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의 가치와 가사노동의 가치평가 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사노동의 가치와 가사노동의 가치평가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사노동이란?

2. 가사노동의 영역 분류

3. 가사노동의 가치
1) 가사노동의 사회적 가치
2)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

4. 가사노동에 대한 의식
1) 가치 의식
2) 분담 의식

5. 가사노동 분담 이론
1) 자원 이론(Resources Theory)
2) 시간 가용설(Time Availably) 가설
3) 성 역할 관념(Gender Role Ideolgy) 가설

6. 가사노동의 가치평가
1) Becker의 가계생산이론(Household Production Theory)
2)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방법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여성이 집에 있는 것이 합리적인 시간배분이라는 의사결정의 결과가 아니라 사회적 관습 때문이라면, 무보수 노동의 가치가 시장임금과 같다는 이론을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무보수 가사노동의 한계가치는 평균가치보다 낮아진다. 그런데 시장 임금률은 무보수 가사노동의 한계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시장임금률을 적용하여 무보수 가사노동의 총 가치를 산출하면, 무보수 가사노동의 가치가 과소평가 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M. A. Ferber, B. G. Birnbaum, 1980).
④ 요구임금법
시장 임금률을 사용함으로써 관련되는 편향성(bias)를 피하기 위해 기회비용법이 발달되어 왔으며, 다시 기회비용법의 문제점은 요구임금의 개념을 통해 개선되고 보완된다. 요구임금(Reservation wage)이란 미취업 주부로 하여금 노동시장에 진입하게 만드는 최소한의 임금, 그리고 취업주부에게는 계속 노동시장에 남아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임금을 의미한다. 즉, 주부들의 가사노동에서의 시간당 한계가치를 반영한 기회비용법의 개념이지만 기회비용법의 문제점을 다소 보완한 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요구임금은 시장임금과의 비교에 의해 경제활동 참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실제로 시장대체법으로 평가한 경우에 취업과 관련된 비용으로 인한 차이 때문에 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가치는 과소평가 되므로 가족구성원들이 가정에 기여한 시간에 얼마나 가치를 둘 것인가를 알고자 할 때에는 기회비용법이나 요구임금법을 적용시켜야 한다. 또한 여성들의 교육수준 상승과 출산율 감소, 핵가족화 현상 등이 요구임금을 낮추게 될 것이라고 했다(김정희, 1994).
(2) 산출물 접근법에 의한 가사노동 가치평가 방법
산출물 접근법은 가정에서 생산된 것의 가치를 시장의 거의 같은 품목과 비교하여 가정에서 수행된 노동을 화폐로 추정하는 것이다. 즉, 같은 종류의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격을 기초로 가계생산물의 가치를 화폐로 환산하는 것으로(Hirway, I., 1998, Hirway, I., 1999), 무급노동에 의해서 생산된 산출물의 가치와 시장에서 생산된 재화의 가치를 같게 하는 것이다(Sousa-Poza, A., 1999). 따라서 가계의 산출물에 대한 물리적 양(예를 들면, 준비된 식사의 종류와 수, 돌본 자녀수, 빨래 양 등)의 측정이 요구된다(Goldschmidt-Clermont, L. & Pagnossin-Aligisakis, E., 1999).
산출물 접근법을 사용할 때는 중간소비재의 가치를 총 부가가치에서 공제하고 총 고정자본소비(Consumption of Fixed Cost), 생산과 관련된 제반 조세를 공제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혼합소득이 결과적으로 남게 된다(Hirway, I., 2000).
대부분의 경제에서 국민계정은 산출물 접근에 기초하고 있다. 즉, 재화와 용역의 산출액을 기초로 국민총생산액을 산정한다. 따라서 무보수 가사노동가치를 위한 비교가능한 평가방법도 산출물 접근법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는 현실적으로 가치평가를 위해서 시간사용조사에 산출량에 관한 정보가 있어 한다. 따라서 무보수 가사노동의 가치평가 시 산출자료가 필요하거나 시간자료를 조사 자료에 기초해 산출자료로 변환시켜야 한다. 자신의 소비를 위해 생산하는 재화가 연관될 수 있도록 산출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면, 가계로부터 그런 재화의 가격으로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재화의 가치산정은 산출물에 그 가격을 곱함으로써 쉽게 구해질 수 있을 것이다(Hirway, I., 2000). 그러나 이러한 재화와 서비스의 정의가 시장재화의 경우처럼 명확하지 않고(Varjonen, J. & Hamunen, E., 1999), 아직 그 자료들이 제대로 개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연구들에선 투입비용에 근거해 가계생산의 가치를 평가한다(Goldschmidt-Clermont, L. & Pagnossin-Aligisakis, E.,1999).
◆ 참고자료 ◆
문숙재윤소영(2000)「결혼과 노동」교문사
임은혜(2006)「이성형제자매가 있는 중학생의 가사노동 의식과 참여도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전진아(2005)「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과 태도에 따른 가사노동 의식 및 참여도」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논문
최민영(2002)「가사노동 가치평가를 위한 기초적 분석」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신소영(1996)「계층별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2.27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