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질환과 간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행성 질환과 간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tibody)
치료
·약물
-콜린분해요소 억제제 (Anticholinesterase agents)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면역억제제 (immunosuppressant or immunosuppressive agents )
·흉선절제술
·혈장 교환법 (Plasmapheresis)
5) 간호과정
〈표6-3〉
사정
·피로, 침범받은 신체부위, 침범정도 등을 질문하여 사정
·대처능력과 장애에 대한 사정의 객관적 자료:호흡율과 깊이, 산소포화도, ABGA결과, 폐기능 검사, 급성 근무력성 위기에 빠진 환자의 호흡장애 증거
·얼굴과 사지근육의 강도, 연하능력, 의사소통능력(표현되는 언어의 양과 명료성), 기침과 연하반사 사정
간호진단
·늑간근의 허약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늑간근의 허약, 기침과 연하반사의 손상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후두, 입술, 입, 인두, 그리고 턱의 하악과 관련된 언어소통장애
·손상된 연하곤란과 관련된 영양부족
·안검하수, 안구운동감소, disconjugate gaze(비공동주시:두 눈의 움직이는 방향 또는 크기가 다른경우)와 관련된 감각지각변화
·근육허약과 피로도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일상생활활동과 역할을 유지할 수 없음과 관련된 신체상 장애
간호계획 및 중재
간호계획의 중점요인
①정상적인 근육 내구성 회복
②합병증 제거
③질병진행경과에 따른 최적의 삶의 질 유지
·비효율적 호흡양상: 절절한 환기유지, ABGA결과확인, 필요시 산소공급과 기도흡인, 반좌위, 기침과 심호흡 유도,
·영양결핍: 영양상태 사정, 균형잡힌 식사제공, 고체 또는 액체식품보다 반응고식품 제공, 식사 30-60분 전에 항콜린 에스테라지를 투여하여 약물의 효과가 식사시간에 최고조에 이르게 투약,
·지식부족: 처방이행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약물의 부작용 교육. 피로를 피할수 있는 일상생활 활동 계획,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방안, 합병증(위기상황)과 대응방안 설명
·신체적 노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면서 환자 관심에 부합되는 기분전환활동 제공
·치료방법이 서로 상이한 근무력성 위기와 콜린성 위기를 구분함
평가
〈기대되는 결과〉
·적정 근 기능을 유지한다
·약물의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롭다
·질병의 합병증, 특히 근무력성 또는 콜린성 위기를 경험하지 않는다
·질병경과에 따른 최적의 삶의 질을 유지한다
〈표6-4〉
근무력성 위기
콜린성 위기
원인
·근무력증을 악화시키는 촉발요인에 노출된 경우
·약물용량이 부족한 경우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
·자연적으로 또는 흉선절제술 후 증상이 완화되거나 수용체부위에서 아세틸콜린이 증가함으로써 복용중이던 anticholinesterase약물용량이 과다해 진 경우
감별진단
·anticholinesterase 약물의 정맥주입 후 힘이 생길 때
·안검하수, 분명한 발음이 되지 않는 연수 증상 등 골격근의 허약이 나타날 때
·anticholinesterase의 복용 1시간 이내 허약감, 안검하수, 연수증상, 호흡 곤란과 같은 골격근 허약증상이 나타날 때
·동공축소, 타액분비, 설사, 오심, 구토, 복부경련, 증가된 기관지분비물, 발한 EH는 유루와 같은 증상을 포함하는 평활근의 효과
7. 만성진행성 무도병
1) 원인과 병태생리
기저신경절과 추체외로계와 관련되어 신경전달물질인 Ach과 r-amniobutyric acid(GABA)가 결핍되어 발생
DA(dopamine)가 과다하여 비정상적이고 과도한 불수의적 움직임(chorea)이 특징적으로 나타남
2) 증상·징후
주요증상: 불수의적 움직임(chorea), 치매
불수의적 움직임(chorea)은 질병의 떨림과 악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얼굴, 사지, 몸통이 비틀리고 뒤틀림. 말이 느려지거나 머뭇거리게 되며 간혹 폭발적인 양상으로 말을 하여 이해가 곤란함.
흡입과 질식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저작과 연하곤란으로 영양실조가 생길수도 있으며 걸음걸이가 황폐해져 결국 이동도 불가능해짐. 지적능력감소, 불안정한 정서, 정신병적 행동이 나타남. 일반적으로 환자는 증상이 시작된 후 10년에서 20년 사이에 사망.
3) 치료 및 간호
무도병은 완치가 불가능 하므로 증상완화가 목적
〈표7-1〉
처방되는 약물
Antipsychotic 항정신병약물
정신분열증, 조증 및 다른 정신병의 증상(망상, 환각 및 사고장애)을 조절
Antidepressant 항우울제
항우울제 종류 (단극장애 치료제)
1)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
2) MAO 억제제 (Monoamine oxidase inhibitor)
3)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차단제(SSRIs,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tichorea 항무도제
간호목적
:신체적 안전을 유지하고 신체증상을 관리하며 정서적, 심리적 지지를 통해서 가능한 환자와 가족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
무도성 움직임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환자들은 체중 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루에 4000-5000칼로리를 섭취해야함.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환자는 머리를 가누기가 힘들어지고 음식 삼키는 것이 어려워짐. 우울과 정신적 황폐화 또한 영양섭취를 힘들게 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필요한 에너지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 필요
-참고문헌-
이향련외 7명 (2007),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김연희외 5명 (2007), 간호약리학, 군자출판사
정연훈(2004). 안구운동 생리 및 기록방법. 대한평형의학회지3(2),246
김분한외 (2004), 성인간호학 Ⅲ, 정담미디어
서울대학교병원(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희귀난치성질환 센터 헬프미(http://helpline.cdc.go.kr)
한국다발성경화증 환우회(http://www.kmss.or.kr/)
드러그인포
http://www.besthealth.com
http://www.beverlyhillsneurology.com
http://www.chestsurgery.co.kr
http://www.new-science-press.com
http://www.mayoclinic.org
http://www.uclahealth.org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02.11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