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개념, 종류, 필요성,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실태와 연구사례,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방향,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시사점과 제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개념, 종류, 필요성,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실태와 연구사례,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방향,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시사점과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개념

Ⅲ.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종류
1. 적성처치상호작용이론(ATI : Aptitude Treatment Interaction)
2. 개별처방수업모형(IPI : 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3. PLAN(Program for Learning in Accordance with Needs) 학습체제
4. 개별적 안내교육(IGE : Individually Guided Education)
5. 적응적 학습 환경 모형(ALEM :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 Model)
6. 신문활용교육(NIE : Newspaper In Education)
7. 마인드맵 교육방법(MM : Mind Map Method)
8. 다중지능 수업방법(MI : Multiple Intelligence Method)
9. 홀리스틱 교육방법(Holistic Education)
10. 프로젝트 학습(Project Learning Method)

Ⅳ.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필요성

Ⅴ.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실태
1. 학생 실태
2. 학부모 실태
3. 교사 실태
4. 학교 실태

Ⅵ.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연구사례
1. 사례 1
2. 사례 2
3. 사례 3
4. 사례 4

Ⅶ.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방향
1. 교수․학습의 방향
2. 열린 교실 구성의 방향

Ⅷ.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시사점

Ⅸ.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제언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둔다.
2. 열린 교실 구성의 방향
1) 교수 중심의 환경 구조에서 학습 중심의 환경 구조로 전환한다.
2) 전 교실전 학년의 획일적 교실 환경 구성에서 각 교실학년별로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구성한다.
a) 학년의 교육과정 운영 및 주된 학습 활동을 고려한 교실 구성
b) 학생들의 신체정서 발달을 고려한 교실
- 학년별 교구 높이 조절, 다양한 책상 형태
3) 획일적 일제 학습의 공간 구성에서 열린 학습 공간 구성으로 전환한다.
- 개별 학습, 소집단 학습, 협동 학습, 집단 학습 공간 확보
4) 경직, 고정된 교실 구성에서 융통성 있고 가변성이 높은 교실로 구성한다.
a) 교사, 학생의 고정된 자리가 없는 교실
b) 학급 비품, 교구장, 자료상 등의 고정된 자리가 없는 교실
c) 다양한 학습 활동에 대응할 수 있는 다기능화 된 교구장의 재배치
5) 교실 전 공간의 이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한다.
a) 교실의 앞ㆍ뒷면을 일부러 구분하지 않는 교실
b) 전공간을 교사ㆍ학생의 교수ㆍ학습 공간, 생활공간으로 구성
- 의미있는 학습 활동, 즐거운 학교생활 유도
- 대면 학습 코너, 대집단 코너(러그 미팅), 개별 소집단 코너
- 협동, 전체 학습장
Ⅷ.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시사점
(1)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학습기반을 조성하고 단계형 학습자료를 제작 및 활용한다.
(2)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영역별수준별 학습 자료를 개발적용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된다.
(3) 수준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함으로써 자신감과 성공감을 갖게 하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신장된다.
(4) 학생 성취수준에 맞는 학습지를 활용하고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Ⅸ.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의 제언
(1) 낮은 능력의 학생에게는 쉬운 문제를 해보게 하여 자주 반복시키고, 높은 능력의 학생에게는 적은 양을 해 보게 하되,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2) 각 단원의 학습 과제는 학생 중심의 학습이 되도록 하며, 구체적인 경험으로부터 개념, 원리, 법칙을 발견할 수 있게 탐색 과정을 두어 이를 통해 좀더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교과서를 활용한다로 되어 있다. 또한, 교과서의 연습 문제는 기본적인 것만 제시되고, 보충 자료나 심화 자료는 생략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자료를 미리 구상했다가 각 학생의 수준에 맞게 이 시간에 제공해 주면 더욱 더 효율적인 지도가 될 것이다.
(3) 복잡하고 큰 단위의 학습과제는 적절한 크기의 소 과제로 나누고, 단계별로 자주 피드백(feed-back)시키거나 보충 또는 심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학생들이 완전 학습을 이룰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4) 개인차를 고려해서 준비 학습을 만드는 수단으로 학습 내용을 제공한다. 즉 반복 문제, 연습 문제 등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성취한 것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고, 보충 자료, 심화 자료도 제공하여 앞으로 배울 학습에 대비할 수 있는 준비 단계를 제공한다. 때로는 주어진 시간에 학생들이 스스로의 반응을 써 볼 수 있을 것이고, 각자의 수준에 따른 발견적 활동을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Ⅹ. 결론
우리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간관계가 인간 중심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교사가 학생의 다양한 개인차로 인한 천차만별의 학생들을 하나하나 독립된 개체로 대해 주지 못하고 집단 속의 구성원으로 취급하여 버리기 쉽다. 인간의 자아는 자기 주변의 부모, 교사, 친구와 같은 거울에 비치는 모습에 따라 형성되기도 하기 때문에 교사가 가르치는 학생이 똑똑하고 유능하다고 기대할 때 학생들도 그런 모습으로 자라게 된다. 따라서 교육에서 교사와 교사,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에 인간적인 사랑과 상호관계가 조장되고 넘치며 인간을 중시하는 시설과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 질 때, 즉 열린 교육이 활성화 될 때 우리들의 인간 중심 교육은 비로소 가능해 지며 바람직한 인간성이 길러질 수 있다.
참고문헌
김대현 외, 열린수업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변영계김영한,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학지사, 1996
박성익 외,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2003
서울 장평초등학교, 장평의 열린교육, 1994
이유훈·권주석·김용한,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운영지침, 국립특수교육원
최규성, 개별화 교수·학습의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2000
허승희, 개별화수업, 1998
황윤한·조영임, 개별화 수업과 다중지능 학습 양식, 다중지능교육연구, 2004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2.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