 사유재산제도, 상속권, 재산상속,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