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린이 집에서 7개월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데 그 당시 식사 시간에 밥을 먹기를 거부하는 아이가 있었다. 어린이 집 교사들은 아이의 식습관을 고치기 위해 아이를 굶기기까지 하고, 한 교사가 그 아이에게만 메달려 어떻게든 밥을 먹게 하려 하였는데, 어린이 집에서 교사가 아무리 노력을 하더라도 가정에서 부모님이 함께 노력하지 않아 그 습관을 고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경험이 있다. 아이가 갖고 있는 대부분의 문제는 가정에 있기 때문에 문제의 원인이 가정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인스턴트에 중독 되어 밥을 먹는데 어려움이 있는 기병이가 어떻게 그 습관을 고치게 되었는지, 또 어떻게 하다 그런 식습관을 갖게 되었는지 궁금하여 이 사례를 선택하게 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의 보육정책과 아동복지에 관한 연구
아동 보육
보육교사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보육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건강교육공통]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을 설명하되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 전남 담양군...
다문화가정의 이혼율 증가로 인한 다문화가정아동의 보육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의견을 말해 ...
토론주제 4가지에 대한 의견 - 보육과정, 보육학개론, 아동발달, 아동복지론
[보육학개론] 보육의 개념과 특성(아동중심성, 보육학 학문의 성격, 다양한 가족형태의 보완,...
아동건강교육(4학년 공통) 누리과정(3-5세)과 표준보육과정(0-2세)에서의 건강교육 내용을 찾...
[가정보육, 아동복지]영유아보육서비스의 한 유형인 가정보육서비스(어린이집)의 필요성과 발...
(아동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아동,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학대 ...
아동,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시...
보육교사론]다문화 보육이 무엇인지 자세히 기술(이론적 배경)하고 다문화 아동에게 요구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