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언어치료란?
2)언어치료의 목적
3)언어 장애 원인과 유형
- 기질적 장애
- 기능적 장애
4)언어치료 대상
5)언어치료 단계
6)언어치료의 유의점
7)언어치료 방법
8)엄마가 만든 언어교구들과 함께하는 언어지도
9)일상생활(가정)을 통한 언어치료
10)언어치료 프로그램
*결론
*참고자료
*본론
1)언어치료란?
2)언어치료의 목적
3)언어 장애 원인과 유형
- 기질적 장애
- 기능적 장애
4)언어치료 대상
5)언어치료 단계
6)언어치료의 유의점
7)언어치료 방법
8)엄마가 만든 언어교구들과 함께하는 언어지도
9)일상생활(가정)을 통한 언어치료
10)언어치료 프로그램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서 --로’의 이해)- 동물농장 놀이(‘소 뒤에 말을 놓자’ 등 위치 언어 이해)- 레고, 렉스 블럭 놀이(‘어디에’의 이해)- 전래 놀이: 코코코, 아침바람(신체상, 동작모방)- 전화 놀이(사회적 언어의 이해)- 퍼즐 놀이(‘--이 없다’의 이해, 위치언어)
그림책 시간
- “--는 어디 있니?”라고 질문하면서 그림을 지적하게 한다(명사 낱말 이해).- 좋아하는 그림책을 몇 권 놓고 “--책은 어떤 것이니?”하면서 그림책을 고르게 한다 (전체 상황과 몇 개 명사 낱말로 문장 예측하기).- 무릎에 앉히고 간단한 문장으로 줄여서 들려준다(주의 집중).
목욕 시간
- 비누방울 만들기(‘오 오 오, 퐁’하는 식의 모음이나 자음의 발성 촉진).- 얼굴 씻거나 목욕하면서 “--는 어디 있지?”, “--에 비누칠 해보자”하면서 반응을 기대한다(신체이름 이해).- 머리를 감으면서 샴푸가 묻혀진 머리카락을 모아 “뿔 하나 도깨비, 또 뿔 있는 도깨비”하면서 머리카락을 세운다(더, 또 등의 수, 양 개념).- 이를 닦으면서 입 모양, 혀 동작 등을 모방하게 한다(혀 운동, 입술 모방).
잠자기 전
- “엄마에게 뽀뽀해”, “아빠에게 뽀뽀해” 등에 아동이 반응하게 한다(‘--한테’의 이해).- 인사하기(동작 모방, 사회적 언어).- 자장자장 노래하며 아이의 얼굴을 쓰다듬기. “우리 아기는 눈도 예뻐요, 코도 예뻐요”하면서 만져 준다(신체 이름, 운율에 반응하기).
일상생활의 각 장면에서의 지도방법
10.언어치료 프로그램
[참고: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심현섭. 학지사(2005) - 제1장 의사소통장애와 언어 청능 치료사]
조화로운 호흡과 발성하기
·호흡을 길게, 짧게 하기
·호흡을 조화롭게 하며 발성하기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머리를 좌우로 흔들기
·심호흡을 하면서 날숨으로 모음 내기
·자세를 바꾸어 소리내기(누워서 또는 엎드려서 높은·낮은·큰·작은 소리내기)
소리를 내도록 자극하기
·설압자로 조음 지점(입술, 잇몸, 경구개, 연구개)을 자극하면 소리내기
·머리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등, 겨드랑이, 목을 간질일 때 소리 내어 웃기
·동물, 자동차, 시계, 종소리 듣고 흉내 내기
소리의 강약 조절하기
·숨을 크게 내쉬며 한 숨 쉬기
·심호흡을 한 후, 벽을 밀면서, 무거운 물체를 들면서, 무거운 책상을 잡아당기면서, 양 손바닥을 서로 맞대어 밀면서 /아-/ 발음하기
소리의 높낮이 조절하기
·피아노 음계의 건반 음에 맞추어 /아-/ 발성하기
·같은 높이로 단어 연결하여 말하기
·1초 동안 안정된 소리 유지하기
억양 조절하기
·'나는 콩' 율동으로 과장된 억양으로 억양 조절하기
·서술문, 의문문, 감탄문 등 형태에 따라 억양 조절하기
문장 내쉼 조절하기
·적절히 숨 쉬어 가며 말하기
·정상적인 쉼 패턴으로 말하기
·점차적으로 문장의 길이를 늘려 가면서 말하기
말의 속도 조절하기
·점차적으로 박자기의 속도를 빨리 하여 말하기
·손뼉 장단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발성 유도하기
·등을 대고 누운 자세, 배를 대고 누운 자세, 옆으로 누운 자세, 고개를 뒤로 젖혀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누운 자세,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1) 발성 훈련
입술 유연 훈련하기
·입술 운동을 통해 입술 부위를 이완하기(입술 내밀기, 둥글게 하기, 양 입술 사이에 음식 끼워 일정시간 유지하기, 입술을 사용하여 숟가락에 얹혀진 음식물 먹기)
·입술 벌리기와 오므리기(인형과 뽀뽀하기, 꿀돼지 같은 입 모양 만들기, 아이스크림이 묻은 수저를 입술로 빨아먹기, 작은 과자 등을 입술로 물어 옮기기)
발음에 의한 입술 훈련하기
·'삐삐'하고 피리 부는 흉내내기
·'매에 매에' 염소 우는소리 내기
·'아-우', '우-아' 소리내기
·'빠빠', '뽀뽀' 소리내기
·'뽀뽀-보보-모모' 소리내기
·'뿌뿌-부부-무무' 소리내기
2) 입술 훈련
혀 운동하기
·혀를 앞으로 내밀고 뒤로 당기기
·혀끝을 치아나 아랫입술 부위, 오른쪽과 왼쪽 입술 모서리에 대기
·혀끝으로 입술 둘레를 회전하기
·여러 자극을 통해 혀의 감각 능력을 증진시키기('딱딱하다', '말랑말랑하다', '거칠다', '부드럽다', '따뜻하다', '차갑다' 감각 느끼기)
혀의 움직임에 따라 발음하기
/타-타-타/ 발음하기
/나나-내내-노노/ 발음하기
/차-차-차/ 발음하기
"치", "쳇", "쩝쩝" 반복적으로 발음하기
3) 혀 훈련
Ⅲ. 결 론
최근 언어치료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나 치료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한다. 특히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 능력이 문제시 되고 있으며,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해 자녀와 부모의 상호작용이 줄어들어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 환경 마련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집단 언어 치료, 개별 언어 치료와 더불어 가정 방문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모든 치료에서 중요시 되는 것은 전문가에 의한 치료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다.
기질적인 원인으로 인한 언어장애는 의학적 도움이 필요하겠지만, 기능적인 원인으로 인한 언어장애는 상당 부분이 주위 환경, 주변 성인들의 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와 기관, 부모가 지속적으로 아동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환경 조성에 노력한다면 많은 아동들의 언어장애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자 료
[참고문헌]
· 아동 언어 장애 이해. 한국 언어 치료 학회.
·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학지사(2004)
· 언어치료의 기초. 권도하. 한국언어치료학회(2003)
·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심현섭. 학지사(2005)
· 치료교육활동 교사용지도서(보완교재) 편찬 지침. 대구대학교 1종 도서 편찬위원회(1998).
[참고사이트]
· 대구 언어치료실 http://www.daeguspeech.com
· 언어장애 유형 http://blog.naver.com/roselima19/100007119960
· 언어치료사 임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limuj/
· 이보연 아동·가족 상담센터 http://www.sangdam.kr
그림책 시간
- “--는 어디 있니?”라고 질문하면서 그림을 지적하게 한다(명사 낱말 이해).- 좋아하는 그림책을 몇 권 놓고 “--책은 어떤 것이니?”하면서 그림책을 고르게 한다 (전체 상황과 몇 개 명사 낱말로 문장 예측하기).- 무릎에 앉히고 간단한 문장으로 줄여서 들려준다(주의 집중).
목욕 시간
- 비누방울 만들기(‘오 오 오, 퐁’하는 식의 모음이나 자음의 발성 촉진).- 얼굴 씻거나 목욕하면서 “--는 어디 있지?”, “--에 비누칠 해보자”하면서 반응을 기대한다(신체이름 이해).- 머리를 감으면서 샴푸가 묻혀진 머리카락을 모아 “뿔 하나 도깨비, 또 뿔 있는 도깨비”하면서 머리카락을 세운다(더, 또 등의 수, 양 개념).- 이를 닦으면서 입 모양, 혀 동작 등을 모방하게 한다(혀 운동, 입술 모방).
잠자기 전
- “엄마에게 뽀뽀해”, “아빠에게 뽀뽀해” 등에 아동이 반응하게 한다(‘--한테’의 이해).- 인사하기(동작 모방, 사회적 언어).- 자장자장 노래하며 아이의 얼굴을 쓰다듬기. “우리 아기는 눈도 예뻐요, 코도 예뻐요”하면서 만져 준다(신체 이름, 운율에 반응하기).
일상생활의 각 장면에서의 지도방법
10.언어치료 프로그램
[참고: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심현섭. 학지사(2005) - 제1장 의사소통장애와 언어 청능 치료사]
조화로운 호흡과 발성하기
·호흡을 길게, 짧게 하기
·호흡을 조화롭게 하며 발성하기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머리를 좌우로 흔들기
·심호흡을 하면서 날숨으로 모음 내기
·자세를 바꾸어 소리내기(누워서 또는 엎드려서 높은·낮은·큰·작은 소리내기)
소리를 내도록 자극하기
·설압자로 조음 지점(입술, 잇몸, 경구개, 연구개)을 자극하면 소리내기
·머리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등, 겨드랑이, 목을 간질일 때 소리 내어 웃기
·동물, 자동차, 시계, 종소리 듣고 흉내 내기
소리의 강약 조절하기
·숨을 크게 내쉬며 한 숨 쉬기
·심호흡을 한 후, 벽을 밀면서, 무거운 물체를 들면서, 무거운 책상을 잡아당기면서, 양 손바닥을 서로 맞대어 밀면서 /아-/ 발음하기
소리의 높낮이 조절하기
·피아노 음계의 건반 음에 맞추어 /아-/ 발성하기
·같은 높이로 단어 연결하여 말하기
·1초 동안 안정된 소리 유지하기
억양 조절하기
·'나는 콩' 율동으로 과장된 억양으로 억양 조절하기
·서술문, 의문문, 감탄문 등 형태에 따라 억양 조절하기
문장 내쉼 조절하기
·적절히 숨 쉬어 가며 말하기
·정상적인 쉼 패턴으로 말하기
·점차적으로 문장의 길이를 늘려 가면서 말하기
말의 속도 조절하기
·점차적으로 박자기의 속도를 빨리 하여 말하기
·손뼉 장단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발성 유도하기
·등을 대고 누운 자세, 배를 대고 누운 자세, 옆으로 누운 자세, 고개를 뒤로 젖혀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누운 자세,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1) 발성 훈련
입술 유연 훈련하기
·입술 운동을 통해 입술 부위를 이완하기(입술 내밀기, 둥글게 하기, 양 입술 사이에 음식 끼워 일정시간 유지하기, 입술을 사용하여 숟가락에 얹혀진 음식물 먹기)
·입술 벌리기와 오므리기(인형과 뽀뽀하기, 꿀돼지 같은 입 모양 만들기, 아이스크림이 묻은 수저를 입술로 빨아먹기, 작은 과자 등을 입술로 물어 옮기기)
발음에 의한 입술 훈련하기
·'삐삐'하고 피리 부는 흉내내기
·'매에 매에' 염소 우는소리 내기
·'아-우', '우-아' 소리내기
·'빠빠', '뽀뽀' 소리내기
·'뽀뽀-보보-모모' 소리내기
·'뿌뿌-부부-무무' 소리내기
2) 입술 훈련
혀 운동하기
·혀를 앞으로 내밀고 뒤로 당기기
·혀끝을 치아나 아랫입술 부위, 오른쪽과 왼쪽 입술 모서리에 대기
·혀끝으로 입술 둘레를 회전하기
·여러 자극을 통해 혀의 감각 능력을 증진시키기('딱딱하다', '말랑말랑하다', '거칠다', '부드럽다', '따뜻하다', '차갑다' 감각 느끼기)
혀의 움직임에 따라 발음하기
/타-타-타/ 발음하기
/나나-내내-노노/ 발음하기
/차-차-차/ 발음하기
"치", "쳇", "쩝쩝" 반복적으로 발음하기
3) 혀 훈련
Ⅲ. 결 론
최근 언어치료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나 치료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한다. 특히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 능력이 문제시 되고 있으며,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해 자녀와 부모의 상호작용이 줄어들어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 환경 마련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집단 언어 치료, 개별 언어 치료와 더불어 가정 방문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모든 치료에서 중요시 되는 것은 전문가에 의한 치료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다.
기질적인 원인으로 인한 언어장애는 의학적 도움이 필요하겠지만, 기능적인 원인으로 인한 언어장애는 상당 부분이 주위 환경, 주변 성인들의 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와 기관, 부모가 지속적으로 아동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환경 조성에 노력한다면 많은 아동들의 언어장애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자 료
[참고문헌]
· 아동 언어 장애 이해. 한국 언어 치료 학회.
·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학지사(2004)
· 언어치료의 기초. 권도하. 한국언어치료학회(2003)
·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심현섭. 학지사(2005)
· 치료교육활동 교사용지도서(보완교재) 편찬 지침. 대구대학교 1종 도서 편찬위원회(1998).
[참고사이트]
· 대구 언어치료실 http://www.daeguspeech.com
· 언어장애 유형 http://blog.naver.com/roselima19/100007119960
· 언어치료사 임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limuj/
· 이보연 아동·가족 상담센터 http://www.sangdam.kr
추천자료
특수아동의 사회복지적 접근현황
특수아동교수방법
정서 및 행동장애 특수아동상담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
특수아동의 미술치료
특수아동보육의 의미와 내용
특수아동을 위한 읽기 교수 방법
2015 특수아교육B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최근 어떠한 방향에서의 ...
[특수아교육 B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최근 어떠한 방향에서의 특...
[특수아교육 B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어떠한 방향에서의 특수아 ...
특수아교육 (4A형) 유아특수교육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방통대 특수아교육 B형 특수아 통합교육 - 특수아 법적, 학문적 정의
특수아교육4B)특수아特殊兒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최근 어떠한 방향에서의 ...
특수아동 평가시 유의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