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무원의 근로3권 제한
2. 교원의 근로3권 제한
2. 교원의 근로3권 제한
본문내용
지위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한정된다.
③ 단체협약의 내용
체결된 단협의 내용 중 법령, 조례 및 예산에 의해 규정되는 내용과 법령 또는 조례에 의한 위임을 받아 규정되는 내용은 단협으로서의 효력을 가지지 않는다.
4) 단체행동권의 금지
교원노조와 그 조합원은 파업, 태업 기타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일체의 쟁의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③ 단체협약의 내용
체결된 단협의 내용 중 법령, 조례 및 예산에 의해 규정되는 내용과 법령 또는 조례에 의한 위임을 받아 규정되는 내용은 단협으로서의 효력을 가지지 않는다.
4) 단체행동권의 금지
교원노조와 그 조합원은 파업, 태업 기타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일체의 쟁의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추천자료
근로시간의 보호-일반근로자,연소근로자,여성근로자
영업양도와 근로관계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자보호
비정형근로자(특수고용근로자)의 분류, 비정형근로자(특수고용근로자)의 정의, 비정형근로자(...
특수고용과 종속성, 특수고용과 비정규고용, 특수고용노동자의 보호입법, 특수고용노동자의 ...
특수고용의 특징과 의의, 특수고용의 도입과 전환, 특수고용의 구조조정, 특수고용노동자의 ...
근로기준법상 채용내정 쟁점 검토
간주근로시간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휴일 제도
빈곤양상 변화와 복지정책 개선방안- 근로빈곤층을 중심으로 -
민주시민교육, 언론피해구제법안의 법적 검토, 근로자공급사업, 부동산투자신탁제도의 법적 ...
공무원근로기본권(공무원노동기본권)의 의의, 합헌성, 공무원근로기본권(공무원노동기본권)의...
기간제근로자(계약직노동자, 비정규직)의 보호문제, 기간제근로자(계약직노동자, 비정규직)의...
공무원근로기본권(공무원노동기본권)의 필요성, 공무원근로기본권(공무원노동기본권) 현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