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장근로의 제한
2. 산전후/유사산 휴가
3. 육아시간
4. 태아검진시간의 허용(제74조의 2)
5.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제외
6. 경이한 근로로의 전환
2. 산전후/유사산 휴가
3. 육아시간
4. 태아검진시간의 허용(제74조의 2)
5.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제외
6. 경이한 근로로의 전환
본문내용
청구하는 경우 이를 허용하여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건강진단시간을 이유로 그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여서는 아니 된다.
5.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제외
임부에 대해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임부의 건강과 모성보호를 위한 것이다.
6. 경이한 근로로의 전환
여성근로자가 원할 경우 경이한 근로로의 전환을 해 주어야 한다.
5.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제외
임부에 대해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임부의 건강과 모성보호를 위한 것이다.
6. 경이한 근로로의 전환
여성근로자가 원할 경우 경이한 근로로의 전환을 해 주어야 한다.
추천자료
[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비정규직조직화]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 증가추세, 비정규...
[근로자파견제도][파견근로자][파견근로][파견근로법]근로자파견제도의 합법화 과정과 파견근...
[파견근로자][파견근로][파견근로법][파견근로산업]다양한 파견근로자 피해 사례로 본 파견근...
[골프경기보조원][캐디][골프]골프경기보조원(캐디)의 개념, 골프경기보조원(캐디)의 근로내...
산재보험법률-수급권자,보험가입자,급여,근로복지사업,권리보호,벌칙 등
특수고용노동자의 법률, 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자성 판단 근거, 여성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자...
[비정규직근로자]비정규직근로자 문제의 대립적 시각에 대한 고찰- 비정규직근로자 장점, 비...
근로자파견(노동자파견)의 정의와 유형, 근로자파견(노동자파견)의 법률관계와 업무, 근로자...
근로자파견(노동자파견)의 개념과 목적, 근로자파견(노동자파견)의 계약내용, 근로자파견(노...
비정규직근로자차별(비정규직노동자차별)의 의미, 비정규직근로자차별(비정규직노동자차별)의...
[공익위원안, 기간제근로, 특수고용근로, 파견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공익위원안과 기간제...
노동자건강권(근로자건강권, 노동보건)의 의의, 노동자건강권(근로자건강권, 노동보건)의 항...
[청소년복지론 과제] 법률상 청소년의 기준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형법상 형사 미성년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