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put Stage Circuit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utput Stage Circuit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lass A output stage

2. class B output stage

3. class AB output stage

4. discussion

본문내용

4-1]과 같은 회로를 선택하였다. 이 회로는 Class B 회로에 DC 바이어스를 걸어준 것인데, 그 바이어스 크기가 이다.
[그림 4-2] 출력 전압 파형
[그림 4-3] 출력 전류 파형
[그림 4-2]와 [그림 4-3]을 보면 Class A output stage와 같이 전압과 전류의 파형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Class AB output stage는 Class B에서 나타나는 crossover distortion을 없애기 위해 바이어스를 걸어준 회로이다. 바이어스 회로를 첨가함으로써 Class B보다 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보통 바이어스는 두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 전압의 합의 평균값으로 걸어준다. 그러면 Class B에서 트랜지스터가 on, off 되면서 생기는 dead zone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바로 출력이 나올 수 있게 된다.
[그림 4-6] 출력 저항에서의 평균 전력
[그림 4-6]에서 보면 출력 저항에서의 평균 전력은 0.5W 정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4] 에서의 전력 소모
[그림 4-5] 에서의 전력 소모
에서의 평균 소비 전력은 0.9W, 에서의 평균 소비 전력은 1.3W이므로 트랜지스터의 전체 평균 소비 전력은 2.2W이다.
[그림 4-6]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
4. Discussion
이제까지 Class A, Class B, Class AB output stage 회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Class A는 일정한 바이어스를 걸어줌으로써 출력 파형에 왜곡이 없도록 하는 회로이다. Class B는 출력에 왜곡은 조금 생기지만 효율이 좋게하는 회로이다.
Class AB는 이런 Class A와 Class B의 장점을 모아서 효율은 Class B보다 조금 떨어지지만 Class A와 같이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회로이다.
출력 전압의 파형을 일정하게 해줌으로써 각 각의 특성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전력 소모 - Class A > Class AB > Class B
효율 - Class AB > Class B > Class A
실제 설계에서는 이런 간단한 회로가 아니라 더 복잡하게 구성이 되겠지만 Class AB와 같은 회로는 실제로 많이 쓰이는 회로이다. 효율과 왜곡 특성이 모두 좋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Class AB의 바이어스 회로에는 다이오드를 이용한 방법, multiplier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2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