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해송론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해송론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켜 나가는 이중적구성과 환상과 상징, 우의의 알레고리, 전복 등 다양한 수사법 이용-가장 대표적인 예: 어른에게 억압당하는 어린이의 현실→어른들의 세태를 풍자
예)바위나리 아기별, 어머님의 선물, 모래알 고금
2)식민지 현실과 불합리성
일제 식민지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불합리성: 상징적 인물과 우의적 표현을 이용해 현실의 온갖 부조리와 인간 행동을 풍자
예)토끼와 원숭이, 떡배 단배
3)왜곡된 가치와 주체성
인간의 불합리하고 왜곡된 가치와 주체성을 풍자함
예)호랑이와 곶감, 학자들이 지은 집, 사슴과 사냥개
3.결론
다른 작가와는 구별되는 마해송 작품만의 특징 : 풍자성!
위의 세 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강한 풍자의 경향을 보임-우리문학사의 소중한 자산
-풍자성은 강해졌으나: 지나친 풍자의 추구로 인해서 인간에게 동식물의 껍질만을 뒤집어 쓴 느낌-주인공의 성격이 개성 없이 형상화 됨. 비아동적인 상징적 주인공이 생명과 개성을 상실한 형상화에 그칠 때 작품은 현실성을 부여 받지 못하고 관념적인 이야기로 전락.
→동화에서의 현실반영이 동심적인 것으로 여과되지 못한다면 과연 동화는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아동에게 적합한 문학적 특성이 고려되지 못한 동화)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1.04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