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사자성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어 사자성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시킴.
飜天覆地(fan1 tian1 fu4 di4) : 하늘을 뒤집고 땅을 엎음. 변화가 아주 크고 철저함을 형용함.
ex) 這十幾年里, 香港發生了~~的變化.
反脣相譏(fan3 chun2 xiang1 ji1) : 불복하고 상대방을 비난함.
ex) 對待別人善意的批評, 應該虛心考慮接受, 絶不能~~.
反覆無常(fan3 fu4 wu2 chang2) : 이랬다 저랬다 하여 일정하지 아니함. 언행이 자주 변함을 형용.
反客爲主(fan3 ke4 wei2 zhu3) : 손이 주인 노릇을 함. 앞뒤가 뒤바뀜.
反其道而行之(fan3 qi2 dao4 er2 xing2 zhi1) : 상대방과 상반되는 방법으로 일을 함.
33)
方興未艾(fang1 xing1 wei4 ai4) : 어떠한 사물이나 일이 막 일어나려는 상태.
防不勝防(fang2 bu2 sheng4 fang2) : 막을래야 막을 수 없음을 가리킴.
ex) 那里的小偸特別多, ~~,一不小心, 錢就被他偸走了.
防患於未然(fang2 huan4 yu2 wei4 ran2) : 사건이나 일을 미연에 방지하다.
放之四海而皆準(fang4 zhi1 si4 hai3 er2 jie1 zhun3) : 보편성을 갖추고 있는 진리는 아무 곳에서나 다 적용됨을 비유함.
非驢非馬(fei1 lu2 fei1 ma3) : 당나귀도 아니고 말도 아님. 아무것도 닮지 않음을 비유함.
ex) ~~,不文不白的一封信.
非同小可(fei1 tong2 xiao3 ke3) : 일이나 상황이 중대하여 가벼이 볼 수 없음을 형용함.
飛黃騰達(fei1 huang2 teng2 da2) : 사람이 갑자기 출세하거나 관직 또는 직위가 높아짐을 비유함.
費盡心機(fei4 jin4 xin1 ji1) : 마음속의 계책을 모두 다 씀.
ex) 他~~, 才設計出這個圖樣.
廢寢忘食(fei4 qin2 wang4 shi2) : 침식을 잊음. 한 가지 일에 전심전력함을 형용.
分秒必爭(fen1 miao3 bi4 zheng1) : 분초를 다툼. 시간을 매우 아껴 헛되이 보내지 않음을 형용함.
34)
分庭抗禮(fen1 ting2 kang4 li3) : 평등한 관계에서 서로 맞섬.
紛至沓來(fen1 zhi4 ta4 lai2) : 잇따라 많이 옴을 형용.
ex) 各方面勝利的捷報~~, 人們高興的歡呼起來.
粉骨碎身(fen3 shen1 sui4 gu3) : 분골쇄신하다.
奮不顧身(fen4 bu2 gu4 shen1) : 개인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용감하게 나아감.
風吹草動(feng1 chui1 cao3 dong4) : 매우 작은 움직임이나 가벼운 동요를 비유함.
ex) 敵人吃了敗仗以後, 成了驚弓之鳥, 一過~~, 就驚慌失措.
風馬牛不相及(feng1 ma3 niu2 bu4 xiang1 ji2) : 양자가 서로 상관이 없음을 비유함.
風靡一時(feng1 mi3 yi4 shi2) : 사물이 한 시기에 매우 유행함을 형용함. 일시를 풍미하다.
風平浪靜(feng1 ping2 lang4 ji4) : 바람이 자고 물결도 잔잔함. 아무 일도 없는 평온한 상태를 비유함.
風聲鶴, 草木皆兵(feng1 sheng1 he4 li4 cao3 mu4 jie1 bing1) : 전진(前秦)왕 부견이 비수에서 동진(東晋)에 크게 패하고 달아날 때 군사들이 팔공산의 초목을 보고도 진군인 줄 알고 놀랐으며 바람 소리나 학 울음 소리를 듣고도 진군이 추격해오는 줄 알았다고 함. 사람이 매우 겁을 먹고 있을 때는 주위의 조그만 동정에도 긴장하고 놀라게 됨을 형용함.
風調雨順(feng1 tiao2 yu3 shun4) : 바람이 알맞게 불고 비가 때맞춰 적당히 내림. 농사 짓기에 날씨가 좋음을 형용함.
ex) 農民遇到~~的大熟年, 就感到高興.
35)
風雨交加(feng1 yu3 jiao1 jia1) : 바람과 비가 한꺼번에 휘몰아침.
風雲人物(feng1 yun2 ren2 wu4) : 한 시기에 크게 활약하여 그 말이나 행동 따위가 전체의 정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물을 가리킴. 풍운아.(잡지에서는 “올해의 인물”로도 쓰임.)
烽火連天(feng1 huo3 lian2 tian1) : 봉화가 하늘에 이어져 있음. 전쟁의 불길이 곳곳에 번져 있음을 형용함.
豊功偉績(feng1 gong1 wei3 ji4) : 많은 위대한 공적.
豊衣足食(feng1 yi1 zu2 shi2) : 입을 것과 먹을 것이 매우 풍족함. 살림이 넉넉함을 형용.
逢場作戱(feng2 chang3 zuo4 xi4) : 즉석에서 연기함.
奉公守法(feng4 gong1 shou3 fa3) : 공적인 일을 받을어 행하고 법을 준수함.
鳳毛麟角(feng4 mao2 lin2 jiao3) :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 진기하고 드문 인재나 사물.
敷衍了事(fu3 yan3 liao3 shi4) : 일을 어물어물 해치우고 책임지지 아니함.
扶危濟困(fu2 wei1 ji4 kun4) :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고 곤궁한 사람을 구제하여줌.
36)
拂袖而去(fu2 xiu4 er2 qu4) : 화가 나서 훌쩍 떠나버림을 형용함.
釜底抽薪(fu3 di3 chou1 xin1) : 솥 밑에서 섶나무를 빼내어 물이 끓음을 멎게 하고 풀을 베면서 뿌리까지 없애버린다는 뜻으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을 비유.
付諸東流(fu4 zhu1 dong1 liu2) : 물에 흘려보냄. 희망이 좌절되거나 성과를 상실함을 비유.
負荊請罪(fu4 jing1 qing3 zui4) : 조나라의 상여란 사람과 장군 여파가 서로 사이가 않좋았는데 상여가 계속 양보하자 염파가 나중에 자신의 잘못을 알고 웃도리를 벗은 채 매를 짊어지고 상여의 집으로 가서 죄를 빌었다는 고사.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고 남에게 사죄함을 가리킴.
赴湯蹈火(fu4 tang1 dao3 huo3) :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용감하게 뛰어드는 것을 비유함.
富貴不能淫(fu4 gui4 bu4 neng2 yin2) : 금전이나 권위로도 그 뜻을 움직일 수 없음.
腹背受敵(fu4 bei4 shou4 di2) : 앞뒤로 적의 협공을 받음.
覆巢無完卵(fu4 chao2 wu2 wan2 luan3) : 후한말 조조가 공융을 잡아들일 때 공융은 그의 어린 두 아들을 살려 주기를 빌었으나
  • 가격3,0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11.02.20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