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과 동양윤리,서양윤리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교육과 동양윤리,서양윤리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 도덕교육과 동양윤리
(1) 공자 ⁃ 맹자의 인성론
(2) 순자의 인성론
(3) 성리학의 윤리사상

3. 도덕교육과 서양윤리
(1) 소크라테스(Socrates)
(2) 플라톤(Platon)
(3)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본문내용

도덕교육과 동양윤리
(1) 공자 맹자의 인성론
① 공자
-도 : 시동을 초월한 자연의 기본원리인 형이상학적 보편원리
-덕 : 시공에 대처한 인간행위에 나타난 도의 구현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형이하자적 실제 행동
-인간의 본성 : 본성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
천부성과 후천적 습성의 중요성
-공자의 인성의 천부성에는 성선설적 요소가 베어 있으며, 인간이 타고난 본성을 잃지 않 는다면 인간은 부여받은 천명에 따라 선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② 맹자
-공자의 사상을 토대로 인산의 본성이 선함을 강조하였다.
-성(性)=심(心) : 순수한 본질을 뜻
생(生) : 순수한 본질을 몸(신체)
→지(志) : 마음의 순순한 본질로서 이성
정(情) : 신체에서 비롯하는 감정과 욕망 → 희노애락애오욕
기(氣) : 심리적 추진력, 에너지, 의지 ‘선정과 악정’
-기(氣)는 지와 정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영향을 받고 편승하여 기능을 발휘한다. 기가 어
떤 쪽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작용하느냐에 따라 인산은 선해질 수도 있고 악해질 수도 있 는 것이다. 지에 따라 성이 작용하도록 기가 기능을 발휘하면 선정이 되고, 몸의 감각에 따라 기능을 발휘하면 악정이 된다. ‘기’를 잘 길러야 한다.
-지(志)는 인간을 인간되게 만드는 핵심 요소로써 천부적으로 사단이 내제되어 있다.
→ 사단(四端) : 인(仁)에서는 측은/ 의(義)에서는 수오/예(禮)에서는 사양/지(智)에서는 시비라 하며, 이 네 가지를 사성의 단
불인지심(不忍之心)은 성선의 증거이며,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를 넓히고 행동해야 한다.
③ 교육의 목적
-공자 : 교육을 통해 하늘의 이치인 도를 깨닫고 이를 이상생활에 구체적으로 실천함으로 써 덕을 발휘하도록 하며, 올바른 교육을 받는다면 누구나 선한 사람이 될 수 있 다는 것이다.
-맹자 : 존심양성(存心養性)/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기르는 것으로,누구나 타고난 선단 을 확충해 나간다면 착한 사람이 될 수 있다.
→ 구방심(求放心) : 놓아버린 마음을 되찾는 것
선단확충(善端擴充) : 타고난 선단을 확충해 나가는 것
-교육의 방법 :
학사병진(學思竝進) : 학문과 사색을 병행
과욕(寡慾)과 원욕(遠慾) : 과욕은 내부 욕망을 줄이고 억제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것
원욕은 욕망을 멀리하는 것.
전심치지(專心致志) : 마음을 오로지 하고 뜻을 다하는 것, 일상생활 속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