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디외의 개념들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교육과 계급 재생산의 관련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르디외의 개념들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교육과 계급 재생산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 교육의 발달과정과 역할
1. 교육의 발달과정
2. 교육의 역할 : 계급 고착화 / 계급 재생산의 수단
○ 본 론
1. 교육에 대한 부르디외의 이론(자본, Habitus, Distinction)적 토대
2. Habitus, Distinction을 통해 본 교육과 계급격차
3. 한국의 교육 실태와 계급구조를 고착화하는 요소
○ 결론

본문내용

를 원하는 교육 수요자들의 욕구충족이 어렵기 때문에 효율성, 수월성을 높이기 위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흐름에 따라 자율형 사립고, 특목고 등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처럼 완전한 시장논리에 맡겨질 경우 영국의 Eaton 고교처럼 귀족 학교의 탄생으로 이어져 중학교, 고등학교 수준에서부터 엘리트 코스가 생길 가능성이 있으며 심할 경우 초등학교부터 심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여기에 있어 승자는 사회구조상 상층계급이 될 확률이 매우 높으며 이는 곧 계급 재생산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서울외고 학생의 부모 직업조사 결과 40%이상이 고위층 자녀였으며, 민족 사관학교의 경우는 80%이상이었음
○ 결론
부르디외의 자본, Habitus, Distinction을 통해 한국의 교육과 계급 재생산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계급경쟁에 있어 상층 계급이 승리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의 한국 사회는 이러한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공교육 강화 등)이 있어야 하지만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정책은 반대로 가고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그러한 상층계층에 유리한 사회적 조건들은 확고해 지고 있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진보적으로 계급구조를 완화시킬 세력은 미약한 상황이다.
즉, 한국의 교육은 자신의 계급을 뛰어 넘어 계급 상승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계층은 상층계급의 자본과 Habitus의 차이에 의해 사회구조적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고 계급의 고착화와 재생산이 반복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