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RFID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
1. 서 론
2. 무선인식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 1. 무선인식 시스템이란
2. 2. RFID 적용사례
3. 도로명주소 시설물의 종류
3. 1. 건물번호판
3. 2. 도로명판
4. 현재의 시설물 조사 방식
4. 1. 조사 계획수립
4. 2. 조사 지역선정
4. 3. 도면출력
4. 4. 현장확인
4. 5. 조사자료 전산입력
5. 문제점
5. 1.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 부재로 인한 조사시간 지연
5. 2. 현장조사를 위한 사전작업이 필요함
5. 3. 조사자료 입력의 어려움
5. 4. 비용 및 인력의 문제
6. RFID 적용 방안
6. 1. 조사 계획수립
6. 2. 새주소 시설물에 RFID 태그 장착
6. 3. RFID를 활용한 현장조사
6. 4. 조사자료 입력
6. 5 개선 후 효과
6. 5. 1 현장조사 기간 단축
6. 5. 2 신뢰도 높은 현장조사 가능
6. 5. 3 조사자료 입력이 용이함
6. 5. 4 비용 및 인력 절감
3. 결 론
1. 서 론
2. 무선인식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 1. 무선인식 시스템이란
2. 2. RFID 적용사례
3. 도로명주소 시설물의 종류
3. 1. 건물번호판
3. 2. 도로명판
4. 현재의 시설물 조사 방식
4. 1. 조사 계획수립
4. 2. 조사 지역선정
4. 3. 도면출력
4. 4. 현장확인
4. 5. 조사자료 전산입력
5. 문제점
5. 1.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 부재로 인한 조사시간 지연
5. 2. 현장조사를 위한 사전작업이 필요함
5. 3. 조사자료 입력의 어려움
5. 4. 비용 및 인력의 문제
6. RFID 적용 방안
6. 1. 조사 계획수립
6. 2. 새주소 시설물에 RFID 태그 장착
6. 3. RFID를 활용한 현장조사
6. 4. 조사자료 입력
6. 5 개선 후 효과
6. 5. 1 현장조사 기간 단축
6. 5. 2 신뢰도 높은 현장조사 가능
6. 5. 3 조사자료 입력이 용이함
6. 5. 4 비용 및 인력 절감
3. 결 론
본문내용
RFID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
요 약
2007년 4월 5일 『도로명주소법』시행으로 도로명주소(새주소)는 기존의 생활주소에서 법적주소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법 시행 이전 추진지역에 대하여 전국적인 통일성을 맞추기 위한 작업을 실시하여 기존 도로명을 전면 정비하였으며 시설물 또한 교체하였고 이후 도로명주소를 개별 고지고시 하게 되면 새주소 시설물은 좀더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1. 서 론
기존의 많은 수의 도로명주소 시설물들은 시설물 관리방식 및 조사 방식의 비효율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지 못하였으나 바코드를 대체하며 물류 혁명을 가져올 매체로 인식되고 있는 RFID라는 기술을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에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도로명주소 시설물들을 관리를 하고자 한다.
2. 본 론
본 연구에서는 RFID란 무엇이며, RFID의 주요 활용 사례, 기존 시설물 관리방식 및 조사방법에 대하여 알아본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 RFID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3.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RFID Tag 시스템을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시간 및 비용 등이 절감되어 효율적인 국가재산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RFID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
1. 서 론
도로명주소 사업은 지난 100여년 동안 사용하여온 지번주소 방식의 주소체계를 도로명과 건물번호방식의 도로명주소 방식으로 바꾸는 사업을 말한다.
지난 2007년 4월 5일 『도로명주소법』시행으로 도로명주소는 기존의 생활주소에서 법적주소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후 시설물이 설치되고 이에 따른 개별 도로명에 대한 고지고시가 이루어 질 경우 7대 핵심 공적장부(주민등록, 외국인등록, 건축물대장, 건물 및 법인등기부, 사업자등록, 가족관계등록부)등 약 9,000여종의 공적장부의 주소가 기존의 지번주소에서 도로명주소로 바뀌는 중요한 사업이다.
전주시의 경우 도로명 부여 및 시설물 설치 까지 완료한 상태이며 2010년 하반기 개별주소에 대한 고지고시를 실시하게 되면 도로명주소 사업은 관리 단계로 넘어가게 되어 새주소 시설물들은 좀더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2. 무선인식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 1. 무선인식 시스템이란
-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Tag와, RFID 리더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리더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기존의 바코드 다른 점은 바코드는 빛을 이용하지만 RFID는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 RFID Tag : 태그는 전자 회로와 안테나가 결합된 하나의 전자 장치로, 전자 회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RFID 태그는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전원의 유무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전원을 가지고 있는 능동형 태그는 자체적으로 2년에서 7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가지고 있어 리더로부터 전력 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적 멀리까지 송신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이용 기간이 짧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수동형 태그는 작고, 가벼우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최대 20년 정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접을 가지고 있으나 인식 거리가
요 약
2007년 4월 5일 『도로명주소법』시행으로 도로명주소(새주소)는 기존의 생활주소에서 법적주소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법 시행 이전 추진지역에 대하여 전국적인 통일성을 맞추기 위한 작업을 실시하여 기존 도로명을 전면 정비하였으며 시설물 또한 교체하였고 이후 도로명주소를 개별 고지고시 하게 되면 새주소 시설물은 좀더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1. 서 론
기존의 많은 수의 도로명주소 시설물들은 시설물 관리방식 및 조사 방식의 비효율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지 못하였으나 바코드를 대체하며 물류 혁명을 가져올 매체로 인식되고 있는 RFID라는 기술을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에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도로명주소 시설물들을 관리를 하고자 한다.
2. 본 론
본 연구에서는 RFID란 무엇이며, RFID의 주요 활용 사례, 기존 시설물 관리방식 및 조사방법에 대하여 알아본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 RFID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3.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RFID Tag 시스템을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시간 및 비용 등이 절감되어 효율적인 국가재산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RFID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
1. 서 론
도로명주소 사업은 지난 100여년 동안 사용하여온 지번주소 방식의 주소체계를 도로명과 건물번호방식의 도로명주소 방식으로 바꾸는 사업을 말한다.
지난 2007년 4월 5일 『도로명주소법』시행으로 도로명주소는 기존의 생활주소에서 법적주소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후 시설물이 설치되고 이에 따른 개별 도로명에 대한 고지고시가 이루어 질 경우 7대 핵심 공적장부(주민등록, 외국인등록, 건축물대장, 건물 및 법인등기부, 사업자등록, 가족관계등록부)등 약 9,000여종의 공적장부의 주소가 기존의 지번주소에서 도로명주소로 바뀌는 중요한 사업이다.
전주시의 경우 도로명 부여 및 시설물 설치 까지 완료한 상태이며 2010년 하반기 개별주소에 대한 고지고시를 실시하게 되면 도로명주소 사업은 관리 단계로 넘어가게 되어 새주소 시설물들은 좀더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도로명주소 시설물 관리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2. 무선인식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 1. 무선인식 시스템이란
-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Tag와, RFID 리더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리더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기존의 바코드 다른 점은 바코드는 빛을 이용하지만 RFID는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 RFID Tag : 태그는 전자 회로와 안테나가 결합된 하나의 전자 장치로, 전자 회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RFID 태그는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전원의 유무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전원을 가지고 있는 능동형 태그는 자체적으로 2년에서 7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가지고 있어 리더로부터 전력 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적 멀리까지 송신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이용 기간이 짧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수동형 태그는 작고, 가벼우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최대 20년 정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접을 가지고 있으나 인식 거리가
추천자료
유비쿼터스 시대의 RFID 기반 유통/물류
[유비쿼터스] RFID-USN 기술의 사회적 수용
성과관리시스템의 안착과 효율적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PPT발표]RFID의 정의및 사용현황및 문제점
RF 무선 통신결과보고서
미아방시스템
[지식관리시스템]지식관리시스템(지식경영, KMS)의 정의와 특징, 지식관리시스템(지식경영, K...
경영정보시스템의 필수 단어정리들
무선 LAN의 기술 발달과 향후 전망
RFID기술 및 응용사례
RFID기술 및 응용사례
[서비스 사업][서비스][사업][DMB][무선인터넷][이동통신][인터넷통합]DMB 서비스 사업, 무선...
SCM(공급관리체인)에서의 RFID도입사례,현황,운영사례,활용방안,발전방향 ppt자료
한국 유통물류의 문제점과 RFID를 이용한 발전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