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고지혈증의 분류
3. 혈장내 지방단백질의 분류
4. 고지혈증의 진단
5. 고지혈증의 치료
6. 고지혈증의 약물요법
2. 고지혈증의 분류
3. 혈장내 지방단백질의 분류
4. 고지혈증의 진단
5. 고지혈증의 치료
6. 고지혈증의 약물요법
본문내용
Zocor)
Atrovastatin
(Lipitor)
Rosuvastatin
(Crestor)
LDL change
TG change
HDL change
-34
-16
+9
-34
-24
+12
-41
-18
+12
-50
-29
+6
-63
-28
+10
Half-life(hr)
2
1~2
1~2
14
18~20
Effect of food
increased absorption with meals
decreased absorption
none
none
none
Optimal time
morning & evening
bedtime
evening
evening
anytime
Renal excretion(%)
10
20
13
2
2
*statin계 약물은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이 야간에 항진되어 저녁 식후 투여가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있다. 우선 반감기가 긴 약물(Atrovastatin, Provastatin, Rosuvastatin)은 하루 중 언제라도 복용 가능하다. 긴 반감기로 인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 작용이 지속되므로 아침에 복용하여도 약효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그리고 f;uvastatin XL의 경우는 서방정이라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므로 아침에 복용해도 되며 Provastatin의 경우 체내 반감기가 약 3시간 정도로 짧지만 수용체에 결합한 약물이 체내에서 20~30hrs동안 체류하고 있으므로 하루 중 아침이나 저녁 중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더 편안할 때 복용하여도 약효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statin 투여후 3일 경과시 평형 상태가 되고, 1주 안에 지질 강하 작용이 시작된다. 2주가 지나면 지질 강하 작용이 정점에 이르고 이후에 동일 용량으로 지질 강하 작용의 증가가 없게 된다.
*HMG-CoA에서 reductase를 억제하는 역가 순서
rosuvastatin > atorvastatin > simvastatin >fluvastatin
atorvatatin 10mg = simvastatin 20mg = provastatin 40mg =lovastatin 40mg
= rosuvastatin 5mg
Eg)고 위험군에서 LDL이 150mg/dL인 경우
->목표는 100mg/dL 이하로 낮추는 것이므로 (150-100>/150x100(%)=34%를 낮춰야함
atorvastatin 10mg으로 시작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 기준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허가사항 범위이지만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의 100분의 100을 본인부담토록 함.
1. 순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1)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50mg/㎗이상일 때
2)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20mg/㎗이상일 때
*관상동맥질환이 확인된 경우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20mg/㎗이상
3) 해당 약제 : HMG-CoA환원효소억제제, 담즙산제거제, Fibrate계열 약제 중 1종 인정
2. 순수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의 경우
1)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 : 적절한 식이요법을 함에도 불구하고 TG검사에서 연속 2회 400mg/㎗이상일 때
2)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 TG검사에서 연속 2회 200mg/㎗이상일 때
3) 해당 약제 : Fibrate계열 또는 Niacin계열 약제중 1종 인정
3. 고콜레스테롤 및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의 복합형인 경우
1)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250mg/㎗이상이고, 혈중 TG 320mg/㎗이상일 때
2)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220mg/㎗이상이고, 혈중 TG 200mg/㎗이상일 때
3) 해당 약제 : 콜레스테롤 및 TG에 작용하는 약제별로 각각 1종씩 인정.
4. 동맥경화증 발생 유발 위험요인(심근경색증의 기왕력,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경우)이 있는 고지혈증환자의 경우에는 상기 기준에 의해 투약하되, 가능한 한 저용량(1일 1-2정 또는 1-2pack) 투여를 원칙으로 함.
5. 유지요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용량(1일 1-2정 또는 1-2pack)을 투여토록 함.
참고문헌
1. 김인겸 외 38명(2008), 하버드 핵심 약리학(약물요법의 병태생리학적 기초), 이퍼블릭
2. 김수경 외 23명(2005), 간호사를 위한 임상약리학, 이퍼블릭
3. 김연희(2006), 쉽게 배우는 간호 약리학, 군자 출판사
4. 김금숙 외 3명(2005), 임상약리학, 청구문화사
Atrovastatin
(Lipitor)
Rosuvastatin
(Crestor)
LDL change
TG change
HDL change
-34
-16
+9
-34
-24
+12
-41
-18
+12
-50
-29
+6
-63
-28
+10
Half-life(hr)
2
1~2
1~2
14
18~20
Effect of food
increased absorption with meals
decreased absorption
none
none
none
Optimal time
morning & evening
bedtime
evening
evening
anytime
Renal excretion(%)
10
20
13
2
2
*statin계 약물은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이 야간에 항진되어 저녁 식후 투여가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있다. 우선 반감기가 긴 약물(Atrovastatin, Provastatin, Rosuvastatin)은 하루 중 언제라도 복용 가능하다. 긴 반감기로 인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 작용이 지속되므로 아침에 복용하여도 약효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그리고 f;uvastatin XL의 경우는 서방정이라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므로 아침에 복용해도 되며 Provastatin의 경우 체내 반감기가 약 3시간 정도로 짧지만 수용체에 결합한 약물이 체내에서 20~30hrs동안 체류하고 있으므로 하루 중 아침이나 저녁 중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더 편안할 때 복용하여도 약효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statin 투여후 3일 경과시 평형 상태가 되고, 1주 안에 지질 강하 작용이 시작된다. 2주가 지나면 지질 강하 작용이 정점에 이르고 이후에 동일 용량으로 지질 강하 작용의 증가가 없게 된다.
*HMG-CoA에서 reductase를 억제하는 역가 순서
rosuvastatin > atorvastatin > simvastatin >fluvastatin
atorvatatin 10mg = simvastatin 20mg = provastatin 40mg =lovastatin 40mg
= rosuvastatin 5mg
Eg)고 위험군에서 LDL이 150mg/dL인 경우
->목표는 100mg/dL 이하로 낮추는 것이므로 (150-100>/150x100(%)=34%를 낮춰야함
atorvastatin 10mg으로 시작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 기준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허가사항 범위이지만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의 100분의 100을 본인부담토록 함.
1. 순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1)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50mg/㎗이상일 때
2)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20mg/㎗이상일 때
*관상동맥질환이 확인된 경우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20mg/㎗이상
3) 해당 약제 : HMG-CoA환원효소억제제, 담즙산제거제, Fibrate계열 약제 중 1종 인정
2. 순수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의 경우
1)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 : 적절한 식이요법을 함에도 불구하고 TG검사에서 연속 2회 400mg/㎗이상일 때
2)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 TG검사에서 연속 2회 200mg/㎗이상일 때
3) 해당 약제 : Fibrate계열 또는 Niacin계열 약제중 1종 인정
3. 고콜레스테롤 및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의 복합형인 경우
1)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250mg/㎗이상이고, 혈중 TG 320mg/㎗이상일 때
2)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 혈중 총 콜레스테롤 220mg/㎗이상이고, 혈중 TG 200mg/㎗이상일 때
3) 해당 약제 : 콜레스테롤 및 TG에 작용하는 약제별로 각각 1종씩 인정.
4. 동맥경화증 발생 유발 위험요인(심근경색증의 기왕력,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경우)이 있는 고지혈증환자의 경우에는 상기 기준에 의해 투약하되, 가능한 한 저용량(1일 1-2정 또는 1-2pack) 투여를 원칙으로 함.
5. 유지요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용량(1일 1-2정 또는 1-2pack)을 투여토록 함.
참고문헌
1. 김인겸 외 38명(2008), 하버드 핵심 약리학(약물요법의 병태생리학적 기초), 이퍼블릭
2. 김수경 외 23명(2005), 간호사를 위한 임상약리학, 이퍼블릭
3. 김연희(2006), 쉽게 배우는 간호 약리학, 군자 출판사
4. 김금숙 외 3명(2005), 임상약리학, 청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