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남녀
2. 국적
3. 신앙
4. 사회적 신분
5. 근로기준법상 차별금지사유가 예시적 규정인지 여부
6. 그 밖의 차별금지사유 인정여부
7. 원인의 경합
2. 국적
3. 신앙
4. 사회적 신분
5. 근로기준법상 차별금지사유가 예시적 규정인지 여부
6. 그 밖의 차별금지사유 인정여부
7. 원인의 경합
본문내용
는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7. 원인의 경합
1) 문제의 소재
차별대우가 근로기준법 제6조에 정한 균등처우 위반의 원인이 있음과 동시에 차별대우를 할 다른 사유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견해가 대립한다.
2) 견해의 대립
차별의 형식적 이유는 배제하고 차별의 실질적 이유가 무엇이냐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결정적 원인설과, 사회 일반적 지식개념에 비추어 성별, 국적 등의 차이가 원인이 되어 근로조건의 차별이라는 결과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이는 차별대우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는 상당인과관계설이 대립한다.
3) 검토의견
결정적 원인설을 택할 경우 차별의 실질적 원인이 병존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결정적 원인을 찾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당인과관계설이 타당하다고 본다.
7. 원인의 경합
1) 문제의 소재
차별대우가 근로기준법 제6조에 정한 균등처우 위반의 원인이 있음과 동시에 차별대우를 할 다른 사유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견해가 대립한다.
2) 견해의 대립
차별의 형식적 이유는 배제하고 차별의 실질적 이유가 무엇이냐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결정적 원인설과, 사회 일반적 지식개념에 비추어 성별, 국적 등의 차이가 원인이 되어 근로조건의 차별이라는 결과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이는 차별대우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는 상당인과관계설이 대립한다.
3) 검토의견
결정적 원인설을 택할 경우 차별의 실질적 원인이 병존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결정적 원인을 찾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당인과관계설이 타당하다고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여성관련법률 / 여성복지]남녀고용평등법, 여성발전기본법, 남녀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
일용직 여성노동자의 법적 보호를 위한 대안
[여성차별] 직장에서의 여성차별에 대한 대책방안
장애인 차별 금지법
직장내 성차별
근로기준법 7조, (강제근로의 금지 검토)
근로기준법 8조, (폭행의 금지 검토)
[장애인고용차별][장애인고용차별 금지][장애인고용차별 철폐][규제][법규][개선방안]장애인...
[차별][차별적 취급][차별적 처우][차별적 부당해고][차별적 경쟁우위][차별적 다중전송기법(...
남녀차별(여성차별, 성차별)의 개념과 정의, 남녀차별(여성차별, 성차별)의 금지, 남녀차별(...
간접 차별법
[사회복지법제] 장애인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서 차별 행위와 차별 금지에 ...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의미와 본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차별의 ...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의미와 본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차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