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판의 대상
1) 의 의
2) 심판대상에 관한 이론
3) 학설대립의 실제적 결론
2. 공소장 변경
1) 의 의
2)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3) 공소장변경의 한계
4) 공소장변경의 절차
1) 의 의
2) 심판대상에 관한 이론
3) 학설대립의 실제적 결론
2. 공소장 변경
1) 의 의
2)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3) 공소장변경의 한계
4) 공소장변경의 절차
본문내용
고인 수에 해당하는 부본 첨부(동조 ②항), 예외 - 공판정에서의 구술에 의한 공소장변경(동조 ⑤항)
(2) 피고인에 대한 고지의무: 제298조 ③항, 규칙 제142조 ③항.
(3) 법원의 허가결정 :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때 의무적 허가.
(4) 공소장변경허가 후의 절차: 검사의 공소장 변경요지 진술(규칙 제142조 ④항), 직권 또는 피고인 등의 청구에 의해 공판절차의 정지(제298조 ④항) 가능.
2) 법원의 공소장변경요구
(1) 의 의 :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지 않아 명백히 죄를 범한 자가 무죄 석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원이 공소장의 추가변경 요구(제298조 ②항)
(2) 공소장변경요구의 의무성 : 의무설, 재량설(판례), 예외적 의무설(법원의 재량이지만 변경요구 없이 무죄판결을 하는 것이 현저히 정의에 반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법원의 의무 : 다수설)
(3) 공소장변경요구의 구속력 : 형성력설, 권고효설, 명령효설(검사는 복종의무가 있음 : 통설)
3) 상소심과 공소장변경
- 항소심에서는 허용되나(다수설, 판례), 상고심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항소심에서 추가 또는 변경되는 공소사실은 심급의 이익을 잃는 문제가 남음.
(2) 피고인에 대한 고지의무: 제298조 ③항, 규칙 제142조 ③항.
(3) 법원의 허가결정 :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때 의무적 허가.
(4) 공소장변경허가 후의 절차: 검사의 공소장 변경요지 진술(규칙 제142조 ④항), 직권 또는 피고인 등의 청구에 의해 공판절차의 정지(제298조 ④항) 가능.
2) 법원의 공소장변경요구
(1) 의 의 :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지 않아 명백히 죄를 범한 자가 무죄 석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원이 공소장의 추가변경 요구(제298조 ②항)
(2) 공소장변경요구의 의무성 : 의무설, 재량설(판례), 예외적 의무설(법원의 재량이지만 변경요구 없이 무죄판결을 하는 것이 현저히 정의에 반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법원의 의무 : 다수설)
(3) 공소장변경요구의 구속력 : 형성력설, 권고효설, 명령효설(검사는 복종의무가 있음 : 통설)
3) 상소심과 공소장변경
- 항소심에서는 허용되나(다수설, 판례), 상고심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항소심에서 추가 또는 변경되는 공소사실은 심급의 이익을 잃는 문제가 남음.
추천자료
간이공판절차상 증거동의 의제의 제한 가능성
형사사건 처리절차
공판절차의 진행과 공정한 재판에 대한 고찰
공판절차에 관한 고찰
형사소송의 전 절차(외국과 비교)
영장주의와 그 예외에 대한 형사소송법상 검토
민사소송법상 직접심리주의와 간접심리주의
[형사소송법] 즉결심판
형사 소송법 괄호문제 풀이
[공판준비절차][공판절차][증거개시]공판준비절차(공판절차)의 개념, 공판준비절차(공판절차)...
공판절차(공판준비절차)의 기본원칙, 공판절차(공판준비절차)의 현황, 공판절차(공판준비절차...
[민사소송법][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절차][민사소송법과 법률행위][민사소송법과 당사자][손...
현행체포 제도 - 법학 형사소송법 답안지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 긴급체포, 현행범인의 체포)
공판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