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영향평가(효과성 평가)
2.1. 효과성
2.2. 영향평가
2.3. 무선화된 현장실험(실험적 영향평가)
2.4. 준실험적 영향평가(대안적 설계)
2.5. 편향의 문제
3. 결론
2. 영향평가(효과성 평가)
2.1. 효과성
2.2. 영향평가
2.3. 무선화된 현장실험(실험적 영향평가)
2.4. 준실험적 영향평가(대안적 설계)
2.5. 편향의 문제
3. 결론
본문내용
그램의 평가 활동 중 효과성을 측정하는 영향평가는 평가의 전체 과정 중 꽃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평가활동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는 영향평가의 결과가 사회적 프로그램이 유지되면서 지속적으로 사회환경을 개선시켜 나갈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의 영향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은 무선적 배정을 통한 현상실험과 비실험설계를 일부 포함하는 준실험설계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무선적 배정을 통한 현장실험은 설계자체가 매우 어렵고 그 전제를 만족시키기도 매우 어렵지만, 수행이 되기만 한다면 영향평가의 결과를 가장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준실험설계의 경우 설계와 전제를 만족시키는 부분에서 무선적 배정을 통한 현장실험보다는 용이하지만 평가의 결과에 편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프로그램 영향평가를 실시하는 평가자에게는 현재 자신이 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성격에 따라 적절한 ‘트레이드오프’가 필요하다. 평가를 의뢰한 평가사용자와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영향평가의 수준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자는 가능한 여러 변수를 통제하면서 편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영향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은 무선적 배정을 통한 현상실험과 비실험설계를 일부 포함하는 준실험설계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무선적 배정을 통한 현장실험은 설계자체가 매우 어렵고 그 전제를 만족시키기도 매우 어렵지만, 수행이 되기만 한다면 영향평가의 결과를 가장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준실험설계의 경우 설계와 전제를 만족시키는 부분에서 무선적 배정을 통한 현장실험보다는 용이하지만 평가의 결과에 편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프로그램 영향평가를 실시하는 평가자에게는 현재 자신이 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성격에 따라 적절한 ‘트레이드오프’가 필요하다. 평가를 의뢰한 평가사용자와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영향평가의 수준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자는 가능한 여러 변수를 통제하면서 편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