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1) 피아제 (Jean Piaget, 1896 ~ 1980)의 약력
(2)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기본개념
1) 동화(assimilation)
2) 조절(accommodation)
3) 도식(schema)
4) 평형화
(3) 인지발달 단계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stage: 0~2세)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7세)
A. 상징적 사고
B. 자기중심성
C. 중심화
D. 비가역적 사고
E. 물활론적 사고
F. 실재론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
A. 탈중심화
B. 논리적 조작
C. 서열화
D. 공간조작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혹은 사춘기에서 성인기까지)
A. 가설 연역적 사고(추리)
B. 조합적 사고
(4) 피아제 이론의 평가
(5) 피아제 이론이 교육의 실제에 주는 시사점
* 참고자료
(1) 피아제 (Jean Piaget, 1896 ~ 1980)의 약력
(2)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기본개념
1) 동화(assimilation)
2) 조절(accommodation)
3) 도식(schema)
4) 평형화
(3) 인지발달 단계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stage: 0~2세)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7세)
A. 상징적 사고
B. 자기중심성
C. 중심화
D. 비가역적 사고
E. 물활론적 사고
F. 실재론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
A. 탈중심화
B. 논리적 조작
C. 서열화
D. 공간조작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혹은 사춘기에서 성인기까지)
A. 가설 연역적 사고(추리)
B. 조합적 사고
(4) 피아제 이론의 평가
(5) 피아제 이론이 교육의 실제에 주는 시사점
*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외양만의 변화임을 아는 것
- 보상성의 원리: 높이, 길이, 면적의 상호 보상관계를 아는 것
- 역조작의 원리: 역으로 조작하면 원상태로 갈 수 있음을 아는 것
C. 서열화
사물화는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순서대로 배열하는 능력으로 길이는 7,8세경에, 무게는 9세경에, 부피는 11,12세경에 이루어진다.
D. 공간조작
사물들 간의 거리를 다루는 능력인 공간조작 능력이 형성된다.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혹은 사춘기에서 성인기까지)
현실적 세계를 넘어 추상적으로 사고를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인지적 사고는 다음과 같다.
A. 가설 연역적 사고(추리)
전체로부터 결론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사고이다.
B. 조합적 사고
하나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모든 가능한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다 궁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이다.
(4) 피아제 이론의 평가
피아제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발달심리학자들 중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가 제안한 인지발달이론은 학습자와 학습을 이해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가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피아제는 발달에서 아동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게젤로 대표되는 성숙론자들은 발달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내적 시간표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보고, 행동주의자들은 아동을 환경의 자극에 대한 수동적 반응자로 간주하므로 성숙론적 행동주의적 이론들 속에는 능동적인 아동이 자리할 수 없었다. 이에 피아제는 인지발달적 측면에서 아동의 능동적인 역할에 주목하여, 인지발달이란 유기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 적응과정이며, 몇 단계에 걸쳐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의 발달단계는 고정적이고 분리되었다는 점, 아동의 능력을 과소평가했다는 점, 문화의 차이를 무시했다는 점 등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5) 피아제 이론이 교육의 실제에 주는 시사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오늘날까지 우리가 논하고 있는 교수학습이론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인지발달이론이 교육의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을 위한 교수전략과 교재는 아동의 발달단계와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동은 단지 그들에게 적절한 것만을 받아들이며, 그들의 정신적 수준에 맞지 않는 것은 받아들이지 못한다. 피아제의 이론은 아동 수준에 맞는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아동의 사고에 대한 이해와 능력과 전략의 조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은 구성하는 과정으로서 능동적인 발전의 과정이 되어야 하며, 학습한 원리를 새로운 상황으로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참고 자료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7. 9
신종우, 윤경원, 이우언, Human Behavior & the social Environment, 동문사, 2008. 2
앨런 뉴엘, 차경호, 통합인지이론, 아카넷, 2002. 12
인지와 창의성교육 - 구, 인지이론, 예하미디어, 2002. 1
- 보상성의 원리: 높이, 길이, 면적의 상호 보상관계를 아는 것
- 역조작의 원리: 역으로 조작하면 원상태로 갈 수 있음을 아는 것
C. 서열화
사물화는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순서대로 배열하는 능력으로 길이는 7,8세경에, 무게는 9세경에, 부피는 11,12세경에 이루어진다.
D. 공간조작
사물들 간의 거리를 다루는 능력인 공간조작 능력이 형성된다.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 혹은 사춘기에서 성인기까지)
현실적 세계를 넘어 추상적으로 사고를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인지적 사고는 다음과 같다.
A. 가설 연역적 사고(추리)
전체로부터 결론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사고이다.
B. 조합적 사고
하나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모든 가능한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다 궁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이다.
(4) 피아제 이론의 평가
피아제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발달심리학자들 중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가 제안한 인지발달이론은 학습자와 학습을 이해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가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피아제는 발달에서 아동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게젤로 대표되는 성숙론자들은 발달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내적 시간표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보고, 행동주의자들은 아동을 환경의 자극에 대한 수동적 반응자로 간주하므로 성숙론적 행동주의적 이론들 속에는 능동적인 아동이 자리할 수 없었다. 이에 피아제는 인지발달적 측면에서 아동의 능동적인 역할에 주목하여, 인지발달이란 유기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 적응과정이며, 몇 단계에 걸쳐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의 발달단계는 고정적이고 분리되었다는 점, 아동의 능력을 과소평가했다는 점, 문화의 차이를 무시했다는 점 등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5) 피아제 이론이 교육의 실제에 주는 시사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오늘날까지 우리가 논하고 있는 교수학습이론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인지발달이론이 교육의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을 위한 교수전략과 교재는 아동의 발달단계와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동은 단지 그들에게 적절한 것만을 받아들이며, 그들의 정신적 수준에 맞지 않는 것은 받아들이지 못한다. 피아제의 이론은 아동 수준에 맞는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아동의 사고에 대한 이해와 능력과 전략의 조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은 구성하는 과정으로서 능동적인 발전의 과정이 되어야 하며, 학습한 원리를 새로운 상황으로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참고 자료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7. 9
신종우, 윤경원, 이우언, Human Behavior & the social Environment, 동문사, 2008. 2
앨런 뉴엘, 차경호, 통합인지이론, 아카넷, 2002. 12
인지와 창의성교육 - 구, 인지이론, 예하미디어, 2002. 1
추천자료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성격발달이론중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조사 정리 및 인지발달이론 선정이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영유아기를 중심으로 발달의 기제와 인지발달 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간략히 설명하고 1가지 주제를 정하여 주요발달 4단계에 맞춰 지도...
유아발달이론 중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이론을 선택하고 그 이유에 대해...
[유아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을 각각 설명하고 각 이...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반두라의 사회학...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이를 기초로 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소개한 프로그램의 ...
[영아발달] 영아발달 이론 중 인지발달 이론에 대한 이해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기본개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개념과 인지발달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아동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시오. (피아제의 인지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인지발달단계)
[아동복지론 연구] 아동발달이론 [아동발달 이론 쟁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