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생화학적 실험과 미생물의 생육조절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원리>

▶전분의 가수분해

▶단백질의 가수분해

▶ 지질의 가수분해

▶ 미생물의 생육조절방법( 물리적 조절방법-자외선)

본문내용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는 불투명한 카제인이 투명하게 된다.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einase를 미생물이 갖고 있으면 positive (+)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einase를 미생물이 갖고 있지 않으면 negative (-)
▷미생물의 생육 조절 방법
① 배양된 세균을 평판배지에 묻힌다. (spreader로 균을 도말한다.)
② 자외선 램프의 5cm아래에 배지 표면이 위로 향하도록 각각의 평판배지를 놓아 둔다.
③ 대조구 , 5분, 15분, 30분간 페트리 접시의 뚜껑을 열어놓는다.
┖ UV처리 해주지 않은 것
④ 시간이 끝나면 뚜껑을 덮고, 뒤집어서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Results
▶▷ 미생물의 생화학적 실험
1
2
3
Escherichia coli
+
iodine 용액을 떨어뜨리고 관찰하니 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Salmonella typhi
+
iodine 용액을 떨어뜨리고 관찰하니 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Staphylococcus aureus
+
iodine 용액을 떨어뜨리고 관찰하니 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1
2
3
공기
+
iodine 용액을 떨어뜨리고 관찰하니 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
처음과 달리 불투명했던 배지가 투명하게 되었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Bacillus subtilis
+
iodine 용액을 떨어뜨리고 관찰하니 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
처음과 달리 불투명했던 배지가 투명하게 되었다.
(부분적으로)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
iodine 용액을 떨어뜨리고 관찰하니 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
처음과 달리 불투명했던 배지가 투명하게 되었다
-
배지는 처음과 똑같이
불투명한 모습이었다
▶▷ 미생물의 생육조절방법
UV를 쬐지 않은 E.coli의 plate를 관찰 하니 아무것도 배양되지 않았다.
UV를 5분 동안 처리한 E.coli의 plate를 관찰하니 세 개의 plate 중에서 가장 많이 배양 되었다.
(colony 수 : 약 146개)
UV를 5분 동안 처리한 E.coli의 plate를 관찰하니 약간 배양되었다.
(colony 수 : 4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1.09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