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고구려 고분벽화의 의의

Ⅱ. 고구려 고분벽화의 특징

Ⅲ. 고구려 고분벽화 주제의 변천과정

Ⅳ.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사상 및 생활 풍속

Ⅴ.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미의 형식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로, 고분의 많은 장면에 나타나는 주제들이 모두 개성적이며 주체성을 띠고 있는 주제의 풍부성과 다양성을 들 수 있다. 둘째로는 진취성과 웅장함인데, 행렬도와 수렵도, 그 외에 오락문화(말타기, 활쏘기, 수박, 씨름, 등)와 전투도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셋째로는 벽화의 전체적인 분위기에서 느껴지는 우아함과 낙천성이며, 넷째는 벽화 전체의 내용에서 보여 지는 고구려인들의 독특한 생활풍습과 기풍이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작업들이 어떤 목적을 떠나 회화적인 완성도에 중점을 두었으며, 춤무덤의?수렵도?에서 동물을 상처 나지 않게 하기 위해 석류형 화살을 사용한 점과 같은 예는 지극히 인간적이라는 것이다.
고구려인들은 자신들이 표현하고자하는 의도에 맞게 적절히 구사하는 기법과 방법을 터득함으로서 그들만의 미의 형식을 이룰 수 있었다. 고구려의 무덤벽화의 풍속도에 나타난 미의 형식 연구는 벽화가 우리 회화사에 있어 당시의 생활풍습과 사상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그들의 미의식을 규명하는 데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고구려인들의 독특한 미의 양식을 통하여 우리만의 독창적인 문화를 계승 발전 시켜야 하며, 한국적이고도 전통적인 문화예술을 형성해 나아가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인환 저, 동서 미술의 흐름, 미술 공론사, 1994
김원룡 저, 한국 미술사, 범문사, 1968
김혜숙, 김혜련 공저, 예술과 사상, 이화여대 출판부, 1997
권영한 저, 벽화 이야기, 전원 문화사, 1995
노태돈 저,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등.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