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국어(말듣쓰)-5.마음을 나누며-2.나눔과 어울림-속담과 관용표현으로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단원명 : <다섯째마당> 마음을 나누며 - 2. 나눔과 어울림

1. 단원의 개관

2. 단원의 목표 (말하기․듣기․쓰기)

3. 학습의 지도 계열

4. 단원 지도 계획 (말하기․듣기․쓰기)

5. 지도상의 유의점

6. 단원 평가 계획

7. 학습자 실태 분석

8.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제해결
활동1
【활동1】이럴 땐 이런 표현
T. 교과서 130쪽을 봅시다. 첫 번째 그림은 어떤 상황입니까?
T.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은 무엇일까요?
T.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T. 보충이나 다른 생각이 있으면 발표해봅시다.
T. 두 번째 그림은 어떤 상황입니까?
T. 두 번째 상황에서 쓸 수 있는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발표해봅시다.
T. 모두들 잘 대답해주었습니다. 이렇게 상황에 어울리는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찾을 때는 먼저 우리가 같이 해 본 것처럼 어떤 상황인지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그러면 어울리는 표현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T. 그렇다면 세 번째, 네 번째 그림은 한 번 각자 찾아봅시다
T. 세 번째 그림에 어울리는 표현은 무엇이 있습니까?
T. 모두 잘 찾아주었습니다. 이렇게 똑같은 상황이라도 어느 부분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다른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 마지막 그림에 어울리는 표현은 어떤 것입니까?
T. 이렇게 상황에 맞는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찾으려면 먼저 무엇을 해야합니까?
T. 잘 말해주었습니다. 상황을 이해하고 난 뒤에는 무엇을 합니까?
T. 네. 그리고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찾은 뒤에는 그 뜻을 생각하여 상황에 맞는지 다시 확인해보면 더 좋습니다.
S. 가족들이 모두 놀러가고 싶어하는 곳이 달라서, 서로 자신의 의견만 말하고 있습니다.
S.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입니다.
S. 가족들이 서로의 주장만 하고 있어서 일이 잘 진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S. 저는 손발이 안맞다가 잘 맞다고 생각합니다. 가족들의 의견이 서로 안맞고 있기 때문입니다.
S. 명수가 아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S1. 발이 넓다 입니다. 명수라는 아이가 아는 사람이 많으므로 명수가 발이 넓다고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2. 마당발도 어울립니다.
S3. 아는 것이 힘이다도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 세 번째, 네 번째 그림에 어울리는 속담과 관용표현을 찾아본다.
S1. 입이 무겁다 입니다. 비밀을 지키려면 말을 많이 하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S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입니다. 여자아이가 누가 들을지도 모른다고 하는 말에 딱 맞아떨어지는 속담인기 때문입니다.
S. 눈이 빠지도록 기다리다입니다. 남자아이가 친구를 계속 기다리는 상황에 알맞습니다.
S. 어떤 상황인지 정확하게 이해해야합니다.
S. 여러 가지 속담이나 관용표현중에서 어울리는 것을 찾아봅니다.
15′
전체학습
※예시된 표현 외에도 상황에 맞는 표현이라면 허용한다.
※낯선 표현이 나오면 그 뜻에 대해 전체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다른 상황에 적용하기
(일반화)
활동2
【활동2】역할극 속으로
T. 이번에는 역할극을 보고 어울리는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말해봅시다.
T. 지난시간에 각 모둠별로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정하고, 그 내용에 맞추어 역할극 대본을 만들어오는 것이 과제였습니다. 대본이 다 준비되었습니까?
T. 각 모둠에서 역할극을 하면, 다른 친구들이 어떤 속담이나 관용표현에 관한 상황인지 맞추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 1모둠에서 나와서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역할극으로 나타내봅시다. 다른 친구들은 어떤 표현을 나타내는 것인지 교과서에 적어봅시다. 선생님과 함께 공부했던 속담, 관용표현 모음 참고하여도 좋습니다.
T. 1모둠에서 어떤 속담을 표현하였습니까?
T. 1모둠에서 표현한 속담이 맞나요?
T.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는 속담은 어떤 의미인지 발표해봅시다.
T. 그렇다면 1모둠의 역할극에서 누가 속담의 ‘호랑이’역할이 되었었습니까?
T. 1모둠에서 속담의 뜻에 알맞은 역할극을 준비했고, 다른 친구들도 그 상황을 잘 이해하여 속담을 잘 맞춰주었습니다. 다음은 3모둠에서 역할놀이를 보여주겠습니다.
(역할놀이를 하고, 그 표현의 뜻에 대해 아이들과 정리한다.)
S. 네, 준비했습니다.
S. 1모둠에서 역할극을 한다. 다른 아동들은 어떤 표현인지 속담, 관용어 모음을 참고하여 맞추어본다.
S.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입니다.
S. 맞습니다.
S. 마침 누군가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당사자가 나타난다는 뜻입니다.
S. ㅇㅇ였습니다.
S. (역할놀이를 하고, 표현한 속담이나 관용표현의 뜻을 맞추어보고 선생님과 한번 더 정리해본다.)
17′
모둠발표
※역할극 대본은 사전 과제로 제시한다.
※모둠에서 준비한 역할극이 제시했던 표현과 맞지않을 경우, 아동들과 그 이유를 알아보는 활동으로 전개 해 볼수 있다.
■속담, 관용어 모음 습지
정리
정리하기
차시예고
정리하기
T. 오늘 수업시간에 어떤 내용을 공부했습니까?
T. 어떤 표현이 가장 인상에 남았습니까?
T. 이렇게 상황에 알맞은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을 해야 했습니까?
T. 상황을 이해하고 난 뒤에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사용하여 편지를 써 보겠습니다.
S. 여러 가지 속담과 관용표현을 사용해보았습니다.
S.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입니다. 1모둠에서 했던 역할극이 무척 재미있고 속담과 잘 어울렸던 것 같습니다.
S1.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을 생각합니다.
S2. 떠올린 속담이나 관용표현의 뜻을 생각하며, 상황에 어울리는지 확인합니다.
3′
전체학습
나. 형성 평가 계획
평가
영역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도달
목표
평가 시기
평가
방법
인지적
영 역
상황에 맞는 속담이나 관용 표현을 알고 있는가?
상황에 맞게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정확히 알고 있음

활동 1,2
교과서, 학습지
상황에 맞게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알고 있음

상황에 맞게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알지 못함

기능적
영 역
속담이나 관용 표현을 써서 상황에 맞게 말하는가?
상황에 맞게 말하는 능력이 우수함

활동 1,2
교과서, 학습지
상황에 맞게 말하는 능력이 보통임

상황에 맞게 말하는 능력이 나쁨

정의적
영 역
일상생활에서 속담이나 관용 표현을 자주 사용하려는 태도를 갖는가?
참여 자세가 우수함

수업 중
관찰
참여 자세가 보통임

참여 자세가 나쁨

다. 부록
-교과서 활동 3을 활동2에 맞게 수정하여 대체함.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3.06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