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기본 원리(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2. 기본 원리(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본문내용
유도 전압을 측정한다. 임의의 2차 코일을 선정하 여 코일 안에 넣는다.
⑤ 주파수는 변화 시키지 말고 함수 발생기 증폭 volume을 이용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변화 시키고 그때의 전류 값과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 값을 기록한다.
⑥ 식 에 의해 계산된 값과 실험값을 비교한다.
<1차 코일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 측정>
⑦ 임의의 2차 코일을 1차 코일에 삽입 시키고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변 화시키며 2차 모일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⑧ 식 에 의해 계산된 값과 실험값을 비교한다.
<2차 코일의 turn 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 측정>
⑨ 일정한 1차 코일의 주파수와 전류 아래서 turn 수가 다른 (500, 1000, 1500) 내경 40㎜ 의 코일을 각각 1차코일 안에 삽입하여 turn 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을 측정한다.
<2차 코일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 측정>
⑩ 일정한 1차 코일의 주파수와 전류 아래서 단면적이 다른 (25, 30, 40㎜) 1000 turn의 코일을 각각 1차코일 안에 삽입하여 단면적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 도 전압을 측정한다.
⑤ 주파수는 변화 시키지 말고 함수 발생기 증폭 volume을 이용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변화 시키고 그때의 전류 값과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 값을 기록한다.
⑥ 식 에 의해 계산된 값과 실험값을 비교한다.
<1차 코일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 측정>
⑦ 임의의 2차 코일을 1차 코일에 삽입 시키고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변 화시키며 2차 모일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⑧ 식 에 의해 계산된 값과 실험값을 비교한다.
<2차 코일의 turn 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 측정>
⑨ 일정한 1차 코일의 주파수와 전류 아래서 turn 수가 다른 (500, 1000, 1500) 내경 40㎜ 의 코일을 각각 1차코일 안에 삽입하여 turn 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을 측정한다.
<2차 코일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 전압 측정>
⑩ 일정한 1차 코일의 주파수와 전류 아래서 단면적이 다른 (25, 30, 40㎜) 1000 turn의 코일을 각각 1차코일 안에 삽입하여 단면적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 도 전압을 측정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