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음악-6.리듬악기노래-리듬악기로 합주하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제재
Ⅱ. 제재 개관
Ⅲ. 제재 목표
Ⅳ. 지도내용
Ⅴ. 교재 연구
가. 제재곡 분석
나. 기악 활동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지도
Ⅵ. 학생 실태 조사
가. 학생 실태
나. 분석 및 지도 방향
Ⅶ. 지도상의 유의점
Ⅷ.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Ⅸ. 평가 계획
Ⅹ. 판서 계획

본문내용

글입니다.
S.네.
S.예. 이렇게 치는 거예요.
10′
★합주부분 확대악보
학습단계
교수 학습활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운데 부분을 치거나 또는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에요. 악보에서 탬버린 그림이 있는 리듬꼴을 연습해 보겠습니다. 는 어떻게 연주해야 할까요?
T.그래요. 는 탬버린을 흔드는 거에요. (시범) 이 주법을 트레몰로라고 해요. 한번 흔들어볼까요?
T.이제 악보를 보고 탬버린의 리듬꼴을 연습해 봅시다. 다같이 시작.
T.어려운 점이 있나요?
T.자, 이번에는 모두 트라이앵글을 꺼내 봅니다. 적당히 트라이앵글의 고리줄을 쥐고 금속 막대로 치면 되겠지요? 악보를 보고 리듬꼴을 연습해 봅시다. 시작.
T.어려운 점이 있나요?
T.이번에는 작은북 리듬꼴을 익혀 봅시다. 작은북 대용으로 탬버린과 리듬막대를 이용해서 연주법을 익혀 봅시다. 가볍에 양손에 북채를 쥐고 북채의 각도가 90°가 되게하여 한 손씩 번갈아 가며 북면을 치도록 합니다. 다같이 작은북 리듬꼴을 익혀 봅시다. 시작.
S.탬버린을 흔들어야 합니다.
S.트레몰로 주법으로 탬버린을 연주해본다.
S.탬버린 리듬꼴을 바른 주법 으로 연주한다.
S.아니요.
S.트라이앵글의 리듬꼴을 바 른 주법으로 연주한다.
S.아니요.
S.작은북 대용으로 탬버린과 리듬막대를 이용해 작은북 리듬꼴을 연주해 본다.
★합주부분 확대악보
※잘 되지 않는 부분은 여러 번 반복한다.
※주법과 악보의 리듬꼴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2~3번 연습한다.
※큰북과 작은북은 모두에게 돌아갈 수 없으므로 주법을 익히기 위해 탬버린과 리듬막대를 활용하여 주법을 익히도록 한다.
학습단계
교수 학습활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T.큰북도 탬버린과 리듬막대 1개로 연주법을 익혀 봅시다. 왼손에 든 탬버린을 큰북이라 생각하고 오른손에 든 리듬막대는 북채입니다. 북채를 가볍게 쥐고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비스듬히 칩니다. 북채를 이렇게 직각으로 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자, 큰북 리듬꼴을 연주해 볼까요? 시작.
<활동 2>
T.잘 했습니다. 이제 악기의 주법과 리듬꼴을 익혔으니 이제 각 파트를 나눠 합주를 준비해 봅시다. 1,2,3모둠은 탬버린을 4,5,6모둠은 트라이앵글을 연습하도록 합시다. 큰북과 작은북을 연주할 사람이 3명 필요합니다. 누가 한번 해 볼까요?
T.그럼 ○○가 큰북을, ☆☆와 ◎◎가 작은북은 연주해 보도록 합니다. 큰북, 작은북 연주자는 앞으로 나오고 모둠별로 맡은 악기의 리듬꼴을 연습하도록 합니다.
T.다같이 합주 부분을 연주해 볼까요?
T.이번에는 음악에 맞춰 리듬합주를 해 봅시다.
T.잘 안되거나 조금 더 연습할 곳이 있나요?
S.큰북 대용으로 탬버린과 리듬막대를 이용해 큰북 리듬꼴을 연주해 본다.
S.저요, 저요.
S.모둠별로 맡은 악기의 리듬꼴을 연습한다.
S.합주 부분만 동시에 연주해 본다.
S.음악에 맞춰 리듬합주를 해 본다.
S.없습니다.
10′
★합주부분 확대악보
※잘 되지 않는 부분은 여러 번 반복한다.
※대용악기로 큰북과 작은북의 운지법과 리듬꼴을 익혔으므로 시간이 되면 여러 명의 아동에서 큰북과 작은북을 연주할 수 있게 기회를 준다. 교사가 직접 지도하도록 한다.
※합주부분만 2~3번 연습해 본다.
학습단계
교수 학습활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정리 및 차시예고
T.그럼, 이번에는 녹음을 해서 우리가 연주하는 리듬 합주를 들어볼까요?
T.우리가 얼마나 잘 연주했는지 녹음된 곡을 들어 봅시다. 듣고 느낌점을 이야기 해 봅시다.
T.이번에는 노래를 부르면서 리듬 합주를 해 볼까요?
T.잘 했습니다. 이제 1학년 친구반에 가서 멋진 연주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T.다음 시간에는 우리나라의 전래 동요를 배우겠습니다.
S.녹음을 하면서 리듬 합주를 한다.
S.화음이 잘 어우려져서 멋진 리듬 합주가 된 것 같습니다.
S.노래를 부르면서 리듬 합주를 해 본다.
S.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잘 듣는다.
7′
★녹음기
※합주를 잘 했다는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Ⅸ. 평가 계획
(1) 평가 관점
가. 학생
자신의 성부를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는가?
지휘자의 지휘에 맞춰 리듬악기를 칠 수 있는가?
나. 수업자
지도 계획 및 조직이 학습 목표 달성에 적절하였는가?
자료 준비 및 활용이 적절하였는가?
다. 참관자
교사의 학습 계획 및 수업 조직이 적절하였는가?
수업자의 발문이 학생의 사고력을 자극하고, 학습 자료 제시가 적절하 게 활용되고 있는가?
Ⅹ. 판서 계획
6. 리듬 악기 노래 (2/2)
<학습 문제>
리듬 악기의 바른 주법을 알고, 리듬 합주를 해 봅시다.
리듬 합주 부분 확대 악보
Tip: 악기의 바른 사용법
큰북
작은북
탬버린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북채는 끝에서 1/3정도 되는 곳을 가볍게 쥐고 북을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비스듬히 치며 북채를 직각으로 치는 것은 좋지 않다.
북을 칠 때는 팔 전체를 흔드는 느낌이 되지 않게 팔꿈치를 축으로 북면의 중심부를 친다.
북은 약간 경사지게 놓고 밑면이 작 울리게 공간이 있게 하고, 양 손에 쥔 북채의 각도는 90˚정도가 되게 하며 북면과 각도는 15˚정도가 좋다.
가볍게 양 손에 북채를 쥐고 울림줄이 붙지 않은 면을 가볍게 연주하나 저학년은 한손 연습부터 한다.
왼 손으로 가볍게 잡는다.
탬버린의 북소리와 울림쇠 소리가 잘 나도록 탬버린을 비스듬히 쥐고 가슴높이로 든다.
오른손 손가락을 가볍게 구부려 가죽 면 중심부를 가볍게 치며 때로는 주먹이나 손바닥으로 치기도 한다.
트라이앵글 줄은 왼손의 식지에 끼우고 엄지와 장지로 트라이앵글에 닿지 않게 줄을 잡고, 오른손의 엄지와 식지, 장지로 막대를 가볍게 쥔다.
세 변을 모두 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밑변 가운데 부분을 연주한다.
왼손 바닥에 올려놓고 고무줄은 식지 또는 장지에 끼워 안정시킨다.
왼손은 가슴 높이로 고정시킨다.
칠 때는 오른손의 식지와 장지를 합하여 울림이 잘 되도록 연주한다.
센박일 때는 손뼉을 치듯이 치고 약박은 왼손 주먹을 살며시 쥐고 연주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