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 전 간호
1) 생리적 준비
2) 가족과 대상자의 심리적 준비
3) 수술승낙서
4) 수술 전 교육
5) 수술 당일 아침 준비
수술 후 간호
1. 수술 직후 간호(회복실 간호)
1) 생리적 준비
2) 가족과 대상자의 심리적 준비
3) 수술승낙서
4) 수술 전 교육
5) 수술 당일 아침 준비
수술 후 간호
1. 수술 직후 간호(회복실 간호)
본문내용
경험할 수 있다. 마취로부터 깨어나는 동안 대상자에게 현재 회복실에 있다는 것, 혼자 있지 않다는 확신을 주고 수술이 무사히 끝나고 마취로부터 안전하게 회복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대상자의 의식이 명료한 상태가 아닐지라도 시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도록 노력한다.
(9) 사회 심리적인지지 제공
수술 직후 대상자, 가족 친지들의 정서적인 요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수술 후 가능한 빨리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에게 수술이 무사히 끝났음을 알려주고 또한 대상자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한다. 대상자가 언제쯤 병실로 혹은 가정으로 옮겨갈 수 있는지도 알려주어야 한다.
(10) 환자 이송
마취가 깨면 PACU로부터 외과 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실로 가거나 당일 수술의 경우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전신마취 수술 시 보통 2시간 정도 PACU에 머무르게 된다. 아래 결과가 나타나면 병실로 이동한다.
· 활력징후가 안정되고 호흡기계, 순환기계의 기능이 적절하다.
· 대상자가 깨어 있거나 쉽게 깨울 수 있다.
· 국소마취의 경우, 마취부위의 감각과 운동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 대상자 이송과 동시에 회복실 간호사는 외과 병실 간호사에게 대상자 상태에 대해 보고하여 간호의 연속성이 유지되게 한다. 회복실 간호기록은 flow sheets, 간호기록지, 간호계획 등을 이용하여 활력징후, 호흡기, 순환기 상태, 의식, 운동, 감각기능상태, 통증과 불편감 정도, 드레싱과 환부의 상태, 지속적인 삽관 이용, 배뇨량, 투약, 정맥수액, 처방된 혈액의 투여, 간호중재와 대상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9) 사회 심리적인지지 제공
수술 직후 대상자, 가족 친지들의 정서적인 요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수술 후 가능한 빨리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에게 수술이 무사히 끝났음을 알려주고 또한 대상자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한다. 대상자가 언제쯤 병실로 혹은 가정으로 옮겨갈 수 있는지도 알려주어야 한다.
(10) 환자 이송
마취가 깨면 PACU로부터 외과 중환자실이나 외과계 병실로 가거나 당일 수술의 경우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전신마취 수술 시 보통 2시간 정도 PACU에 머무르게 된다. 아래 결과가 나타나면 병실로 이동한다.
· 활력징후가 안정되고 호흡기계, 순환기계의 기능이 적절하다.
· 대상자가 깨어 있거나 쉽게 깨울 수 있다.
· 국소마취의 경우, 마취부위의 감각과 운동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 대상자 이송과 동시에 회복실 간호사는 외과 병실 간호사에게 대상자 상태에 대해 보고하여 간호의 연속성이 유지되게 한다. 회복실 간호기록은 flow sheets, 간호기록지, 간호계획 등을 이용하여 활력징후, 호흡기, 순환기 상태, 의식, 운동, 감각기능상태, 통증과 불편감 정도, 드레싱과 환부의 상태, 지속적인 삽관 이용, 배뇨량, 투약, 정맥수액, 처방된 혈액의 투여, 간호중재와 대상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