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맵]마인드맵의 정의, 마인드맵의 목표, 마인드맵의 이론적 배경, 마인드맵의 원리, 마인드맵의 작성법, 마인드맵의 실제, 마인드맵의 수업모형, 마인드맵의 지도방법, 마인드맵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인드맵]마인드맵의 정의, 마인드맵의 목표, 마인드맵의 이론적 배경, 마인드맵의 원리, 마인드맵의 작성법, 마인드맵의 실제, 마인드맵의 수업모형, 마인드맵의 지도방법, 마인드맵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마인드맵의 정의

Ⅲ. 마인드맵의 목표

Ⅳ. 마인드맵의 이론적 배경
1. 특징
2. 기대되는 효과

Ⅴ. 마인드맵의 원리

Ⅵ. 마인드맵의 작성법과 실제
1. 마인드맵 작성법과 규칙
2. 마인드맵의 작성법
1) 준비 도구
2) 마인드맵핑 작성 과정

Ⅶ. 마인드맵의 수업모형

Ⅷ. 마인드맵의 지도방법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기억이 쉽게 나도록 도와준다.
(10) 독해 시간을 감소시켜 준다.
마인드맵의 가지를 연결할 때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은 관련성이 없는 내용들의 열거가 아닌 방사 사고임을 강조하여 관련성이 있는 내용에 대한 탐구가 깊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마인드맵과 구별되어야 할 브레인 스토밍>
방사사고
영국의 토니 부잔
섬광처럼 폭발하는 사고
처음과 끝이 같은 사고
나열식 구조는 피하고 상위, 하위 구조로 세분
같은 가중치끼리 묶을 것
브레인 스토밍
미국의 오스본
‘생각의 양’이 기준(평가가 필요 없음)
item을 구하기 위해 잠재의식에 있는 것들이 모두 표현됨.
3단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표현
예) 원숭이 - 엉덩이 - 빨간 사과 …
마인드맵에서는 하나의 이미지가 핵심어가 가지는 정보의 100배 정도를 함축하고 있음을 지도하여 상징적이면서 전체성을 띠는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구조화된 내용을 표현할 때 가장 상위의 내용을 주가지 위에, 그리고 차례로 범주에 따라 부가지, 세부가지 위에 표현하도록 하였다.
CF> 이 때에 주 가지는 대분류에 해당하고, 부 가지는 소분류에 해당하며 세부가지는 부 가지를 자세히 설명해 준다. 가지는 가지 끝에서 연결되고 가지 수에는 제한이 없다.
마인드맵과 마인드맵핑을 구분하여 종이 위에 생각을 표현하는 것보다 생각을 해내는 과정이 더 소중함을 알아가게 하였다. 색상과 함께 인지된 정보는 기억에 오래 남는 것을 알고 눈에 잘 띄는 색으로 선명하게 표현하도록 노력하였다. 머리 속에 잘 떠오르지 않는 서술식 언어나 구는 마인드맵이 아님을 강조하여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는 핵심 단어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Ⅸ. 결론 및 시사점
우리는 정보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 엄청난 정보의 양과 전달 속도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예를 들면 뉴욕타임즈 일요일 판에 실리는 정보의 양은 과거 18세 보통 사람들이 평생을 두고 습득하는 정보의 양과 동일하다고 한다. 그러나 정보의 선택, 입력, 활용하는 기술은 충분히 발전되지 않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좀 더 새로운 것, 좀 더 창의적인 발상을 요구하고 있다. 생각하는 것도 연습이 필요하다. 갑자기 \'오늘부터 창의적으로 생각해야지\'한다고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우리의 교육은 규칙적인 암기와 한 가지 방법으로의 사고만을 강요해왔다. 생각하는 자세를 조금만 바꾸면 얼마든지 창의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창의력과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마인드맵의 출현은 다지능 이론의 계발이 요구되는 이 시대에 적합하며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 활용해 볼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김재춘(1999),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 교육과학사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라민호(1996), 마인드맵 활동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박영목(1989), 창의적 사고력 교육의 이해와 실제, 한국교원대 교육연구원
신백초등학교(1999), 마인드맵 활동을 통한 창의성 계발
허병두(1996), 문제는 창조적 사고다, 한겨레신문사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