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청구적격
Ⅲ. 확인의 이익(즉시 확정의 법률상 이익)
Ⅳ. 소송상 취급
Ⅴ. 마치며
Ⅱ. 청구적격
Ⅲ. 확인의 이익(즉시 확정의 법률상 이익)
Ⅳ. 소송상 취급
Ⅴ. 마치며
본문내용
보채무의 부존재확인과 함께 그 저당권설정등기말소청구의 경우에 별도로 피담보채무부존재확인의 청구는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했다.
3) 형성의 소의 경우
형성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경우에 확인의 소를 제기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확인의 이익은 부정할 것이다.
Ⅳ. 소송상 취급
소의 이익은 소송요건이고 직권조사사항이다. 따라서 조사결과 이의 흠이 있을 때에는 소가 부적법하다 하여 각하 판결하여야 한다는 것이 현재의 통설판례이다. 이를 간과한 판결은 상소의 대상은 되나 재심사유는 아니다.
Ⅴ. 마치며
확인의 소에 있어 확인의 이익을 통해 남소의 폐단을 막을 수는 있다고 할 것이지만, 이를 지나치게 엄격하게 해석하면 원고의 헌법상의 재판받을 권리(헌법 제27조)가 침해될 염려가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
3) 형성의 소의 경우
형성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경우에 확인의 소를 제기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확인의 이익은 부정할 것이다.
Ⅳ. 소송상 취급
소의 이익은 소송요건이고 직권조사사항이다. 따라서 조사결과 이의 흠이 있을 때에는 소가 부적법하다 하여 각하 판결하여야 한다는 것이 현재의 통설판례이다. 이를 간과한 판결은 상소의 대상은 되나 재심사유는 아니다.
Ⅴ. 마치며
확인의 소에 있어 확인의 이익을 통해 남소의 폐단을 막을 수는 있다고 할 것이지만, 이를 지나치게 엄격하게 해석하면 원고의 헌법상의 재판받을 권리(헌법 제27조)가 침해될 염려가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행정소송의 의의와 종류별 특성
당사자 적격에 대하여
제재적 행정처분의 제재기간이 경과한 후 처분의 효력을 다툴 소의 이익
기판력, 소의 이익과 소권이론, 소장의 기재사항
디자인보호법상 권리범위확인심판, 통상실시권허여심판
[중농학파][경세치용학파][실학사상][유형원][이익][정약용]중농학파(경세치용학파) 실학사상...
취소소송에대하여
행정법 법률상이익 요약자료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 창업절차][벤처기업 확인절차][벤처기업 평가절차][벤처기...
[벤처기업확인][벤처기업인증]벤처기업확인(벤처기업인증)의 유형, 요건, 벤처기업확인(벤처...
[기업감사][기업][감사][현황][이익조정][미국 사례][이스라엘 사례][내실화 방안]기업감사의...
사회복지법제_반사적 이익, 열등처우의 원칙, 법적 안정성의 개념을 적고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