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생애,인지발달이론,유아교육사상 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피아제의 생애

Ⅱ.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인지발달의 주요 개념
 인지발달의 주요 원리
 인지발달의 단계별 특성

Ⅲ.피아제의 유아교육 사상

Ⅳ. 피아제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Ⅴ.피아제의 실험

Ⅵ.느낀 점

본문내용

구조를 이해하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아동들은 자주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빠지기 쉽게 때문에 어느 경우에는 또래들끼리도 의사소통이 잘 안 되고 좌절을 느끼거나 혼란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교사는 아동들(특히 유아)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자기의 생각이 다르다는 점을 깊이 이해하고 있지 못하게 때문에 자주 의사소통에 실패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언제든지 되묻고 다른 말로 풀이해 주고, 아동들로 하여금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충분히 설명케 하여 서로의 생각이 다른 데서 문제가 생길 수 잇다는 점을 깨우쳐 주어야 한다.
유아기 아동들에게는 분류, 보존, 관계, 포섭, 계열, 유추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가역적 사고 등을 경험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풍부하게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동기 아동들에게는 구체적 사물을 통한 논리적 사고와 더불어 상징물을 통한 사고나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동들로 하여금 질서나 규칙을 따라 하도록 하고 옳은 행동이 무엇인가를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왜 질서나 규칙을 지켜야 하며, 왜 그것이 옳고 저것을 옳지 않은가 하는 도덕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Ⅴ.피아제의 실험
<실험 사물의 분류: 자발적인분류>
1. 실험대상
5~7세 (유치원~1학년)
2. 실험 목적
아동 스스로가 사물을 어떻게 분류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실험에서 ‘분류’ 개념을 획득하지 못한 아동은 아무렇게나 사물을 분류할 것이며, ‘분류’ 개념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아동은 비슷한 사물끼리 모으기는 하나 일관성이 없을 것이고, ‘분류’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는 이동만이 지속적이로 비슷한 사물끼리 모을 것이다.
3. 실험 도구
판자를 사용하여 2 x 2 의 정사각형 6개와 지름이 2되는 원형을 6개만든다. 그런 다음 정사각형 6개 중 2개를 대각선으로 자르고 원형도 2개만을 반으로 자른다. 페인트나 크레용, 컬레펜 등을 사용하여 같은 모양끼리 서로 다른 네가지 색으로 칠한다.
4. 실험절차
아동에게 카드를 제시하고 아무렇게나 섞어 카드에 어떤 순서가 없음을 보여준다.
아동에게 같은 것(혹은 비슷한 것)끼리 묶어 보도록 한다.
아동이 어떻게 하는가를 (예:자신 있게 하는지 아니면 시행 착오적으로 시험삼아 하는지) 기록하고, 아동이 일단 분류를 끝내면 아동이 분류하는 것 중 한 집단을 지적하여 “어떻게 같은가?”를 묻는다.
5. 평가 및 주의사항
만일 아동이 두 번째로 집단을 분류한 이유를 설명할 때 전과 같은 이유를 근거로 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아동이 분류해 놓은 분류 집단들을 낱낱이 이유를 물어 설명하도록 한다. 분류의 일관성과 설명의 근거로서 분류 능력을 평가한다.
<실험 수 보존>
1. 실험 대상
4~7세 (유치원~1학년)
2. 실험 목적
물체를 일렬로 배열하고 물체 사이의 거리만을 변화시켰을 때, 물체의 수는 불변한다는 사실을 아동이 이해하고 있는가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이때 3,4세된 아동은 숫자를 셀 수 있더라도 길이가 더 긴 줄이 더 많다고 생각하고 대답한다. 그러니 약5세부터는 물체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도 물체의 수는 일정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3. 실험 도구
바둑알 20개 (또는 이에 대응되는 것)


4. 실험절차
20개의 바둑알 중 8개를 아동 앞에 3센치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을 하고 나머지는 아동 옆에 둔다.
교사는 일렬로 배열한 바둑알을 가리키며 몇 개인가를 묻는다. 이때 아동이 잘 세지 못하면 도와준다.
나머지 바둑알을 사용하여 일렬로 있는 바둑알과 같은 숫자(8개)가 되도록 아동이 배열하게 한다.
아동에게 더 가까이 있는 열을 6센치 간격으로 다시 배열하고 다른 열은 3센치 간격으로 재배열한다.
아동에게 두 열 중 어느쪽 바둑알이 더 많은지 아니면 양쪽이 같은지를 묻는다. 또한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를 물어 기록한다.
6센치 간격으로 띄어 놓은 바둑알을 다시 3센치 간격으로 재배열한 다음 어느 쪽이 더 많은지 아니면 양쪽이 서로 같은지를 묻는다. 이때 아동의 반응(예:놀람, 혼동, 무표정 등)을 기록한다.
Ⅵ.느낀 점
지금 유아교육을 전공으로 공부를 한지 이년 째에 들면서 정말 많이 들어본 학자이다. 그만큼 중요하고 우리가 교사가 되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하며, 공부해보아야 하는 학자이다. 피아제의 생애부터 교육사상이나 유아교육에 대한 견해 라던지 시사점을 조사하고 알아보면서 정말 올바른 유아교육을 이끌어 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동감하는 교육사상으로는 아이가 자기의 생각에 대하여 잘못이 있으면 스스로 깨닫고, 수정해 나가는 활동을 통해서 어린이의 사고력이 발달한다는 점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이 진행된다는 점 등이었다.
그리고 교육적 시사점에서 얘기가 나왔듯이 우리가 어른의 입장이자만 아동들의 사고를 잘 이해 하기 위해서 아동들의 사고의 수준과 유형을 잘 알아두고, 그러기 위해서 피아제의 이론은 물론, 다른 학자들의 이론까지도 잘 숙지해 놓는 것이 나의 훗날 교사생활에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인지적부분을 많이 강조한 피아제의 이론과는 조금달리 요즘은 정서적인 부분도 강조가 되고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인지적인면과 정서적인면의 절충주의적인 면이 부족한 것 같다는 생각도 잠시 하였지만 그래도 피아제의 이론은 정말 많은 시사점을 남긴 그런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에는 이 발표를 위하여 피아제라는 학자에 대하여 조사하고 발표준비를 하였지만, 앞으로 연예인들이나 유명인사들 보다 나의 전공과 관련하여 매력이 느껴지고 관심가는 학자라던지 그림책 작가등 그런 사람들에 대해서도 많이 공부하고 조사해 봐야하겠다는 생각도하였다.
Ⅶ.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피아제 (시공사) 1999
유아교육심리학 (창지사)
http://my.dreamwiz.com/ezfree/th/piage.htm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4&eid=qFmj37RphYEr9lA5d8I0F5VQ+1AoZ5DN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0.0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