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발달이론]피아제, 그의생애와 그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피아제의 생애

2. 피아제와 인지발달 이론

1. 피아제의 소개와 이론 배경

2.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여러 단계

3. 피아제 이론의 비판

본문내용

어화되지 않는 모호한 인상이나 지각적인 판단에 의존한다. 상징적 매체, 즉, 언어가 개입되지 않은 직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시기 유아의 사물에 대한 판단은 흔히 잘못된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마주 하고 있는 선생님이 "오른손을 드세요"하면서 오른손을 들면 유아는 선생님의 말은 무시하고 선생님의 오른손은 자기의 왼손 방향에 있으므로 왼손을 들곤 한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직관적 사고기라고 말한다. 이 시기 유아들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논리적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 수의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 보존성의 원리를 어렴풋이 이해하기 시작한다.
보존성이란 물체가 모양에 따랄 그 양이나 수가 변하기 않음을 말한다.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이 시기는 6,7세에서 11,12세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이다.
특정사실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을 위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시기 아동에게 한 웅큼의 5원, 10원, 100원, 500원짜리의 동전을 쥐어 주면, 액수대로 분류하고, 이것들의 포괄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실제로 돈을 손에 쥐어 주었을 때만 가능하다. 돈을 손에 쥐지 않고, 머릿속으로만 조작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또, 이 시기는 양, 무게, 부피의 보존 개념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
(4)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period)
12세경의 사춘기에서 성인기에 접어들기까지를 형식적 조작기라고 명명한다. 형식적 조작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추상적 사고란 융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과 같은 것을 말한다.
3. 피아제 이론의 비판
▶ 피아제 이론의 비판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 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표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피아제의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실로 크다. 그의 이론에서 우리는 학습을 두 가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의 과정을 통해 심리구조의 재구성을 이룩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이루어져 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이란 새로운 정보의 획득이며 새로운 심리구조의 획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과정의 결과로 새로운 정보와 심리구조를 획득하는 인간은 지식을 추구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3.21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7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