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의의
Ⅱ.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구성
Ⅲ.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지도 사례
1. 대상학년
2. 단원명
3. 학습주제
1) 제재설정의 이유
2) 전개의도
3) 활용목표
4) 준비물
5) 교수·학습지도안
6) 교재의 발전적 고찰
Ⅳ.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활동 과제
Ⅴ.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평가
1. 소마큐브 평가의 특징
2. 소마큐브 평가의 과정
3. 소마큐브 평가의 준비
4. 소마큐브 채점방안
5. 소마큐브 평가상의 유의점
참고문헌
Ⅱ.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구성
Ⅲ.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지도 사례
1. 대상학년
2. 단원명
3. 학습주제
1) 제재설정의 이유
2) 전개의도
3) 활용목표
4) 준비물
5) 교수·학습지도안
6) 교재의 발전적 고찰
Ⅳ.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활동 과제
Ⅴ.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평가
1. 소마큐브 평가의 특징
2. 소마큐브 평가의 과정
3. 소마큐브 평가의 준비
4. 소마큐브 채점방안
5. 소마큐브 평가상의 유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학적 내용이란 측면을 간과하고 그래서 단순히 재미거리로만 생각하는 활동이 될 경우 다시금 수학적 내용에 초점을 맞추도록 되돌아갈 수 있음을 숙지하게 해야 한다. 즉 퍼즐 활동과 수학적 의미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Ⅴ.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평가
1. 소마큐브 평가의 특징
(1) 지식의 수용보다 소마큐브 속에 들어있는 수학적인 신비를 느끼게 하고 구성 능력을 평가한다.
(2) 실제 상황에서 교육목표의 달성여부를 파악한다.
(3) 소마큐브의 원리를 응용하여 답을 예상하고 확인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문제해결 결과를 중요시하는 평가이다.
(4) 피평가자가 평가의 계획, 평가 내용, 활동 과정에 적극 참여한다.
(5) 문제의 이해 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이다.
(6) 학습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7) 평가 결과는 교수학습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8) 학습자의 학습 이해와 이해력을 직접 조장하는 평가과정이다.
2. 소마큐브 평가의 과정
1) 교육내용 분석
⇒
2) 평가목표 설정
6) 평가결과 활용
3) 출제계획수립
5) 평가절차 기록
4) 평가실시
3. 소마큐브 평가의 준비
(1) 평가목표에 적절한 방법인가?
(2) 평가 상황에 따라 평가 방법, 평가 유형이 알맞은가?
(3) 평가의 수월성이 고려되었는가?
(4) 문항진술이 피평가자의 입장에서 정확하게 진술되었는가?
(5) 응답자 수준에 알맞은 수준의 난이도인가?
(6) 평가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알맞은가?
4. 소마큐브 채점방안
채점 기준 제시
소마큐브의 조건에 맞는가?
제 위치를 찾았나?
문항 작성시
시간 분량 엄수
난이도를 고려 제작
문항별 채점
난이도에 따른 차별 채점
채점기준안 작성
총괄적 평정법
(답안 자체를 하나의 단위로 상정)
5. 소마큐브 평가상의 유의점
(1) 문제해결의 방법을 찾으려는 의욕이 있었는지를 평가한다.
(2)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여 문제를 푸는지 등의 활동을 평가한다.
(3) 문제를 여러 단계로 풀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참고문헌
김용운·김용국(1991) : 재미있는 수학여행 ④, 수학사랑
박성익(1987) : 수업방법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수학사랑 퍼즐 시리즈 ① 3·3·3 퍼즐, Somacube, 수학사랑
최희찬(1995) : 수학개념 학습활동에서의 직관의 역할,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수학교육학회 : 제3회 사고력 수학캠프
Ⅴ. 수학학습도구(수학교구) 소마큐브의 평가
1. 소마큐브 평가의 특징
(1) 지식의 수용보다 소마큐브 속에 들어있는 수학적인 신비를 느끼게 하고 구성 능력을 평가한다.
(2) 실제 상황에서 교육목표의 달성여부를 파악한다.
(3) 소마큐브의 원리를 응용하여 답을 예상하고 확인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문제해결 결과를 중요시하는 평가이다.
(4) 피평가자가 평가의 계획, 평가 내용, 활동 과정에 적극 참여한다.
(5) 문제의 이해 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이다.
(6) 학습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7) 평가 결과는 교수학습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8) 학습자의 학습 이해와 이해력을 직접 조장하는 평가과정이다.
2. 소마큐브 평가의 과정
1) 교육내용 분석
⇒
2) 평가목표 설정
6) 평가결과 활용
3) 출제계획수립
5) 평가절차 기록
4) 평가실시
3. 소마큐브 평가의 준비
(1) 평가목표에 적절한 방법인가?
(2) 평가 상황에 따라 평가 방법, 평가 유형이 알맞은가?
(3) 평가의 수월성이 고려되었는가?
(4) 문항진술이 피평가자의 입장에서 정확하게 진술되었는가?
(5) 응답자 수준에 알맞은 수준의 난이도인가?
(6) 평가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알맞은가?
4. 소마큐브 채점방안
채점 기준 제시
소마큐브의 조건에 맞는가?
제 위치를 찾았나?
문항 작성시
시간 분량 엄수
난이도를 고려 제작
문항별 채점
난이도에 따른 차별 채점
채점기준안 작성
총괄적 평정법
(답안 자체를 하나의 단위로 상정)
5. 소마큐브 평가상의 유의점
(1) 문제해결의 방법을 찾으려는 의욕이 있었는지를 평가한다.
(2)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여 문제를 푸는지 등의 활동을 평가한다.
(3) 문제를 여러 단계로 풀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참고문헌
김용운·김용국(1991) : 재미있는 수학여행 ④, 수학사랑
박성익(1987) : 수업방법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수학사랑 퍼즐 시리즈 ① 3·3·3 퍼즐, Somacube, 수학사랑
최희찬(1995) : 수학개념 학습활동에서의 직관의 역할,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수학교육학회 : 제3회 사고력 수학캠프
추천자료
Skemp의 수학 학습 이론
반 힐의 기하학적 사고발달 이론과 딘즈의 수학적 개념학습
인지 발달 단계 이론과 수학 학습
피아제의 인지심리학, 폴리아의 문제해결학습,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브루너와 오스벨의 학습지도 원리에 의거한 학습지도안과 수학불안 요인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학습(수업,교육과정)의 개념과 의의,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학습(수업,교...
[이산수학]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성격,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목표,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인식,...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 목적, 이론, 관점,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와 자기주도적 학습, ...
수학과 수개념과 도형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수학과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수학...
수학교육(학습, 수학수업) 기본 방향, 수학교육(학습, 수학수업) 재구성, 수학교육(학습, 수...
수학과교육과정의 특성, 수학과교육과정의 목표, 수학과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수학과교육과...
수학교육(학습, 수학지도) 성격, 수학교육(학습, 수학지도) 동향, 수학교육(학습, 수학지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