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 토마스 아퀴나스
윤리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접근
자연법과 인간의 행위
자연적 성향들
기본적인 명령과 부수적인 명령
이성, 인간의 선 그리고 의지
도덕적 인식
자연법 이론에 대한 비판들
윤리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접근
자연법과 인간의 행위
자연적 성향들
기본적인 명령과 부수적인 명령
이성, 인간의 선 그리고 의지
도덕적 인식
자연법 이론에 대한 비판들
본문내용
설명과 규범적인 설명을 결합한다. 여기서 문제는 이러한 사실 기술적인 진술과 가치 평가적인 진술의 결합이 과연 일관성이 있는가라는 것이다.
하지만 아퀴나스는 훌륭한 본질주의자이다. 그는 인간이 어떤 본질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점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자연적인 성향들이 목표로 삼고 있는 목적들은 본질적 목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인간의 본질을 구성한다. 이성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포함한 다른 많은 것들의 본질을 파악하는 능력이며 바로 이런 이유로 목적들을 완성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만일 우리가 오늘날의 많은 철학자들처럼, 특히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처럼 본질주의를 거부한다면 몇몇 목적들이 자연적이고 따라서 본질적이라는 생각을 그리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본질주의의 비판자들은 인간의 본성이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경계를 지니지 않는다고―즉 어떤 존재가 인간인지를 확인하는 또는 어떤 행위가 고유하게 인간의 행위인지를 확인하는 필요충분조건은 존재하지 않는다고―주장할 것이다. 인간 자신과 인간의 행위는 “모습과 형태”가 무척 다양하며 무엇이 “인간적”이고 “본성적”이며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 아니라 바로 우리라고 말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른 결정을 내릴 것이며 따라서 인간이 본질적으로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어떤 객관적인 대답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질주의는 철학적으로 생명이 끝난 이론이 결코 아니며 그것은 자연법 이론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호소력을 지님을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아퀴나스는 훌륭한 본질주의자이다. 그는 인간이 어떤 본질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점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자연적인 성향들이 목표로 삼고 있는 목적들은 본질적 목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인간의 본질을 구성한다. 이성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포함한 다른 많은 것들의 본질을 파악하는 능력이며 바로 이런 이유로 목적들을 완성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만일 우리가 오늘날의 많은 철학자들처럼, 특히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처럼 본질주의를 거부한다면 몇몇 목적들이 자연적이고 따라서 본질적이라는 생각을 그리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본질주의의 비판자들은 인간의 본성이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경계를 지니지 않는다고―즉 어떤 존재가 인간인지를 확인하는 또는 어떤 행위가 고유하게 인간의 행위인지를 확인하는 필요충분조건은 존재하지 않는다고―주장할 것이다. 인간 자신과 인간의 행위는 “모습과 형태”가 무척 다양하며 무엇이 “인간적”이고 “본성적”이며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 아니라 바로 우리라고 말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른 결정을 내릴 것이며 따라서 인간이 본질적으로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어떤 객관적인 대답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질주의는 철학적으로 생명이 끝난 이론이 결코 아니며 그것은 자연법 이론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호소력을 지님을 말해주고 있다.
추천자료
항존주의 (perennialism)
12.13세기의 신학사상과 종교개혁
스콜라철학의 기본 개념(본질)
신존재 증명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우주론적 증명
신존재 증명과 비판(일반계시의 가치)
유신론의 논변들
생존권이 가지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주체는 무엇이며 인간다운 생활이란 무엇이라고 ...
[전래][천주교 전래][성결교회 전래][장로교 전래][유교 전래][불교 전래][불상 전래][서양과...
우리나라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복지서비스법이 생존권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설명하시오 (생...
사회복지법의 근본이념과 생존권의 발달과정을 기술해 보시오
11 목회서신 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