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태아심음감시 방법
3. 태아심박동 양상
((문헌고찰))
2. 태아심음감시 방법
3. 태아심박동 양상
((문헌고찰))
본문내용
bpm 미만은 중증 태아서맥이라고 함.
3) 태아빈맥 - 기저 태아 심음이 160bpm이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원인 - 저산소증
* 161-180bpm일 경우 중등도 빈맥, 180bpm 이상일 경우 중증빈맥이라고 함.
4) 자궁수축과 관련된 기저심음에서의 변동
* 기저심음증가 - 태아의 움직임과 관련되어 보통 10분 이내에 지속되는 HFR의 갑 작스런 증가를 말하며 제대정맥압박을 동반한 저산소증에 대한 초기반응으로 나타 날 수 있음.
* 기저심음감소 - 태아의 저산소혈증, 가사와 관련된어 10분 이내로 지속되는 FHR 의 갑작스런 감소를 말하며 자궁수축과 관련하여 나타난 시기, 모양이나 WAVE에 따라 조기, 후기 변화로 분류됨.
① 조기하강 - 일정하며 수축과 동시에 발생함
- 머리의 압박을 반영하고 부교감신경계에 의해 매개 됨.
- 110bpm으로 떨어지는 것은 드뭄.
② 후기하강 - 일정하며, 수축의 정점 이후에 발생.
- 태아 저산소증을 나타낼 수 있음.
③ 가변성 하강 - 시작시기와 모습은 다양함.
- 탯줄의 압박을 반영하며 태아곤란증의 징후가 될 수 있음.
* 부정율동 - 태아심음의 리듬이 불규칙한 것.
((문헌고찰))
하영수외(2003), 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Ⅰ, p158-184, 신광출판사
이경혜외(1998), 여성건강간호학 상, p496-514, 현문사
유은광외(2005), 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Ⅰ, p621-642, 현문사
박중신외(2009), 한눈에 알 수 있는 산부인과, p104-105, 이퍼블릭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06), 여성건강간호학 Ⅰ, p404-417, 수문사
3) 태아빈맥 - 기저 태아 심음이 160bpm이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원인 - 저산소증
* 161-180bpm일 경우 중등도 빈맥, 180bpm 이상일 경우 중증빈맥이라고 함.
4) 자궁수축과 관련된 기저심음에서의 변동
* 기저심음증가 - 태아의 움직임과 관련되어 보통 10분 이내에 지속되는 HFR의 갑 작스런 증가를 말하며 제대정맥압박을 동반한 저산소증에 대한 초기반응으로 나타 날 수 있음.
* 기저심음감소 - 태아의 저산소혈증, 가사와 관련된어 10분 이내로 지속되는 FHR 의 갑작스런 감소를 말하며 자궁수축과 관련하여 나타난 시기, 모양이나 WAVE에 따라 조기, 후기 변화로 분류됨.
① 조기하강 - 일정하며 수축과 동시에 발생함
- 머리의 압박을 반영하고 부교감신경계에 의해 매개 됨.
- 110bpm으로 떨어지는 것은 드뭄.
② 후기하강 - 일정하며, 수축의 정점 이후에 발생.
- 태아 저산소증을 나타낼 수 있음.
③ 가변성 하강 - 시작시기와 모습은 다양함.
- 탯줄의 압박을 반영하며 태아곤란증의 징후가 될 수 있음.
* 부정율동 - 태아심음의 리듬이 불규칙한 것.
((문헌고찰))
하영수외(2003), 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Ⅰ, p158-184, 신광출판사
이경혜외(1998), 여성건강간호학 상, p496-514, 현문사
유은광외(2005), 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Ⅰ, p621-642, 현문사
박중신외(2009), 한눈에 알 수 있는 산부인과, p104-105, 이퍼블릭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06), 여성건강간호학 Ⅰ, p404-417,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