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 적
2. 기 구
3. 이 론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irchhoff's current law, KCL)
2)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Kirchhoff's voltage law, KVL)
4. 실험 방법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I
2)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II
5. 주 의
2. 기 구
3. 이 론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irchhoff's current law, KCL)
2)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Kirchhoff's voltage law, KVL)
4. 실험 방법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 I
2)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II
5. 주 의
본문내용
오랜시간 그냥 머물러 있는 것, 이것이 바로 커패시터의 동작입니다.
커패시터에 직류가 아닌 계속 변화하는 전압을 가하면 그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전원으로부터 전하가 계속 들어오거나 나옵니다. 커패시터 용량이 클 수록, 즉, 극판의 거리가 가깝고 넓이가 넓을 수록 더 많은 전하가 이동합니다. 실제로 극판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하는 없지만 양 극판으로 몰려들고 밀려나는 전하의 이동때문에 커패시터의 외부에서는 전류가 실제로 흐르는 것이지요.
실제 극판 사이의 공간에서 전하의 이동은 없지만, 극판 내부에서는 전기장의 세기가 극판의 전압 변화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와 같은 전기장의 변화를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라고 정의하며, 그 크기는 전원에서 극판으로 흐르는 외부의 실제전류와 똑같습니다.
유전체는, 그 분극현상을 이용하여 극판 내부에서의 전기장의 세기를 약화시켜 더욱 많은 전하를 양 극판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입니다. (전기장 E는 그 근원이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데, 커패시터 양 극판에 일정한 전압을 가한 상태에서 극판 사이에 유전체를 집어넣으면, 유전체의 쌍극자가 전기장의 방향으로 나열되면서 원래있던 전기장을 부분적으로 상쇄되면서, 상쇄된 만큼의 전기장을 보충하여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전하가 극판에 끌려옵니다.) 따라서, 유전률이 높은 물질을 극판 사이에 집어넣으면 커패시터 용량이 커지는 것이고, 극판의 전압이 변화함에 따른 변위전류의 크기도 커집니다.
맥스웰이 전자기현상을 통일시키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 자유공간 내의 전기력선속밀도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전도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처럼 자기장이 발생한다고 하고, 이를 변위전류라 하였다. 즉, 변위전류밀도를 Jd
(A/m2
), 전기력선속밀도를 D (C/m2
), 이때 발생한 자기장을 H (A/m) 라 하면,
Jd
=∂D/∂t, rot H=∂D/∂t
가 성립함을 발표하고, 이에서 전자기파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유도하였으며(1861), 그후 헤르츠가 이를 실증하여(1888) 오늘날의 전자기파 시대를 가져오게 하였다.
간단한 예로 콘덴서를 방전하였을 때 극판 위의 전하는 외부도선을 통하여 전도전류로 흐름과 동시에, 콘덴서와 극판간에는 전기력선속밀도가 변화하여 변위전류로 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전기회로가 형성되며, 이들 전류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전자기파의 형태로 공간에 전파된다.
커패시터에 직류가 아닌 계속 변화하는 전압을 가하면 그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전원으로부터 전하가 계속 들어오거나 나옵니다. 커패시터 용량이 클 수록, 즉, 극판의 거리가 가깝고 넓이가 넓을 수록 더 많은 전하가 이동합니다. 실제로 극판 사이를 가로지르는 전하는 없지만 양 극판으로 몰려들고 밀려나는 전하의 이동때문에 커패시터의 외부에서는 전류가 실제로 흐르는 것이지요.
실제 극판 사이의 공간에서 전하의 이동은 없지만, 극판 내부에서는 전기장의 세기가 극판의 전압 변화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와 같은 전기장의 변화를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라고 정의하며, 그 크기는 전원에서 극판으로 흐르는 외부의 실제전류와 똑같습니다.
유전체는, 그 분극현상을 이용하여 극판 내부에서의 전기장의 세기를 약화시켜 더욱 많은 전하를 양 극판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입니다. (전기장 E는 그 근원이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데, 커패시터 양 극판에 일정한 전압을 가한 상태에서 극판 사이에 유전체를 집어넣으면, 유전체의 쌍극자가 전기장의 방향으로 나열되면서 원래있던 전기장을 부분적으로 상쇄되면서, 상쇄된 만큼의 전기장을 보충하여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전하가 극판에 끌려옵니다.) 따라서, 유전률이 높은 물질을 극판 사이에 집어넣으면 커패시터 용량이 커지는 것이고, 극판의 전압이 변화함에 따른 변위전류의 크기도 커집니다.
맥스웰이 전자기현상을 통일시키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 자유공간 내의 전기력선속밀도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전도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처럼 자기장이 발생한다고 하고, 이를 변위전류라 하였다. 즉, 변위전류밀도를 Jd
(A/m2
), 전기력선속밀도를 D (C/m2
), 이때 발생한 자기장을 H (A/m) 라 하면,
Jd
=∂D/∂t, rot H=∂D/∂t
가 성립함을 발표하고, 이에서 전자기파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유도하였으며(1861), 그후 헤르츠가 이를 실증하여(1888) 오늘날의 전자기파 시대를 가져오게 하였다.
간단한 예로 콘덴서를 방전하였을 때 극판 위의 전하는 외부도선을 통하여 전도전류로 흐름과 동시에, 콘덴서와 극판간에는 전기력선속밀도가 변화하여 변위전류로 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전기회로가 형성되며, 이들 전류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전자기파의 형태로 공간에 전파된다.
추천자료
한계효용이론
[구조주의][후기 구조주의][구조주의 비평]구조주의의 이론, 구조주의의 개념 및 특성, 구조...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이론의 특징...
학습이론의 종류와 특징에 관한 논의(아동발달B형)
경찰조직이론
[복잡성과학][복잡성과학 카오스이론][복잡성과학 자기조직화][심리학][도가사상]복잡성과학...
아동발달)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대한 비교논의(학습이론)
교육 심리학 SECOND ASSIGNMENT - 행동주의적 학습이론과 형태주의적 학습이론 비교
[교육심리학/4학년 공통] 가드너 중다지능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
[교육심리학] 파블로브,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에 관한 ...
[교육사회학 공통]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
[가족상담 및 치료 공통]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