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존 윔버의 능력치유(Power Healing)를 읽고
제1장 기나긴 투쟁
제 2 장 신 유 의 타 당 성
제 3 장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
제 4 장 전적인 치유
제 5 장 과거에 받은 마음의 상처의 치유
제 6 장 귀신들린 사람들의 치유
제 7 장 육체적 질병의 치유
제 8 장 모든 사람이 치유되는 것은 아니다.
제 9 장 통전적 치유 모델 : 기본 원리와 요인 , 그리고 실천 방안
제 10 장 통 전 적 치 유 의 모 델 : 프로그램과 요 인
제 11 장 치유과정(1) : 면담, 진단 그리고 기도의 선택
제 12 장 치유과정(2): 기도의 시행과 그에 따른 영적인 현상들, 그리고 기도
제1장 기나긴 투쟁
제 2 장 신 유 의 타 당 성
제 3 장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
제 4 장 전적인 치유
제 5 장 과거에 받은 마음의 상처의 치유
제 6 장 귀신들린 사람들의 치유
제 7 장 육체적 질병의 치유
제 8 장 모든 사람이 치유되는 것은 아니다.
제 9 장 통전적 치유 모델 : 기본 원리와 요인 , 그리고 실천 방안
제 10 장 통 전 적 치 유 의 모 델 : 프로그램과 요 인
제 11 장 치유과정(1) : 면담, 진단 그리고 기도의 선택
제 12 장 치유과정(2): 기도의 시행과 그에 따른 영적인 현상들, 그리고 기도
본문내용
사한 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에 속한 사람들은 누구나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에 관한 말씀을 전할 의무가 있다. 또한 치유 사역에 종사하는 사람들 가운데에는 육체적인 질병의 치유를 위해 효과적인 기도를 할 수 있는가 하면, 귀신들린 사람들이나 과거에 입은 마음의 상처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기도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일 역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병든 자를 위하여 기도하는 일에 부름 받고 있으며, 그 가운데 몇몇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신유의 은사가 베풀어진다. 그러한 은사를 지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병든 자를 위하여 기도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일 역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제 11 장 치유과정(1) : 면담, 진단 그리고 기도의 선택
치유를 비는 기도의 첫 번째 단계는 면담으로써 이는 “어디가 어떻게 아픈가?” 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얻어내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진단을 내리는 일 즉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근원을 명확하게 찾아내는 일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기도를 선택하는 일로서, 이는 “이 사람을 돕기 위해 어떠한 종류의 기도가 필요한가 ? 라는 문제의 해답을 얻어내는 과정이다. 우리가 치유를 비는 기도를 하는 데에는 두 가지 범주로 기도할 수 있는데 하나님을 향한 기도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말씀이 그것이다.
치유를 비는 기도가 지니고 있는 비밀들 가운데 하나는 그것이 이미 우리의 영혼관계를 맺고 계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뜻과 완전히 하나가 됨으로서만 가능하다.
제 12 장 치유과정(2): 기도의 시행과 그에 따른 영적인 현상들, 그리고 기도
가 끝난 후의 지시사항
치유과정의 네 번째 단계는 기도의 시행으로써, 이를 통해 “우리의 기도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대답이 얻어지게 된다. 기도의 시행 단계에는 기도와 안수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면담이 포함된다. 성경에는 성령이 역사할 때 몸의 진동과 떨림, 고꾸라지는 현상, 술 취한 듯한 행동 , 몸부림치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현상, 웃거나 흐느껴 우는 현상, 장시간에 걸쳐 열렬하게 하나님께 찬송 돌리는 행위 등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난다. 신유가 환자에게 적용될 때 영적인 문제와 과거 상처들의 영향, 육체적인 질병 그리고 귀신들림의 영역이다. 치유의 마지막 단계는 기도가 끝난 후에 취하는 후속 조치로써, 이는 이 사람이 치유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 라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고, 치유되지 못한 경우 하나님께서 그들을 사랑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확인시킴과 동시에, 희망을 잃지 말고 계속 기도할 것을 권면하고 있다.
신유를 위해 필요한 준비, 사역, 그리고 사후 조치는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충분한 헌신과 책임감, 그리고 신뢰감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는 교회의 회중들 및 서로 돌봐주고 자극을 주는 관계 속에 믿음과 의로움을 키워 나아갈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소그룹 모임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의미한다.
모든 사람이 병든 자를 위하여 기도하는 일에 부름 받고 있으며, 그 가운데 몇몇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신유의 은사가 베풀어진다. 그러한 은사를 지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병든 자를 위하여 기도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일 역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제 11 장 치유과정(1) : 면담, 진단 그리고 기도의 선택
치유를 비는 기도의 첫 번째 단계는 면담으로써 이는 “어디가 어떻게 아픈가?” 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얻어내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진단을 내리는 일 즉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근원을 명확하게 찾아내는 일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기도를 선택하는 일로서, 이는 “이 사람을 돕기 위해 어떠한 종류의 기도가 필요한가 ? 라는 문제의 해답을 얻어내는 과정이다. 우리가 치유를 비는 기도를 하는 데에는 두 가지 범주로 기도할 수 있는데 하나님을 향한 기도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말씀이 그것이다.
치유를 비는 기도가 지니고 있는 비밀들 가운데 하나는 그것이 이미 우리의 영혼관계를 맺고 계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뜻과 완전히 하나가 됨으로서만 가능하다.
제 12 장 치유과정(2): 기도의 시행과 그에 따른 영적인 현상들, 그리고 기도
가 끝난 후의 지시사항
치유과정의 네 번째 단계는 기도의 시행으로써, 이를 통해 “우리의 기도가 얼마나 효과적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대답이 얻어지게 된다. 기도의 시행 단계에는 기도와 안수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면담이 포함된다. 성경에는 성령이 역사할 때 몸의 진동과 떨림, 고꾸라지는 현상, 술 취한 듯한 행동 , 몸부림치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현상, 웃거나 흐느껴 우는 현상, 장시간에 걸쳐 열렬하게 하나님께 찬송 돌리는 행위 등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난다. 신유가 환자에게 적용될 때 영적인 문제와 과거 상처들의 영향, 육체적인 질병 그리고 귀신들림의 영역이다. 치유의 마지막 단계는 기도가 끝난 후에 취하는 후속 조치로써, 이는 이 사람이 치유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 라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고, 치유되지 못한 경우 하나님께서 그들을 사랑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확인시킴과 동시에, 희망을 잃지 말고 계속 기도할 것을 권면하고 있다.
신유를 위해 필요한 준비, 사역, 그리고 사후 조치는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충분한 헌신과 책임감, 그리고 신뢰감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는 교회의 회중들 및 서로 돌봐주고 자극을 주는 관계 속에 믿음과 의로움을 키워 나아갈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소그룹 모임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