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쌀의 수급현황
1) 생산 현황
2) 수입 현황
3) 소비 현황
4) 현 상황의 원인 추론 및 해석
Ⅲ. 쌀 수급 전망
1) 생산 및 소비 전망
2) 교역 전망
3) 가격 전망
Ⅳ. 쌀 소비 감소의 문제점
1) 정치적 차원
2) 안보적 차원
3) 세계적 차원
Ⅴ. 해결방안
1) 다양한 쌀 가공식품 개발
2) 고품질 쌀의 명품 브랜드화
3) 쌀을 이용한 고품질 베이커리 신제품 개발
4) 쌀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 개발
Ⅵ. 결론
Ⅱ. 쌀의 수급현황
1) 생산 현황
2) 수입 현황
3) 소비 현황
4) 현 상황의 원인 추론 및 해석
Ⅲ. 쌀 수급 전망
1) 생산 및 소비 전망
2) 교역 전망
3) 가격 전망
Ⅳ. 쌀 소비 감소의 문제점
1) 정치적 차원
2) 안보적 차원
3) 세계적 차원
Ⅴ. 해결방안
1) 다양한 쌀 가공식품 개발
2) 고품질 쌀의 명품 브랜드화
3) 쌀을 이용한 고품질 베이커리 신제품 개발
4) 쌀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 개발
Ⅵ. 결론
본문내용
를 충족하는 쌀 베이커리 제품의 개발은 쌀 수요확대를 위한 유력한 대안이 된다.
4) 쌀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 개발
쌀 섭취 감소와 쌀 잉여분의 과잉축적에 따라 농업의 위기감이 증가되며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실정에서 쌀 이용 제품의 개발 및 쌀 수요 증대를 위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식생활의 빠른 서구화에 따른 성인병의 이환율의 증가에 따라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다이어트제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므로 쌀을 위주로 하는 식생활의 우수성을 소비자의 재인식 시켜줄 필요가 있다.
식생활의 빠른 서구화에 따른 성인병, 비만 등의 증가에 따라 정상체중을 유지하기위한 다이어트제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쌀 제품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의 개발은 도전해 볼만한 분야라고 판단되어진다. 쌀은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혈압조절, 당뇨예방, 돌연변이 억제, 암 예방 효과 등 기능적으로 그 우수성이 이미 인정된 식품이다. 또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다이어트 효과, 동맥경화 및 비만, 변비 등의 개선효과 등의 결과가 이미 도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재 비만인의 증가와 함께 체중 감량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연간 1조 1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최근 상업적 시판제품 즉, 분말 혹은 액상형태의 조제된 식사 대용식품, 공복감 해소를 위한 제품, 식욕 억제제 및 단일 식품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 등이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거대한 상업적 다이어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쌀 제품을 이용한 체중 감량 제품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쌀 제품을 이용하여 다이어트 제품을 생산할 경우 쌀에 포함된 여러 생리 활성 물질의 기대효과와 동시에 쌀 공급에 따른 수요 부족 역시 해결할 수 있다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Ⅵ. 결론
예부터 우리는 '신토불이',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를 외치며 우리 농산물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현재 우리는 우리 땅에서 나는 음식물을 먹어야하는 자연스러운 이치를 거스르고 있다. 그로인해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의 원동력인 쌀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 쌀 수요의 감소는 크게는 정치적, 안보적, 세계적 문제 뿐 아니라 우리의 건강, 농민들의 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대한민국의 식량의 다른 나라에게 의존하는 것은 자살행위와 다를 바가 없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은 우리 농산물을 사랑하고 애용해야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쌀 소비량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70년대 1인당 최고 136kg이던 쌀 소비가 지금은 무려 56kg가 줄어든 80.7kg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앞으로는 계속 떨어질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쌀 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쌀 산업의 자구노력도 필요하지만 국민 모두가 식생활 개선으로 우리 쌀 소비를 늘리어 건강도 지키고 나아가 우리 농업도 지켜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이나 청소년의 햄버거나 피자 등으로 길들여진 입맛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어린이들은 점점 빠르고 간편하고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쌀을 생산하는 농민들의 노고도 알 턱이 없고, 하늘에 감사할 줄도 모르고 자라고 있다. 또한 이런 음식들은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소아비만, 아동성인병, 영양불균형 등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쌀 소비를 줄일 뿐 아니라 대한민국을 병들게 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밥이 보약이라고 말했다. 반만년동안 한민족이 살아 올 수 있었던 것도 쌀이 에너지가 높고 우리체질에 맞는 우수식품 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쌀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 및 쌀의 명품 브랜드화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국민의 건강과 우리농업과 농촌을 지켜주는 쌀 농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이다. 우리 쌀을 올바로 지켜나가는 것이 곧 우리의 건강과 삶, 환경과 전통문화를 지속적으로 지켜나가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21세기로 들어서면서 국경 없는 세계가 만들어 졌고 이로 인해 외국의 문물들이 너나할 것 없이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에 들어와 같게 혹은 다르게 동화되었다. 하지만 쌀밥은 우리의 주식이다. 아무리 세계가 국제화, 세계화가 되었다 할지라도 이 사실은 변치 말아야 한다.
위기는 곧 기회이다. 우리는 우리가 스스로 자초한 현재의 식량위험에서 우리 쌀을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서 우리 쌀은 지켜져야 한다. 이것은 이 땅에 사는 우리의 숙명적인 과제이며, 필연적인 의무이다.
우리 국민 모두가 진정한 마음으로 힘을 모아 우리 쌀을 애용한다면 우리 농촌경제의 부활은 물론 조상의 얼과 생명이 깃들어있는 자그마한 생명의 진주와 비옥한 땅, 푸르른 하늘을 우리의 후손에게도 길이길이 물려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농림통계연보, 농림부, 각 년도
2) 쌀 산업의 변화와 전망, 농협조사연구소, 전착익, 2005, p19~64
3) 농업전망 2006, 한국농총경제연구원, 2006, p32~47
4) 연구보고서- 쌀시장 개방과 우리나라 쌀 농업의 대응방안에 관한연구, 김성호, 목원대 대학원, 2005
5) 연구보고서- 고품질 쌀 품질 차별화 실테 및 전략, 서울대학교, 농촌진흥청, 2007
6) 연구보고서- 쌀을 이용한 고품질 베이커리 신제품의 개발, 한국식품 연구원, 2009 (Development of Novel Rice Bakery Product with High Quality)
7) 연구보고서- 한국인의 적정한 쌀 소비를 위한 미미(米味) 다이어트 제품 및 건 강식단과 실험동물 표준식이 개발, 한국식품영양재단, 농림부, 2006
<홈페이지 자료>
1) 농산물유통정보 홈페이지, http://www.kamis.co.kr
2)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 http://www.at.or.kr
3) 네이버 블로그 -현미촌 사람들 http://blog.naver.com/riceblue
4) 쌀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 개발
쌀 섭취 감소와 쌀 잉여분의 과잉축적에 따라 농업의 위기감이 증가되며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실정에서 쌀 이용 제품의 개발 및 쌀 수요 증대를 위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식생활의 빠른 서구화에 따른 성인병의 이환율의 증가에 따라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다이어트제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므로 쌀을 위주로 하는 식생활의 우수성을 소비자의 재인식 시켜줄 필요가 있다.
식생활의 빠른 서구화에 따른 성인병, 비만 등의 증가에 따라 정상체중을 유지하기위한 다이어트제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쌀 제품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의 개발은 도전해 볼만한 분야라고 판단되어진다. 쌀은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혈압조절, 당뇨예방, 돌연변이 억제, 암 예방 효과 등 기능적으로 그 우수성이 이미 인정된 식품이다. 또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다이어트 효과, 동맥경화 및 비만, 변비 등의 개선효과 등의 결과가 이미 도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재 비만인의 증가와 함께 체중 감량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연간 1조 1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최근 상업적 시판제품 즉, 분말 혹은 액상형태의 조제된 식사 대용식품, 공복감 해소를 위한 제품, 식욕 억제제 및 단일 식품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 등이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거대한 상업적 다이어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쌀 제품을 이용한 체중 감량 제품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쌀 제품을 이용하여 다이어트 제품을 생산할 경우 쌀에 포함된 여러 생리 활성 물질의 기대효과와 동시에 쌀 공급에 따른 수요 부족 역시 해결할 수 있다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Ⅵ. 결론
예부터 우리는 '신토불이',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를 외치며 우리 농산물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현재 우리는 우리 땅에서 나는 음식물을 먹어야하는 자연스러운 이치를 거스르고 있다. 그로인해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의 원동력인 쌀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 쌀 수요의 감소는 크게는 정치적, 안보적, 세계적 문제 뿐 아니라 우리의 건강, 농민들의 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대한민국의 식량의 다른 나라에게 의존하는 것은 자살행위와 다를 바가 없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은 우리 농산물을 사랑하고 애용해야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쌀 소비량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70년대 1인당 최고 136kg이던 쌀 소비가 지금은 무려 56kg가 줄어든 80.7kg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앞으로는 계속 떨어질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쌀 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쌀 산업의 자구노력도 필요하지만 국민 모두가 식생활 개선으로 우리 쌀 소비를 늘리어 건강도 지키고 나아가 우리 농업도 지켜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이나 청소년의 햄버거나 피자 등으로 길들여진 입맛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어린이들은 점점 빠르고 간편하고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쌀을 생산하는 농민들의 노고도 알 턱이 없고, 하늘에 감사할 줄도 모르고 자라고 있다. 또한 이런 음식들은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소아비만, 아동성인병, 영양불균형 등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쌀 소비를 줄일 뿐 아니라 대한민국을 병들게 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밥이 보약이라고 말했다. 반만년동안 한민족이 살아 올 수 있었던 것도 쌀이 에너지가 높고 우리체질에 맞는 우수식품 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쌀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 및 쌀의 명품 브랜드화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국민의 건강과 우리농업과 농촌을 지켜주는 쌀 농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이다. 우리 쌀을 올바로 지켜나가는 것이 곧 우리의 건강과 삶, 환경과 전통문화를 지속적으로 지켜나가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21세기로 들어서면서 국경 없는 세계가 만들어 졌고 이로 인해 외국의 문물들이 너나할 것 없이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에 들어와 같게 혹은 다르게 동화되었다. 하지만 쌀밥은 우리의 주식이다. 아무리 세계가 국제화, 세계화가 되었다 할지라도 이 사실은 변치 말아야 한다.
위기는 곧 기회이다. 우리는 우리가 스스로 자초한 현재의 식량위험에서 우리 쌀을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서 우리 쌀은 지켜져야 한다. 이것은 이 땅에 사는 우리의 숙명적인 과제이며, 필연적인 의무이다.
우리 국민 모두가 진정한 마음으로 힘을 모아 우리 쌀을 애용한다면 우리 농촌경제의 부활은 물론 조상의 얼과 생명이 깃들어있는 자그마한 생명의 진주와 비옥한 땅, 푸르른 하늘을 우리의 후손에게도 길이길이 물려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농림통계연보, 농림부, 각 년도
2) 쌀 산업의 변화와 전망, 농협조사연구소, 전착익, 2005, p19~64
3) 농업전망 2006, 한국농총경제연구원, 2006, p32~47
4) 연구보고서- 쌀시장 개방과 우리나라 쌀 농업의 대응방안에 관한연구, 김성호, 목원대 대학원, 2005
5) 연구보고서- 고품질 쌀 품질 차별화 실테 및 전략, 서울대학교, 농촌진흥청, 2007
6) 연구보고서- 쌀을 이용한 고품질 베이커리 신제품의 개발, 한국식품 연구원, 2009 (Development of Novel Rice Bakery Product with High Quality)
7) 연구보고서- 한국인의 적정한 쌀 소비를 위한 미미(米味) 다이어트 제품 및 건 강식단과 실험동물 표준식이 개발, 한국식품영양재단, 농림부, 2006
<홈페이지 자료>
1) 농산물유통정보 홈페이지, http://www.kamis.co.kr
2)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 http://www.at.or.kr
3) 네이버 블로그 -현미촌 사람들 http://blog.naver.com/riceblue
추천자료
여성연금수급권 보장에 대한 국제비교
초등교원의 수급정책과 질 확보방안 : 교육양성정책 교원수급
WTO 체제 쌀 정책
교원수급의 원인 문제점 대안 해결책
[농산가공학]쌀의 도정도(搗精度)&#8228;신선도(新鮮度) 판별(判別) 및 찹쌀&#8228;...
국민연금 기여와 수급간의 균헝 방안 보고서
인력수급불일치(job mismatch)의 원인과 해결방안
기초생활 수급자의 생계급여(현물급여와 현금급여의 차이점)
[생산기술, 재생산기술, 항체생산, 단백질생산]생산기술과 재생산기술, 생산기술과 항체생산,...
기초미시경제론 1학년 공통) 대형마트 규제의 경제적 효과를 논하시오. 쌀시장 개방이 국내 ...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비만아동 다이어트 프로그램 - “당당하고, 자신있게” (공동모금회프로...
우리의 주식 쌀
간호인력 수급 및 간호관리료 차등제에 대한 실태 조사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수급권과 관련하여 부정수급으로 인한 복지비용 누수가 적지않은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