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사전의 역사
1. 중국의 사전
2. 서양의 사전
1) The English Dictionarie(1623)
2) 프랑스어 사전(1694)
3) 존슨의 영어사전
4) 미국 영어 사전(1828)
5) 옥스퍼드 영어 사전(1928)
3. 국어사전
1) 한국어대사전
2) 종합 국어대사전
Ⅲ. 사전의 전문용어
Ⅳ. 사전의 동향
Ⅴ. 사전과 전자백과사전
Ⅵ. 사전과 동사활용사전
1. 201 KOREAN VERBS
1) 지은이
2) 구성
2. A HANDBOOK OF KOREAN VERBAL CONJUGATION
1) 지은이
2) 구성
3. 두 사전의 비교 및 대안 모색
1) 표기법
2) 각 어휘별 등재항목
3) 용례의 분류기준 및 높임법
Ⅶ. 사전과 국어사전
1. 사전 이용의 의미
2. 국어사전을 사용하는 방법
1) 사전 찾아보는 방법
2) 사전에 실린 낱말에 대한 풀이 방법
3. 사전에 실린 여러 가지 기호에 대한 풀이
1) 품사
2) 불규칙 활용
3) 전문어
4) 외래어
5) 기호
참고문헌
Ⅱ. 사전의 역사
1. 중국의 사전
2. 서양의 사전
1) The English Dictionarie(1623)
2) 프랑스어 사전(1694)
3) 존슨의 영어사전
4) 미국 영어 사전(1828)
5) 옥스퍼드 영어 사전(1928)
3. 국어사전
1) 한국어대사전
2) 종합 국어대사전
Ⅲ. 사전의 전문용어
Ⅳ. 사전의 동향
Ⅴ. 사전과 전자백과사전
Ⅵ. 사전과 동사활용사전
1. 201 KOREAN VERBS
1) 지은이
2) 구성
2. A HANDBOOK OF KOREAN VERBAL CONJUGATION
1) 지은이
2) 구성
3. 두 사전의 비교 및 대안 모색
1) 표기법
2) 각 어휘별 등재항목
3) 용례의 분류기준 및 높임법
Ⅶ. 사전과 국어사전
1. 사전 이용의 의미
2. 국어사전을 사용하는 방법
1) 사전 찾아보는 방법
2) 사전에 실린 낱말에 대한 풀이 방법
3. 사전에 실린 여러 가지 기호에 대한 풀이
1) 품사
2) 불규칙 활용
3) 전문어
4) 외래어
5) 기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니까, -습디다, -습디까, -ㅂ시다, -십시오
② Plain : -다, -느냐, -더냐, -더라, -자, -아라
ㄴ. Informal
① Familiar
㉠ Polite : -네요, -가요, -세요, -게요,
㉡ Plain : -네, -는가, -세, -게, 던가, -데
② Intimate
㉠ Polite : -어요
㉡ Plain : -어
③ Casual
㉠ Polite : -지요
㉡ Plain : -지
이 분류는 몇 가지 점에서 아주 특이하다. 첫째, 아주높임, 예사높임, 예사낮춤, 아주낮춤 등의 국내학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 대신 Familiar, Intimate, Casual/ Polite, Plain 등을 쓰고 있다. 이러한 분류법은 Martin(1954), Vandesande/T. Park(1968)에 따른 것으로, 영어를 모국어로 쓰고 있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한국어 높임법을 분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201』에는 Familiar, Intimate, Casual에 대한 개념 설명이 구체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어떤 근거로 이렇게 분류를 했는지는 잘 알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Familiar, Intimate, Casual 등은 높임의 ‘상하 등급’을 나타내기보다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수평적 친밀도’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네(요), -가(요), -세(요), -게(요)’는 Familiar, ‘-어(요)’는 Intimate, ‘-지(요)’는 Casual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것이 과연 적합한 분류인지도 재고해 보아야 한다.
둘째,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분류가 국내의 일반 논의와 다르다. 즉 ‘-네, -가, -세, -게, 네’ 등은 격식체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비격식체로 분류했다. 그리고 높임법을 2가지의 격식체와 6가지의 비격식체로 분류했는데, 높임법의 분류상의 불균형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되면 한국인들은 주로 비격식체를 사용하는 셈이다.
셋째, 기술대상 어미의 수 26개로 너무 적어서, 높임법 체계를 세우는 데 한계가 있다. 즉 약속법의 ‘-으마’, 감탄법의 ‘-도다’, 서술법의 ‘-구나, -오’, 의문법의 ‘-니, -나’ 등 기본적인 종결형어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Ⅶ. 사전과 국어사전
1. 사전 이용의 의미
국어사전을 찾아봄으로써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어휘력도 향상시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2. 국어사전을 사용하는 방법
1) 사전 찾아보는 방법
모든 표제어는 다음과 같은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1) 초성의 차례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ㄷ ,ㅍ, ㅎ
(2) 중성의 차례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3) 종성의 차례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4) 글자가 같은 말에 있어서는 순 우리말을 한자어나 외래어 앞에 놓고,
현대어는 고어에, 단음인 것은 장음인 것에, 실사가 허사에 각각 앞서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2) 사전에 실린 낱말에 대한 풀이 방법
(1) 풀이는 현대에 쓰이는 뜻을 정확히 잡아, 보통 쉽고 간명하게 밝혀 둔다.
(2) 말의 개념을 더욱 또렷하게 하기 위하여 풀이 외에 동의어, 용례 등이 제시되어 있고 원말과 변한말, 준말과 본디말, 큰말과 작은말, 센말. 거센말. 상대말 등의 관계도 밝혀둔다.
(3) 한 어휘의 뜻이 여럿 일 때는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①②③......의 차례로 나열되어 있다.
3. 사전에 실린 여러 가지 기호에 대한 풀이
1) 품사
명사 / 대명사/ 수사/ 형용사/ 동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약어/ 속담
/ 보조형용사/ 보조동사/ 보조어간/ 접두사
/ 접미사/ 어미/ 이은말
2) 불규칙 활용
ㄷ 불규칙 활용/ ㅂ 불규칙 활용/ ㅅ 불규칙 활용
ㅎ 불규칙 활용/ 거라 불규칙 활용/
너라 불규칙 활용/ 러 불규칙 활용/
르 불규칙 활용/ 여 불규칙 활용/ 우 불규칙 활용
3) 전문어
(건) 건축/ (경) 경제/ (공) 공업/ (광) 광물/ (교) 교육/ (군) 군사/
(논) 논리/ (농) 농업/ (동) 동물/ (문) 문화/ (물) 물리/ (미) 미술/
(민) 민속/ (법) 법률/ (불) 불교/ (사) 사회/ (생) 생물. 생리/ (수) 수학/
(식) 식물/ (심) 심리학/ (약) 약학/ (어) 어학/ (역) 역사/ (연) 연극, 영화/
(기) 기독교/ (옛) 고어/ (윤) 윤리학/ (음) 음악/ (의) 의학/ (인) 인쇄/
(정) 정치/ (제) 고제도/ (조) 조각/ (종) 종교/ (지) 지리/ (천) 천문학/
(철) 철학/ (체) 체육/ (카) 카톨릭/ (토) 토목/ (한) 한의, 한약/ (화) 화학/
(회) 회화
4) 외래어
그 그리이스말/ 네 네덜란드말/ 러 러시아말/ 독 독일말/ 라 라틴말/
몽 몽고말/ 범 범어/ 스 스페인말/ 아 아라비아말/ 이 이탈리아말/
일 일본말/ 중 중국말/ 포 포르투갈말/ 프 프랑스말/ 히 히부리말/
5) 기호
:장음인 글자 뒤에./ - 복합어 사이에./ - 접두사와 접미사 어미 앞에./
〔〕발음표시/ 〓 가 보라는 뜻으로 동의어 앞에. 고어에서는 참고의 뜻./
→ 앞의 말이 틀린 말일 때 바른말 앞에./ ← 바뀐 발음의 어원 앞에./
< 큰말 앞에./ > 작은말 앞에./ ↔ 상대 말 앞에./ * 풀이가 아닌 부분. 곧 용례나 고어 출전의 원문 앞에./ -- 바로 앞에 나온 올림말의 되풀이.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대한토목학회(1998), 토목용어사전, 기문당
두산동아(1998), 동아새국어사전, 서울 : 두산동아
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이수열(1995), 국어사전과 국어 순화, 새국어생활 10
한글학회(1991),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② Plain : -다, -느냐, -더냐, -더라, -자, -아라
ㄴ. Informal
① Familiar
㉠ Polite : -네요, -가요, -세요, -게요,
㉡ Plain : -네, -는가, -세, -게, 던가, -데
② Intimate
㉠ Polite : -어요
㉡ Plain : -어
③ Casual
㉠ Polite : -지요
㉡ Plain : -지
이 분류는 몇 가지 점에서 아주 특이하다. 첫째, 아주높임, 예사높임, 예사낮춤, 아주낮춤 등의 국내학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 대신 Familiar, Intimate, Casual/ Polite, Plain 등을 쓰고 있다. 이러한 분류법은 Martin(1954), Vandesande/T. Park(1968)에 따른 것으로, 영어를 모국어로 쓰고 있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한국어 높임법을 분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201』에는 Familiar, Intimate, Casual에 대한 개념 설명이 구체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어떤 근거로 이렇게 분류를 했는지는 잘 알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Familiar, Intimate, Casual 등은 높임의 ‘상하 등급’을 나타내기보다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수평적 친밀도’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네(요), -가(요), -세(요), -게(요)’는 Familiar, ‘-어(요)’는 Intimate, ‘-지(요)’는 Casual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것이 과연 적합한 분류인지도 재고해 보아야 한다.
둘째,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분류가 국내의 일반 논의와 다르다. 즉 ‘-네, -가, -세, -게, 네’ 등은 격식체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비격식체로 분류했다. 그리고 높임법을 2가지의 격식체와 6가지의 비격식체로 분류했는데, 높임법의 분류상의 불균형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되면 한국인들은 주로 비격식체를 사용하는 셈이다.
셋째, 기술대상 어미의 수 26개로 너무 적어서, 높임법 체계를 세우는 데 한계가 있다. 즉 약속법의 ‘-으마’, 감탄법의 ‘-도다’, 서술법의 ‘-구나, -오’, 의문법의 ‘-니, -나’ 등 기본적인 종결형어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Ⅶ. 사전과 국어사전
1. 사전 이용의 의미
국어사전을 찾아봄으로써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어휘력도 향상시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2. 국어사전을 사용하는 방법
1) 사전 찾아보는 방법
모든 표제어는 다음과 같은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1) 초성의 차례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ㄷ ,ㅍ, ㅎ
(2) 중성의 차례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3) 종성의 차례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4) 글자가 같은 말에 있어서는 순 우리말을 한자어나 외래어 앞에 놓고,
현대어는 고어에, 단음인 것은 장음인 것에, 실사가 허사에 각각 앞서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2) 사전에 실린 낱말에 대한 풀이 방법
(1) 풀이는 현대에 쓰이는 뜻을 정확히 잡아, 보통 쉽고 간명하게 밝혀 둔다.
(2) 말의 개념을 더욱 또렷하게 하기 위하여 풀이 외에 동의어, 용례 등이 제시되어 있고 원말과 변한말, 준말과 본디말, 큰말과 작은말, 센말. 거센말. 상대말 등의 관계도 밝혀둔다.
(3) 한 어휘의 뜻이 여럿 일 때는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①②③......의 차례로 나열되어 있다.
3. 사전에 실린 여러 가지 기호에 대한 풀이
1) 품사
명사 / 대명사/ 수사/ 형용사/ 동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약어/ 속담
/ 보조형용사/ 보조동사/ 보조어간/ 접두사
/ 접미사/ 어미/ 이은말
2) 불규칙 활용
ㄷ 불규칙 활용/ ㅂ 불규칙 활용/ ㅅ 불규칙 활용
ㅎ 불규칙 활용/ 거라 불규칙 활용/
너라 불규칙 활용/ 러 불규칙 활용/
르 불규칙 활용/ 여 불규칙 활용/ 우 불규칙 활용
3) 전문어
(건) 건축/ (경) 경제/ (공) 공업/ (광) 광물/ (교) 교육/ (군) 군사/
(논) 논리/ (농) 농업/ (동) 동물/ (문) 문화/ (물) 물리/ (미) 미술/
(민) 민속/ (법) 법률/ (불) 불교/ (사) 사회/ (생) 생물. 생리/ (수) 수학/
(식) 식물/ (심) 심리학/ (약) 약학/ (어) 어학/ (역) 역사/ (연) 연극, 영화/
(기) 기독교/ (옛) 고어/ (윤) 윤리학/ (음) 음악/ (의) 의학/ (인) 인쇄/
(정) 정치/ (제) 고제도/ (조) 조각/ (종) 종교/ (지) 지리/ (천) 천문학/
(철) 철학/ (체) 체육/ (카) 카톨릭/ (토) 토목/ (한) 한의, 한약/ (화) 화학/
(회) 회화
4) 외래어
그 그리이스말/ 네 네덜란드말/ 러 러시아말/ 독 독일말/ 라 라틴말/
몽 몽고말/ 범 범어/ 스 스페인말/ 아 아라비아말/ 이 이탈리아말/
일 일본말/ 중 중국말/ 포 포르투갈말/ 프 프랑스말/ 히 히부리말/
5) 기호
:장음인 글자 뒤에./ - 복합어 사이에./ - 접두사와 접미사 어미 앞에./
〔〕발음표시/ 〓 가 보라는 뜻으로 동의어 앞에. 고어에서는 참고의 뜻./
→ 앞의 말이 틀린 말일 때 바른말 앞에./ ← 바뀐 발음의 어원 앞에./
< 큰말 앞에./ > 작은말 앞에./ ↔ 상대 말 앞에./ * 풀이가 아닌 부분. 곧 용례나 고어 출전의 원문 앞에./ -- 바로 앞에 나온 올림말의 되풀이.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대한토목학회(1998), 토목용어사전, 기문당
두산동아(1998), 동아새국어사전, 서울 : 두산동아
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1999),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이수열(1995), 국어사전과 국어 순화, 새국어생활 10
한글학회(1991),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추천자료
[웹기반][마케팅][전자상거래][재고관리시스템][전자사전][인터넷]웹기반 수업, 웹기반 디지...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의의와 필요성,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내용, 표준발음지도...
[행정학][미국행정학][전자사전][재무행정학]행정학의 목적, 행정학의 현황, 행정학의 미국행...
반편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장애, 이혼, 입양, 다문화가정, 등을 주제로 한 아...
대한민국대통령(한국대통령)의 사전적 의미, 지위, 대한민국대통령(한국대통령)의 제도, 선거...
[미꾸라지][미꾸라지 특성][미꾸라지 사전적 의미][미꾸라지 생김새][미꾸라지 서식지][민물...
[정보화 사업평가][정보화][사업평가][사업][정보][정보화 사업평가 부진요인][정보화 사업평...
만 3세 ~ 만 5세의 유아 중 대상연령을 결정한 후, 결정한 연령에 적합한 동화책 한 권을 선...
유아의 내러티브 발달 (내러티브의 사전적 정의, 내러티브의 대표적인 유형, 유아의 내러티브...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학습장애 이해하기(학습장애 확인하기, 학습장애의 특성 알기, 학습...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입양의 절차 - 미국의 입양의 전반적 이해, 한국의 입양 절차(입양...
간호학과) 모성여성 간호학 국가고시 및 중요한 사전학습 - 여성병원 사전 학습 {분만 간호, ...
소화기계병동 실습 전 사전학습, 소화기계병동 사전학습 {필요한 약어와 full name 및 용어 ...
근골격계 예습, 근골격계 사전학습, 정형외과 사전학습, 정형외과 실습 (정형외과 병동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