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론 : 천안함의 사건 개요
제 2장 본론
1. 천안함 사건 일지
2. 천안함 사건의 원인
3.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세계 각국의 반응
4. 북한의 예상 대응방안
제 3장 결론
1. 해결방안
2. 결론
참고문헌
제 2장 본론
1. 천안함 사건 일지
2. 천안함 사건의 원인
3.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세계 각국의 반응
4. 북한의 예상 대응방안
제 3장 결론
1. 해결방안
2.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해를 감수해야 하며 현지에 있는 1000여 명의 우리 측 인원을 북한이 억류할 수 있어서 부담이 큰 문제이다. 그래서 완전히 폐쇄하기 보다는 더 이상의 투자를 하지 않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 임가공 무역을 비롯한 상업거래 대폭 축소 - 최근 남북간 교역규모는 북한 전체 무역에서 30%를 차지할 정도로 이는 50% 안팎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북한에 현찰이 들어가는 창구이기도 한 무역과 민간 교역 축소가 북한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단이 된다.
● 북한의 동 서해 항구를 상호 왕래하는 북한 선박의 제주해협 통과 중단 - 북한은 해상운송의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제주해협 통과를 지속적으로 요청, 관철시켰으며 현재 우리 정부는 북한의 동서해 항구를 왕래 하는 북한 선박에 대해서만 제주해협 통과를 허용하고 있다.
2. 결론
천안함 사건은 넓게는 동북아 전체를 둘러싼 문제이며 더 넓게는 전 세계적인 평화와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번 사건으로 자칫하면 동북아 정세는 한국, 미국, 일본의 남방 3각과 중국 북한 러시아 등의 북방 3각이 대립하는 신냉전 질서가 설립될 수도 있다. 이것은 한, 미, 일이 풀어야할 과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원칙과 신뢰에 입각한 남북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한 산고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이번 사건을 북한의 도발을 방지하면서 새로운 남북관계를 정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한편 북한의 미래에 관해 여러 가능성을 제기하고 시나리오별 대책을 마련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북한이 급변 사태를 맞이했을 경우 통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현 정부가 북한에 잘해주지 않아서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것이니 적당히 퍼주고 북한 요구를 만족시켜 긴장을 완화하자고 한다. 그러나 아군 군함이 폭침하고 46명의 장병들이 순국한 상황에서 우리가 화해와 긴장 완화를 구걸하면 미래를 잃게 된다. 우리가 남북관계를 정상화해 주도하려면 반드시 이겨내야 할 싸움이다. 위기 극복이 기회가 된다는 말이 있듯이 오늘의 전술적 손실을 통일번영의 새로운 시대로 열어갈 계기로 삼기 위해 우리의 단합된 의지와 국민적 용기가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http://dreamwiz.com/view.hcam?no=10930729
http://blog.naver.com/sescia?Redirect=Log&logNo=70084606899
● 임가공 무역을 비롯한 상업거래 대폭 축소 - 최근 남북간 교역규모는 북한 전체 무역에서 30%를 차지할 정도로 이는 50% 안팎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북한에 현찰이 들어가는 창구이기도 한 무역과 민간 교역 축소가 북한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단이 된다.
● 북한의 동 서해 항구를 상호 왕래하는 북한 선박의 제주해협 통과 중단 - 북한은 해상운송의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제주해협 통과를 지속적으로 요청, 관철시켰으며 현재 우리 정부는 북한의 동서해 항구를 왕래 하는 북한 선박에 대해서만 제주해협 통과를 허용하고 있다.
2. 결론
천안함 사건은 넓게는 동북아 전체를 둘러싼 문제이며 더 넓게는 전 세계적인 평화와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번 사건으로 자칫하면 동북아 정세는 한국, 미국, 일본의 남방 3각과 중국 북한 러시아 등의 북방 3각이 대립하는 신냉전 질서가 설립될 수도 있다. 이것은 한, 미, 일이 풀어야할 과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원칙과 신뢰에 입각한 남북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한 산고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이번 사건을 북한의 도발을 방지하면서 새로운 남북관계를 정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한편 북한의 미래에 관해 여러 가능성을 제기하고 시나리오별 대책을 마련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북한이 급변 사태를 맞이했을 경우 통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현 정부가 북한에 잘해주지 않아서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것이니 적당히 퍼주고 북한 요구를 만족시켜 긴장을 완화하자고 한다. 그러나 아군 군함이 폭침하고 46명의 장병들이 순국한 상황에서 우리가 화해와 긴장 완화를 구걸하면 미래를 잃게 된다. 우리가 남북관계를 정상화해 주도하려면 반드시 이겨내야 할 싸움이다. 위기 극복이 기회가 된다는 말이 있듯이 오늘의 전술적 손실을 통일번영의 새로운 시대로 열어갈 계기로 삼기 위해 우리의 단합된 의지와 국민적 용기가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http://dreamwiz.com/view.hcam?no=10930729
http://blog.naver.com/sescia?Redirect=Log&logNo=70084606899
추천자료
9·11 사태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의 변화-헤게모니의 정의, 미국 패권과 신보수주의, 9·11 사...
안보정세의 변화와 도전
참여정부의 안보정책과 동북아 다자안보체제의 구축
[자주국방][세계안보정세][연구개발][미국 국방개혁 사례][자주국방 제고 방안]자주국방 추진...
주한미군(한미안보동맹)과 한국의안보
[통일교육][안보교육]통일교육의 정의, 통일교육의 지향점, 통일교육과 안보교육, 통일교육과...
한국 안보의 당면 과제 - 주한미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북아정세 분석과 한국안보의 방향...
[미일, 미국, 일본]미일안보역할(미국과 일본의 안보역할), 미일관계(미국과 일본의 관계), ...
[일본군사력, 일본군사력 특징, 일본군사력 증강, 일본군사력 한일비교, 안보정책, 자위대]일...
[부시행정부, 안보전략, 세계패권전략, 양대전쟁전략, 동아시아태평양전략]부시행정부의 안보...
[부시행정부][국방정책][반테러정책][외교안보정책][평화번영정책][교육정책]부시행정부의 국...
동북아시아(동북아) 전략환경, 동북아시아(동북아) 평화환경, 동북아시아(동북아) 안보정세, ...
[농업경영학 4C형] (1) 우리나라 식량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 요인과 내부 환경요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