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 - 자유의지는 옹호될 수 있는가? - 양립가능성과 결정론의 문제...

본문내용

먹었다면 A를 했을 것이다.
- 이전 원인에 의한 결과로 A가 일어났다 해도 위의 문장은 성립하며 보다 진전된 의미에서 자유의지론과 결정론은 양립이 가능하다고 주장
4) 자유 의지 대 결정론과 그 전망
*양립되는 두 주장
자유의지론자
결정론자
-자유의지의 존재만이 ‘도덕적 의무’뿐만 아니라 ‘도덕적 책임’, ‘도덕적 죄’ 그리고 ‘양심의 가책’등과 같은 낱말의 사용을 정당화 시켜준다고 주장
- 행위의 원인이 오로지 자유의지에만 있기 때문에 처벌하는 이유는 행위에 대한 선택이 행위자에게 있기 때문에 처벌받은 그 행위가 아닌 다른 행위를 택하라는 의미에서 처벌
- 결정론을 받아들이는 것이 ‘도덕적 책임’ 이나 처벌을 더 정당화 시켜준다고 주장
- 모든 행위는 행위자의 선택을 원인으로 갖는다. 그러므로 도덕적 의무를 지우거나 처벌함은 다음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을 가정하지 않는 한 도덕적 훈계나 처벌이 왜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 할 수 없음.
- 필연적 인과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전제
*결정론자들에 대한 반론
-자유의지론자들 : 사람의 행위에서는 인과에 따른 필연적 관계가 성립한다고 할 수 없음
ex) 버너에서 주전자의 물 끓이기 , 영화 관람에 대한 영희의 승낙여부
-역사학에서 문제되는 인과 작용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 그 당시 정황 및 이성계의 심리 상태 등 그렇게 했을 가능성 이 많지만 반드시 회군을 감행했으리라고는 장담 할 수 없음.
-사회학에서의 인과관계 - “특정한 사회제도가 왜 유지되는가?“ 에 대한 물음
사회적 기능에 입각해 답할 수 있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예로 들면, 인도 지방에 있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끼리 상호 충돌하지 않고 조화롭게 사회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지방에서만 통용되고 보편적, 필연적 측면이 없다
-인간의 행위, 역사적 사건, 사회적 제도 등은 그것을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과 적어도 필연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 (결정론자들의 주장이 반드시 타당하지는 않다. 인간의 행위에는 원인이 있어도 바로 그 행위가 있지는 않기 때문)
행위자의 행위를 하게 만드는 것이 자유의지이기 때문이다.
결론
결정론은 근대 이래 확산된 관점으로, 자유의지를 배제하고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이 있다. 이렇게 서로 상반되는 측면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 하는 것이 결정론자, 자유의지론자들의 앞으로의 과제라 할 수 있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0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