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대해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대해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졸업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3. 자녀교육에 있어 조기교육의 대안으로는
적기교육을 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적기교육은 뇌의 발달 과정에 맞추어 제 때에 하는 교육을 말하는데, 아주 어린아이에게는 문자 하나를 더 알고, 숫자를 셀 수 있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시기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 형성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사랑을 받고 있다는 분명한 느낌이 영어 단어 하나 아는 것 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하겠다. 조기 교육은 득보다 실이 많은, 그래서 반드시 피해야할 교육적 선택이다. 남들보다 일찍 시작했지만 다양한 과잉학습장애로 인해 결구 학교의 정상적인 진도도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아이들이 바로 피해자 인 것이다. 남들보다 앞서가기 위한 맹목적인 시도가 오히려 낙오자로 만드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는 셈이다. 이제는 조기교육이 아니라 적기교육을 해야 한다. 일찍 시키고 싶지만 참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준비하는 것이 바로 적기 교육의 핵심이다. 조기교육은 분명 매력적이지만 위험천만하다. 반면에 적기교육은 답답하게 보이지만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진짜 몇 년이 걸릴지는 모르겠지만 시간이 걸리더라도 우리 교육만은 차근차근 바르게 잡아나가야 한다. 그래야 우리나라 경제든, 정치든 바로 잡힐 수 있을 것이다. 더러운 물이 고여 있으면 그 아래 물도 같이 더러워지고 마련이다. 우선 학교 교육은 전반적으로 저하돼 있는 학력을 끌어올리는 데 개혁의 방향을 맞춰야 한다. 이는 학부모들이 학교 교육, 즉 공교육을 믿게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또 있다. 거칠어질 대로 거칠어진 학생들의 인성을 '인간다운'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작업도 어느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인성교육 없이 문화사회. 선진사회를 결코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Ⅳ. 참고문헌
1. 정범모 외 (2010), 『한국교육, 어디로 가야 하나』, 푸른역사
2. 이재우 (2006), 『우리의 교육현실 산책』, 진한엠엔비
3. 정범모 외 (1994),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 : 입시와 입시교육의 개혁』, 나남
4. 한국소비자보호원 (1997), 『사교육비 지출실태 및 경감방안』
5. 부정방지대책위원회 (1994), 『과열과외 실태 및 방지대책』
6. 이명조외 (2003), 『한국 유아의 조기교육』, 집문당
7. 신의진 (2000), 『현명한 부모들은 아이를 느리게키운다』, 중앙M&B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06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