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진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로교통진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Title

Ⅱ. Date

Ⅲ. Object

Ⅳ. Theory

Ⅴ. Procedure

Ⅵ. Data

Ⅶ. Discussion

Ⅷ. Reference

본문내용

대상진동보다 크므로 ⑴ 또는 ⑵항이 만족되는 조건에서 재측정하여 대상진동레벨을 구하여야 한다.
6. 평가 및 측정자료의 기록
6. 1 평 가
5항으로부터 구한 측정진동레벨을 도로교통진동의 한도와 비교하여 평가한다.
그림 8. 교통소음진동의 한도기준
6.2 측정자료 기록
측정자료는 서식4(도로교통진동 측정자료 평가표)에 의하여 기록한다.
Ⅵ. Data
도로교통진동 측정자료 평가표
작성년월일 : 년 월 일
1.측 정 년 월 일
20 년 월 일 요일
시 분부터
시 분까지
2.측 정 대 상 업 소 등
소재지 :
명 칭 :
3.관 리 자
국토해양부,
4.측 정 자
소속 : 직명 : 대학생 성명 : (인)
소속 : 직명 : 대학생 성명 : (인)
소속 : 직명 : 대학생 성명 : (인)
소속 : 직명 : 대학생 성명 : (인)
5.측 정 기 기
진동레벨계명 : VM-53A 기록기명 :
기타 부속장치 : Speed gun
6.측 정 환 경
지면조건 : 전자장 등의 영향 :
반사 및 굴절진동의 영향 :
7. 측정대상의 진동원과 측정지점
도 로 구 조
교 통 특 성
측 정 지 점 약 도
차 선 수 : 편도2차선
도로유형 : 직선
구 배 : 확인불가
기 타 :
시간당 교통량 :
( 367 대/hr)
대형차 통행량 :
( 40.5 대/hr)
평 균 차 속 :
( 55.25 ㎞/hr)
첨삭사진 참고
(지역구분 : )
. 측정자료 분석결과(기록지 등 첨부)
측정진동레벨 : 1차(충주방향) L10 - 34.0 ㏈(V)
2차(원주방향) L10 - 39.5 ㏈(V)
방 향
V (km/h)
57
54
65
62
60
61
57
51
42
52
53
48
65
64
57
58
61
55
56
52
Vav (km/h)
56.5
교통량
전 체
356
소 형
317
대 형
39
L10 (dB(V))
34.0
방 향
V (km/h)
50
50
55
30
59
48
60
62
62
65
56
43
51
66
52
59
48
53
53
58
Vav (km/h)
54.0
교통량
전 체
378
소 형
336
대 형
42
L10 (dB(V))
39.5
Ⅶ. Discussion
환경부 민원의 약 90%가 소음진동에 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기·수질과는 다르게 소음과 진동의 피해는 증거인멸이 되기 쉬운 공해로 그 피해가 서서히 드러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일반인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심각하게 받아 들이지 않는 실정이다. 사람 뿐 아니라 소음과 진동은 동물에게도 큰 피해를 입힌다. 실질적으로 소음진동은 우리 인간과 동물에게 가장 가깝게 다가와 있는 공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도로교통진동의 측정방법을 이해하고,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 정상부근 진동레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서 연속 1시간 2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향 L10 - 34.0 ㏈(V), --방향 L10 - 39.5 ㏈(V)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교통소음·진동의 한도]법 제 29조 규정에 의하여 대상지역 녹지지역에 해당하며, 주간(06:00~22:00)의 경우 진동 dB(V)를 65으로 명시하고 있다. 진동의 한도치와 본 실험의 측정치를 비교해 보면 진동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큰 이유는 주거인구가 적고, 측정지점은 대부분 주거인구가 적은 녹지지역으로 교통량이 많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서울, 부산 등 다른지역과 --시 내부의 진동측정값과 비교해 보면 교통량에 비해 작은값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그림 8).
지역별 진동측정치
--시내 진동측정치
첫째, 1시간 당 교통량의 약 11%를 차지하는 대형차. 근처 공사장에 나오는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5톤 차량에 의해 진동계의 수치가 각 1대당 평균 약 1dB(V)의 수치가 증가함을 볼 수가 있었다. 위의 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본 측정지점보다 월등히 많은 통행량이 존재하는 시내에서의 측정치와 별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로진동은 대형차량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특히 대형차량이 일정 수 이상 통과하게 되면 L10값이 거의 대형차의 영향을 받게된다. 또한 소형차에 비해 높은 속도를 보였던 대형차에 의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차속은 도로표면 상태, 차량중량과 함께 도로진동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진동전파 영향요인. 노면 및 매질특성에 따른 진동감쇠의 영향을 받았다. 대형차의 경우 도로가 아스팔트이고 매질이 흙일때 큰 진동레벨을 나타낸다(가장 큰 진동레벨의 경우는 도로가 콘크리트이고 매질이 흙인 경우).
셋째, 거리감쇠. 도로로 부터 5~10m 범위에서는 차종별로 거리감쇠 차가 있는 반면, 10~20m에서는 차종간의 진동감쇠량의 차이가 거의 없다. 획득한 데이터 값은 도로로부터 약 1~2m 범위에서 측정했다. 이 때문에 대형차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게 되었다.
측정 결과 가장 큰 요인은 ‘대형차’였다. 또한 관련 논문에서도 도로진동시 가장 큰 요인으로 대형차와 대형차 통행량, 대형차의 속도를 주요요인으로 꼽고 있다. 사실, 그 동안 도로진동에 대하여는 소음에 비해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실정이었다. 이는 소음보다 영향권이 국지적이고 주민피해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전반적인 환경진동 실태를 파악하기에는 기초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환경진동 기준과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환경진동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여야 하고(차량, 노면, 매질종류, 도로단으로부터의 거리, 진동의 거리감쇠, 주파수 특성, 영향범위 등), 이들 진동이 인간과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할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Ⅷ. Reference
Noise and vibration / R. G. White 외 1인 / 半島出版社 / 1996
소음진동 환경오염공정기준 / 환경부 / 2008.01
진동으로 인한 피해의 인과관계 검토기준 및 피해액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환경부 중앙
최신소음진동학 / 김희강외 3인 / 동화기술 / 1995
환경분쟁조정 위원회 / 1996
환경진동의 저감대책에 관한 조사연구 / 나진균외 9인 / 1995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12.29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6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