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결과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

1-1. COD

1-2. 표준물질

1-3. 표준물질의 역가

1-4. 1차 표준물질과 2차 표준물질

2. EXPERAIMENT

2-1. 시약 및 기구

2-2. 실 험 방 법

2-3. 물 리 상 수

2-4. 유 의 사 항

3. RESULT

3-1. Raw Data

3-2. 계 산 식

4. DISCUSSSION

5. REFRENCE

본문내용

탄소에 의해 변화한다면 이 물질을 정확하게 칭량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 의미도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화학약품은 대략적으로 칭량하여 목적하는 농도에 가까운 용액을 만든 후 농도를 알고 있는 일차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표정에 의하여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 조제한 표준용액을 2차 표준용액이라고 한다.(NaOH, KMnO4 , HCl 등).
4
Experaiment
2-1. 시약 및 기구
시약
- H2SO4, Ag2SO4, KMnO4, Na2C2O4
시약 제조법
- 0.025N KMnO4 표준용액
KMnO4 0.8g을 플라스크에 취하여 1100㎖네 녹이고 1~2시간 조용히 끊여서 하룻 밤 냉암소에 방치한 후 3G4 초자 여과기로 여과하여 갈색 병에 보관한다. 0.025N Na2C2O4 표준용액 21㎖를 취하고 H2SO4(1+2) 용액 10㎖를 가하고 0.025N KMnO4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0.025N KMnO4표준용액의 농도를 결정한다. 반드시 blank test를 행하여 보정해야 한다.
- 0.025N Na2C2O4 표준용액
Na2C2O4 11.675g을 정확하게 평량하여 증류수에 녹여 1L-volumetric flask에 넣고 표선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이 용액 1㎖는 0.2㎎에 해당한다.
- H2SO4(1+2)용액
증류수 200㎖에 조심스럽게 매우 조금씩 100㎖의 conc H2SO4를 가한다. 매우 심한 발열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 발열반응이 심할 경우 흐르는 물로 식힌다.
실험 기구
- 250㎖ - round bottom flask, 50㎖ 뷰렛, 전기히터, 환류 냉각장치, 250㎖ flask, beaker
5
2-2. 실험방법
처음에 위의 시료 방법대로 H2SO4(1+2)용액을 먼저 만들고, 0.025N Na2C2O4 표준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KMnO4 0.4g를 550㎖의 증류수에 녹여 0.025N의 KMnO4를 만들었다. 그리고 농도를 측정하기위해 0.025N Na2C2O4 표준용액 21㎖를 취하고 H2SO4(1+2) 용액 10㎖를 가한뒤, 0.025N KMnO4표준용액으로 적정을해 소비되 부피(㎖)를 측정했다.
시료의 적정이 모두 끝난뒤, 250㎖ - round bottom flask에 시료(덕진공원 연못물)를 50㎖넣고, 증류수를 50㎖를 넣어 2배 희석 시켰다. 그리고 H2SO4(1+2) 용액 10㎖를 넣고, Ag2SO4가루를 1g를 넣어 녹였다. 가루가 전량 녹지 않았지만 나중에 가열을 하기 때문에 그대로 두었다. 뿌옇게 변한 시료에 0.025N의 KMnO4 10㎖넣고, 환류냉각장치를 설치한 뒤 전기히터로 가열했다. 가열 할때는 중탕을 이용했다. 물이 끓기 시작한 뒤부터 30분정도를 더 가열했다. 냉각관을 떼어낸후 80°C 정도를 유지하면서 0.025N Na2C2O4 표준용액 10㎖를 넣었다. 자기장을 이용한 마그네틱바, 뷰렛, 0.025N의 KMnO4를 이용해 시료의 색깔이 엷은 분홍색이 나올때 까지 적정했다.
2-3. 물리상수
H2SO4
Ag2SO4
KMnO4
Na2C2O4
각시료의 당량점
2
2
1
2
2-4. 유의사항
1. 황산은을 넣어주는 이유는 시료중에 들어있는 염소이온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2. 희석을 할때 너무하게 되면 KMnO4 소비량이 너무 적게 되어 실험 오차가 커지게 되므로 적정한 희석배수는 낮을 수록 정확하다.
3. 희석수로 사용하는 물속에 들어있을수도 있는 유기물의 보정, 그리고 KMnO4 용액과 Na2C2O4 의 농도차이 보정하기 위해서이다.
6
3. Result
3-1. Raw Data
표준용액 제조의 적정값.
1
2
평균
적정에사용된양(㎖)
22.7
22
22.35
시료 적정값
적정에사용된양(㎖)
5.4 ㎖
바탕실험에 사용된 양(㎖) : 1.2㎖
3-2. 계산식
f 값
0.025M KMnO4 mg당량
=
0.025M KMnO4 25㎖당량
=
f =
7
COD 값( mg O/L)
=
8
Discussion
이번 실험은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산화적정 실험이다. 산화 적정중에서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COD 산화 적정에 대한 실험을 했다. 우리는 이 실험에서 처음으로 표준용액의 역가를 구하기 위해 적정을 하는법을 해봤다. 그 동안은 이미 만들어진 표준용액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우리가 시약을 제조를 해도 농도를 보정해 보지는 않았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이것을 하는 것에 대해서 사전 준비도 많이 부족했고, 상당히 까다롭게 느껴졌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는 많은 용액을 제조 했다. 제조법대로 제조를 했지만 농도가 확실히 맞지 않아 보정값이 1.39가 나왔다. 확실히 분자량이 그리 큰 물질들이 아니어서 그런진 몰라도 1/100g 이나 1/1000g 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다. COD값은 ppm 이기 때문에 우리 주변에 있는 덕진공원 물이 상당히 오염됐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리고 COD는 무기물에 의한 산소요구량도 잴수 있기에 BOD보단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COD실험은 예전에도 해봤지만 이번에 실험을 하면서 COD에 관에 확실히 알 수 있었던거 같다. 이번 실험에 대해 약간 아쉬웠던 점을 이론 상 알고 있기로는 물의 희석배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KMnO4의 양이 줄어들어 오차가 범위가 커진다고 알고 있다. 우리는 그래서 2배 희석만 실험을 해봤는데 4배,8배 희석을 하면 오차율이 얼마나 클지 관계에 대해서도 알고 싶었지만 가열하고 기다리는 시간이 매우 길어 실험을 못 해본게 아쉽다. 끓일 수 있는 기계가 컷다면 좀더 해 볼 수 있었는데 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그리고 이번 실험을 하면서 확실히 실험 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활용하는 것을 연습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실험을 약간 수동적으로 하다보니 사용하면 편리한 것 을 배제하고,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을 보니 좀 더 실험 도구에 대해 알아 놔야 겠다고 생각했다.
9
5. Reffrence
1.http://blog.naver.com/hwanzzang78?Redirect=Log&logNo=80004057081
2. Naver백과사전
3. 최신 대학 화학 실험. 권중근. Audex. 2007.
10

키워드

COD,   측정,   공업화학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