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학의 유용성
2. 사회학의 제이론 중 기능주의 이론
3. 사회학의 제이론 중 갈등주의 이론
4.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사회관
5.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이해
6.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기능에 대한 관점
7.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공통점과 한계점
참고문헌
2. 사회학의 제이론 중 기능주의 이론
3. 사회학의 제이론 중 갈등주의 이론
4.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사회관
5.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이해
6.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기능에 대한 관점
7.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공통점과 한계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별, 관료주의적 상담실 운영 등을 비판하고 있다. 잠재적 교육과정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그 속에 내재된 계급성을 찾아내려 한다. 띠로는 학교를 교도소에 비유하기도 한다.
7.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공통점과 한계점
1) 공통점
- 교육을 정치와 경제적 구조의 종속변수로 인식(거시적 관점을 취함)
- 교육은 기존의 사회구조와 문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전제
- 교육의 기능을 외적 요인에 기초하여 설명
- 학교의 내적 교육과정을 암흑상자로 간주
2)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한계점
- 사회 또는 경제구조가 인간을 지배한다고 봄
- 인간을 의지도 자유도 없는 수동적 인간으로 간주
- 사회학의 기본전제인 인간과 인간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함
- 학교 내적인 교육과정을 암흑상자로 간주하고 투입-산출의 외형적인 연구에만 치중
참고문헌
Marx, K, 1967, Capital, tr. by Moore, S. and Aveling, E.,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칼 마르크스·엥겔스. 1988. 『독일이데올로기』. 청년사.
칼 마르크스. 1990. 『임금·가격·이윤』. 남상일 옮김. 백산서당.
7.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공통점과 한계점
1) 공통점
- 교육을 정치와 경제적 구조의 종속변수로 인식(거시적 관점을 취함)
- 교육은 기존의 사회구조와 문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전제
- 교육의 기능을 외적 요인에 기초하여 설명
- 학교의 내적 교육과정을 암흑상자로 간주
2)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한계점
- 사회 또는 경제구조가 인간을 지배한다고 봄
- 인간을 의지도 자유도 없는 수동적 인간으로 간주
- 사회학의 기본전제인 인간과 인간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함
- 학교 내적인 교육과정을 암흑상자로 간주하고 투입-산출의 외형적인 연구에만 치중
참고문헌
Marx, K, 1967, Capital, tr. by Moore, S. and Aveling, E.,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칼 마르크스·엥겔스. 1988. 『독일이데올로기』. 청년사.
칼 마르크스. 1990. 『임금·가격·이윤』. 남상일 옮김. 백산서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