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헌고찰
II. 간호사정
III. 간호진단
II. 간호사정
III. 간호진단
본문내용
진해거담제 & 기침감기약) Acetylcysteine
효능효과 :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세기관지염, 낭 성섬유증, 인.후두염, 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 중이염 등 객담 배출
부작용 : 구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과민증, 빈맥, 고혈압
Tantum Gargle (치과구강용약, 외용 소염진통제 NSAIDs)
효능효과 : 국소용 구강 및 인후 염증 치료제
부작용 : 구강마비감, 자상감, 작열감, 과민반응, 트림, 구역, 구토
Hexamedin (함소흡입제, 구내염, 구강살균소독제)
효능효과 : 보철(의치)에 의한 염증, 아구창 등의 칸디다감염증, 치은염, 인두염, 아
프타성구내염에 의한 염증의 완화, 치근막 수술후 살균소독
부작용 : 발진, 담마진, 불쾌감, 졸음, 혈압저하, 호흡곤란, 광선과민증, 접촉성 피부염
Durogesic (마약성진통제)
효능효과 :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만성 통증
부작용 : 복통, 두통, 부정맥, 흉통, 구역, 구토, 변비, 구갈, 식욕부진, 설사, 소화불 량, 고창, 혼몽착란, 무력증, 현기증, 신경과민, 환각, 불안증, 우울, 호흡곤 란, 호흡부전, 무호흡 등
6) 진단검사
Lab 검사 항목 모두 첨부
의의 : WBC 정상치는 4.0~10.0인데 1.16으로 낮음
RBC 또한 정상치는 4.2~6.3인데 2.14로 낮음
HGB 또한 정상치는 13~17인데 6.46으로 낮음
HCT 또한 정상치는 39~52인데 17.6으로 낮음
그 외 전해질은 정상
hs CRP 높음
혈액상태가 좋지 않아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
III. 간호진단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해결
날짜
서명
진단명 : #1. 비효율적 체온조절과 관련된 고체온
▶ 과학적 근거
WBC 저하로 면역력 감소
lung에 염증 발생
▶ 합리적 근거
“몸이 너무 뜨거워요”
“열이 너무 나는데요 차가운 얼음 없어요?”
“더워요”
체온측정 결과 5/29 2PM 38.5℃, 4PM 38.7℃
6PM 39.2℃, 9PM 39.9℃ 였다.
홍조를 띈 따뜻한 피부였다.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2. 기침과 관련된 흉통
▶ 과학적 근거
lung에 염증 발생
▶ 합리적 근거
“(가슴을 가르키며) 여기가 너무 아파요”
“기침을 하면 가슴이 너무 아파요”
입 주위와 손 발 끝이 파랗게 된다.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결핍 가능성
▶ 과학적 근거
잦은 기침 발생으로 식이 섭취 용이 하지 않음
▶ 합리적 근거
“입맛이 없어요”
“가슴이 아프니깐 별로 안땡겨요”
기침이 있기전 식이 섭취가 양호 했으나, 기침발생후
2일 후부턴 밥을 세숫가락 섭취
5/28 점심밥 조금과 아이스크림, 오렌지 주스 섭취
5/29 점심밥 반 섭취 오렌지 주스 섭취
3. 간호계획
진단
번호
진 단 명
#1.
비효율적 체온관리와 관련된 고체온
목표 : 체온 조절 계획으 수립을 돕는다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체온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1. 체온을 두 시간마다 측정한다.
2. 오한이 있으면 담요로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 준다.
3.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진단
번호
진 단 명
#2.
기침과 관련된 흉통
목표 : 환자의 흉통을 완하 시킨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흉통과 호흡곤란이 없어진다.
입 주위, 손 발 끝이 정상 피부색으로 돌아온다.
1. 가슴부위에 더운 찜질을 해준다.
2. 안정과 휴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진단
번호
진 단 명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결핍 가능성
목표 : 섭취량이 증가하고 고른 영양섭취를 보인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식욕부진이 사라진다.
고른 영양섭취를 한다.
1.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2. 기호식품을 파악하여 제공한다.
3. 혈중 전해질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4. 식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5. 구강위생을 실시한다.
4. 간호중재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1
5/29
2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였다.
보호자에게 tepid message를 교육하였다.
(오한 시 신체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열생산을 증가시킨다. 미지근한 물로 닦아 주면 열이 증발되어 체온이 하강된다.)
IPFS 20CC를 PO로 투여하였다.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2
5/29
가슴의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가슴에 온 찜질을 교육하였다.
6인실병동으로 혼잡하여 커튼을 쳐 안정할 수 있게 하였다.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3
5/29
대상자의 섭취정도와 불충분한 섭취기간을 사정하였다.
좋아하는 음식을 물어보고 그것을 먹도록 하였다.
임상병리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확인하였다.
음식섭취 권장 시 주변을 정리하고 병실의 다른 대상자들과 같은 시간에 밥을 먹을 수 있게 권하였다.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음식섭취 후 이닦기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5. 간호평가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1
5/31
체온이 점점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체온측정결과 : 5/29 38.9℃, 5/30 38.0℃)
교육한 대로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 환자의 몸을 닦아 주었다.
체온이 정상범위에 들지는 못하였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2
5/31
체온이 점점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체온측정결과 : 5/29 38.9℃, 5/30 38.0℃)
교육한 대로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 환자의 몸을 닦아 주었다.
체온이 정상범위에 들지는 못하였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3
5/31
수액이 들어가고 있으며 조금씩 음식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다.
햄버거와 아이스크림과 같은 영양적으로 풍부하지 않은 음식들의 섭취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가끔 먹는 것인 만큼 고른 영양 섭취가 가능한 음식으로 줄 수 있도록 이야기하고 junk food의 폐해에 대해 교육하였다.
5/30 Sodium수치가 낮게 나왔다.(결과 : 132)
환경을 조성해줬음 에도 음식의 섭취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섭취와 이닦기 모두 제대로 이루어졌다.
효능효과 :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세기관지염, 낭 성섬유증, 인.후두염, 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 중이염 등 객담 배출
부작용 : 구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과민증, 빈맥, 고혈압
Tantum Gargle (치과구강용약, 외용 소염진통제 NSAIDs)
효능효과 : 국소용 구강 및 인후 염증 치료제
부작용 : 구강마비감, 자상감, 작열감, 과민반응, 트림, 구역, 구토
Hexamedin (함소흡입제, 구내염, 구강살균소독제)
효능효과 : 보철(의치)에 의한 염증, 아구창 등의 칸디다감염증, 치은염, 인두염, 아
프타성구내염에 의한 염증의 완화, 치근막 수술후 살균소독
부작용 : 발진, 담마진, 불쾌감, 졸음, 혈압저하, 호흡곤란, 광선과민증, 접촉성 피부염
Durogesic (마약성진통제)
효능효과 :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만성 통증
부작용 : 복통, 두통, 부정맥, 흉통, 구역, 구토, 변비, 구갈, 식욕부진, 설사, 소화불 량, 고창, 혼몽착란, 무력증, 현기증, 신경과민, 환각, 불안증, 우울, 호흡곤 란, 호흡부전, 무호흡 등
6) 진단검사
Lab 검사 항목 모두 첨부
의의 : WBC 정상치는 4.0~10.0인데 1.16으로 낮음
RBC 또한 정상치는 4.2~6.3인데 2.14로 낮음
HGB 또한 정상치는 13~17인데 6.46으로 낮음
HCT 또한 정상치는 39~52인데 17.6으로 낮음
그 외 전해질은 정상
hs CRP 높음
혈액상태가 좋지 않아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
III. 간호진단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해결
날짜
서명
진단명 : #1. 비효율적 체온조절과 관련된 고체온
▶ 과학적 근거
WBC 저하로 면역력 감소
lung에 염증 발생
▶ 합리적 근거
“열이 너무 나는데요 차가운 얼음 없어요?”
“더워요”
6PM 39.2℃, 9PM 39.9℃ 였다.
홍조를 띈 따뜻한 피부였다.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2. 기침과 관련된 흉통
▶ 과학적 근거
lung에 염증 발생
▶ 합리적 근거
“기침을 하면 가슴이 너무 아파요”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결핍 가능성
▶ 과학적 근거
잦은 기침 발생으로 식이 섭취 용이 하지 않음
▶ 합리적 근거
“가슴이 아프니깐 별로 안땡겨요”
2일 후부턴 밥을 세숫가락 섭취
5/28 점심밥 조금과 아이스크림, 오렌지 주스 섭취
5/29 점심밥 반 섭취 오렌지 주스 섭취
3. 간호계획
진단
번호
진 단 명
#1.
비효율적 체온관리와 관련된 고체온
목표 : 체온 조절 계획으 수립을 돕는다
체온이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체온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1. 체온을 두 시간마다 측정한다.
2. 오한이 있으면 담요로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 준다.
3.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진단
번호
진 단 명
#2.
기침과 관련된 흉통
목표 : 환자의 흉통을 완하 시킨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흉통과 호흡곤란이 없어진다.
입 주위, 손 발 끝이 정상 피부색으로 돌아온다.
1. 가슴부위에 더운 찜질을 해준다.
2. 안정과 휴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진단
번호
진 단 명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결핍 가능성
목표 : 섭취량이 증가하고 고른 영양섭취를 보인다.
기 대 결 과
간 호 지 시
식욕부진이 사라진다.
고른 영양섭취를 한다.
1.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2. 기호식품을 파악하여 제공한다.
3. 혈중 전해질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4. 식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5. 구강위생을 실시한다.
4. 간호중재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1
5/29
2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였다.
보호자에게 tepid message를 교육하였다.
(오한 시 신체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열생산을 증가시킨다. 미지근한 물로 닦아 주면 열이 증발되어 체온이 하강된다.)
IPFS 20CC를 PO로 투여하였다.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2
5/29
가슴의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가슴에 온 찜질을 교육하였다.
6인실병동으로 혼잡하여 커튼을 쳐 안정할 수 있게 하였다.
진단
번호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3
5/29
대상자의 섭취정도와 불충분한 섭취기간을 사정하였다.
좋아하는 음식을 물어보고 그것을 먹도록 하였다.
임상병리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확인하였다.
음식섭취 권장 시 주변을 정리하고 병실의 다른 대상자들과 같은 시간에 밥을 먹을 수 있게 권하였다.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음식섭취 후 이닦기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5. 간호평가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1
5/31
체온이 점점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체온측정결과 : 5/29 38.9℃, 5/30 38.0℃)
교육한 대로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 환자의 몸을 닦아 주었다.
체온이 정상범위에 들지는 못하였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2
5/31
체온이 점점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체온측정결과 : 5/29 38.9℃, 5/30 38.0℃)
교육한 대로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 환자의 몸을 닦아 주었다.
체온이 정상범위에 들지는 못하였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3
5/31
수액이 들어가고 있으며 조금씩 음식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다.
햄버거와 아이스크림과 같은 영양적으로 풍부하지 않은 음식들의 섭취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가끔 먹는 것인 만큼 고른 영양 섭취가 가능한 음식으로 줄 수 있도록 이야기하고 junk food의 폐해에 대해 교육하였다.
5/30 Sodium수치가 낮게 나왔다.(결과 : 132)
환경을 조성해줬음 에도 음식의 섭취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분섭취와 이닦기 모두 제대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